$\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글화된 균형 평가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orean-Version Balance Assessment Tool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2 no.4, 2017년, pp.139 - 146  

장호영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  이정훈 (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이석민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version of the balance assessment tools. METHODS: Two reviewers of this study independently evaluated the titles of articles and abstracts of studies published until December 2016 through 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 많은 한글화된 균형 평가도구들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여 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체계 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화된 균형 평가도구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제시하여 임상에서 물리치료사들이 정확한 평가를 위해 활용하고자 한다. 아울러 균형 평가도구의 임상 가이드라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은 어떤 특성에 영향을 받는가? 균형은 지지면 내에서 체중심을 유지하는 능력 (Shumway-Cook과 Woollacott, 2007) 혹은 넘어지지 않고 특정 상태를 유지(maintaining), 성취(achieving), 회복 (restoring)하는 인체의 능력으로 운동계, 감각계 그리고 물리적 특성(physical properties)에 영향 받는다고 하였다(Pollock 등, 2000). 이런 균형은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사회 참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신체 활동 능력이다(Mayo 등, 2002).
균형이란? 균형은 지지면 내에서 체중심을 유지하는 능력 (Shumway-Cook과 Woollacott, 2007) 혹은 넘어지지 않고 특정 상태를 유지(maintaining), 성취(achieving), 회복 (restoring)하는 인체의 능력으로 운동계, 감각계 그리고 물리적 특성(physical properties)에 영향 받는다고 하였다(Pollock 등, 2000). 이런 균형은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사회 참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신체 활동 능력이다(Mayo 등, 2002).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정확한 균형 평가가 필요한데 이러한 균형 평가를 통해 얻는 이점은 무엇인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정확한 균형 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 평가는 균형 문제의 원인을 밝혀내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며, 결과 측정에 사용된다. 또한 환자와 보호자 교육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신뢰를 얻게 한다. 뿐만 아니라 재활 전문가들 사이에 정보 공유를 위한 자료가 되며, 근거 중심 물리치료에 중요한 부분이다(Horak, 1997; APTA,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n SH, Lee BK.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function in sitting test in patients with stroke who are limited walking ability.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6;55: 471-86. 

  2. An SH, Lee J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in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of Phys Ther. 2009;21:9-18. 

  3. An SH, Park DS. The reliability of the modified trunk impairment scale (Korean ver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5; 54:277-90. 

  4. An SH, Sin HH, Cho HY,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alls efficacy scale (Korean ver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2;51:363-81. 

  5. APTA. Guide to physical therapy practice (2 nd ed). USA. Phys Ther. 2001. 

  6. Basford JR, Chou LS, Kaufman KR, et al. An assessment of gait and balance deficits after traumatic brain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343-9. 

  7. Cha YR, Jung KS, Chung YJ.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motor assessment scale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3;52:279-93. 

  8. Cho HY, An SH, Lee YB, et al.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it to stand test in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3;52:361-79. 

  9. Cho WS, Park CB, Lim JH. The Effect of trunk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oscillation on trunk muscle thickness and balance. J Korean Soc Phys Med. 2017;12(2): 91-101. 

  10. Horak FB. Clinical assessment of balance disorders. Gait Posture. 1997;6:76-84. 

  11. Jang HO, Kim YL, Lee SM. Perception and use of balance measures for stroke patients among physical therapists in South Korea. J Phys Ther Sci. 2017;29:255-60. 

  12. Jang SN, Cho SI, Ou SW, et al.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orean fall efficacy scale (FES) and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ABC). J Korean Geriatr Soc. 2003;7(4):255-68. 

  13. Jung HY, Park JH, Sim JJ. Reliability test of Korean version of Berg balance scale. J Korean Acad Rehab Med. 2006;30:611-8. 

  14. Kim BS, Bang DH, Shin WS. Effects of pressure sense perception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somatosensory, balance and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ean Soc Phys Med. 2015;10(3):237-45. 

  15. Kim GM. Reliability and validity study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Phys Ther Korea. 2016;23:31-7. 

  16. Ko MS, Lee NH, Lee JA, et al.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diatric balance scale. Phys Ther Korea. 2008;15:86-91. 

  17. Langhorne P, Coupar F, Pollock A. Motor recovery after stroke: a systematic review. Lancet Neurol. 2009;8:741-54. 

  18. Lee BK, Choi HS, An SH. The Relative.absolut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ep test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KSIM. 2017;5:43-53. 

  19. Lee CH, An SH, Lee YB, et al. The reliability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Tinetti-balance scale (Korean ver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3;52:435-52. 

  20. Lee HM.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video game 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the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Med. 2013;8:201-7. 

  21. Lee YB, An SH, Lee GC.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odified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Korean version)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4;53:333-51. 

  22. Mayo NE, Wood-Dauphinee S, Cote R, et 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6 months post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035-42. 

  23. Pollock AS, Durward BR, Rowe PJ. What is balance? Clin Rehabil. 2000;14:402-6. 

  24. Seo HD, Kim NJ, Chung YJ.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trunk impairment scale in patients with stroke. Phys Ther Korea. 2008;15:87-94. 

  25.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 ed). US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7. 

  26. Sturnieks DL, George R, Lord SR. Balance disorders in the elderly. Clin Neurophysiology. 2008;38:467-78. 

  27. Sturnieks DL, Tiedemann A, Chapman K, et al. Physiological risk factors for falls in older people with lower limb arthritis. J Rheumatol. 2004;31:2272-9. 

  28. Tinnetti ME, Richamn D, Powell L. Falls efficacy as a measure of fear of falling. Journal of Gerontology. 1990;45: 239-43. 

  29. Tyson SF, Connell LA. How to measure balance in clinical practice. A systematic review of the psychometrics and clinical utility of measures of balance activity for neurological conditions. Clin Rehabil. 2009;23: 824-40. 

  30. Tyson SF, Hanley M, Chillala J,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2006;86:3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