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체험활동과 연계한 초등학교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Program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7년, pp.316 - 330  

오현주 (성남동초등학교) ,  박재근 (경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SD program related to creative-experience activ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its application.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3 sessions for fifth-grade class in elementary school, including all of the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of ES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지속가능발전교육은 아직 초기 단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고, 관련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도 여전히 부족한 편이어서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의 폭넓은 확산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요소와 연계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관점의 관련 주제를 두루 포함하며, 현장 적용성과 실용성을 확보한 초등학생 대상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의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 요소와 연계하고, 지속가능발전교육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관점의 관련 주제를 두루 포함하며, 현장 적용성과 실용성을 확보한 초등학생 대상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이의 적용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영역을 두루 반영하고, 차시 활동에서 학생과 교사가 공동으로 협의 하거나, 학생의 힘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역할 분담 하여 실행하게 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주적인 실천 활동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프로그램에 지역과 학교의 독특한 문화와 특성을 고려한 특색 활동을 고안하고, 인적․물적 자원과 시간을 폭넓게 활용하여 융통성 있게 운영할 것을 권고한 창의적 체험활동의 지침(교육과학기술부, 2010)을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 아울러 환경교육을 더 큰 영역으로의 지속가능 발전교육으로 발전시키고, 이를 통합하는 교육적 시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이 지속가능성이라는 사회적 요구를 해결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안목을 형성하고 심성을 함양한다는 지속가능 발전교육의 내재적 가치의 측면에서 창의적 체험 활동의 운영과 연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성을 탐색해 보았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프로그램의 활동 주제는 지속가능발전의 목표와 핵심 요소를 골고루 담고, 초등학생들의 발달수준에 부합하는 내용을 중심으로 총 13차시로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사회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며,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방법을 생활 속에서 실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속가능발전의 정의는? 지속가능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은 지구 전체로 확산된 기후 변화, 빈곤 및 불평등, 사회의 다양화, 경제적 위기를 고려할 때 인류가 직면한 핵심적 도전 과제 중 하나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 되고 있다(오윤정 등, 2011; 조규동과 정기섭, 2011; UNESCO, 2009).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정의는 매우 다양하지만, 1987년 브룬트란트 보고서에서 ‘미래 세대가 자신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는 발전’으로 내린 정의(WCED, 1987)를 가장 일반적 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최근에는 여기에 ‘생태계의 수용 능력 안에서’라는 개념을 추가하여 정의하고 있다(이선경 등, 2005; IUCN, 1991).
2009년 교육 과정에서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은 무엇인가?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에는 창의적 체험활 동의 구성 요소가 고루 반영되었다. 2009개정 교육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영역은 자율활동, 동아리활동, 봉사활동, 진로활동 등이며, 영역별로 구체적인 활동은 학년, 학급 및 지역 사회의 특성에 맞게 학교에서 융통성 있게 운영할수 있도록 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10).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네 영역을 두루 반영하고, 차시 활동에서 학생과 교사가 공동으로 협의 하거나, 학생의 힘으로 계획을 수립하고 역할 분담 하여 실행하게 함으로써 초등학생의 자주적인 실천 활동에 주안점을 두었다.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해 학교에서 실시한 프로젝트는 무엇이 있는가?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실행을 위해서 가정, 학교, 사회에서는 다양한 실천 방안들이 다루어지며, 이러한 실천 방안과 관련하여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사람들의 인식 변화인데, 여기에서 특히 학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정하림과 정남용, 2010). 따라서 정규 교과활동과 비정규 활동 등 교육과정 관련 영역에서 학교 풍토를 변화시킬 수 있는 학교 차원의 프로젝트가 시행될 필요가 있으며(최순호 등, 2008), 환경보전시범학교나 학교 숲 운동, 협동학교사업 등이 그 구체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자원과 기후 변화, 생물다양성, 재해 예방․완화 등의 내용을 다루는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속 적인 요구를 충족하려면 다양한 체험 위주의 활동을 통해 초등학생이 일상생활에서 실천방법을 알고 실천할 수 있도록 습관을 기르는 교수․학습방법이 효과적이다(최지연 등, 2013; 허양원과 문윤섭,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강현선, 손연아 (2016). 사회문제 해결형 지속가능발전교육 수업 모델의 수업 적용 및 효과 분석, 환경교육, 29(1), 79-95. 

  2. 고석호, 이성희, 문윤섭, 김기대 (2012). 제주 오름 체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6학년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25(2), 135-148.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4.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해설. 

  5. 김선영, 유선미 (2012). 환경관련 대중매체를 활용한 반성적 글쓰기활동의 환경교육적 효과. 환경교육, 25(2), 149-160. 

  6. 김정은, 이상원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기반을 둔 초등학생 대상 생물다양성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실과교육연구, 16(3), 161-182. 

  7.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 (1998). 국가 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초등과학교육, 18(3), 357-369. 

  8. 남경희, 이성희 (2010). 초등환경교재 환이랑 경이랑 함께 가꾸는 초록 서울 개발 및 환경소양도 검증. 사회과교육, 49(1), 15-26. 

  9. 박태윤, 성정희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및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10. 오윤정, 장지영, 유효숙, 김성원, 이현주, 최경희 (2011). 2007 및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속가능발전 교육내용 분석 및 비교.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 11(2), 95-113. 

  11. 유경희, 신영준 (2014). 체험형 환경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3(1), 69-81. 

  12.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향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3.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2007).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교사 지침서.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통영센터. 

  14. 이동엽, 김희철, 박만근, 안아영, 이지숙, 이지희, 정철 (2007). 지역기반 환경체험학습의 효과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0(1), 19-27. 

  15. 이병준 (2016). 역량기반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6), 701-715. 

  16. 이선경, 김남수, 김찬국, 주형선, 황세영, 김이성, 백승현, 이재영, 장미정, 정수정, 정원영, 조우진 (2014). 한국의 유엔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17. 이선경, 이재영, 이순철, 이유진, 민경석, 심숙경 (2005).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10년을 위한 국가 추진 전략 개발 연구.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18. 이선경, 장남기 (1993). 자기 환경화를 통한 환경교육 전략의 효과. 환경교육, 5(1), 71-88. 

  19. 이성덕, 김형균 (2010). 환경감수성의 이론적 탐색, 교육논총, 47(2), 65-85. 

  20. 이수연, 최동식, 문지원 (2012). 환경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 환경교육, 25(4), 438-450. 

  21. 임효진, 이두곤 (2016). 교육의 내재적 가치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교육적 고찰과 발전 방향 연구. 환경교육, 29(4), 384-399. 

  22. 정기섭 (2017).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8), 749-775. 

  23. 정하림, 정남용 (2010).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위한 e-PBL 수업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3), 149-170. 

  24. 정현희, 서우석 (2008). 초등학생 환경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환경교육, 21(4), 79-93. 

  25. 조규동, 정기섭 (2011). 제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지속가능발전교육 관련 내용 비교 분석-초등학교 4학년 도덕, 사회, 과학 과목을 중심으로-. 시민인문학, 20(1), 235-263. 

  26. 주혜은, 이은아, 고희령, 신동희, 이문남 (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및 환경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초등과학교육, 24(3), 310-320. 

  27. 지승현, 남영숙 (2007).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지속가능발전교육 방향 탐색. 환경교육, 20(1), 62-72. 

  28. 최돈형 (2005). 지속가능한 미래와 학교 환경교육. 한국환경교육학회 전반기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24-42. 

  29. 최순호, 이봄미, 윤병순, 노지원 (2008).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교육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을 향하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30. 최지연, 이상원, 황동국, 이태석 (2013). 초등학생을 위한 지속가능발전교육 프로그램 개발. 실과교육연구, 19(2), 169-194. 

  31. 최지연, 황동국, 이태석, 유동현, 이상원 (2017). 지속가능 발전교육 수업 모형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13), 41-64. 

  32. 허양원, 문윤섭 (2010). 지속가능 발전교육 연구학교 적용 과정에서의 참여 교사 경험 이해. 환경교육, 23(3), 17-34. 

  33. 환경부 (2016). 어린이 초록세상 5-6학년 교과서. 환경부. 

  34. Gall, M. D., Gall, J. P. & Borg, W. (2003). Educational research(7th Ed). New York: Longman. 

  35. Haughton, G. (1999). Environment justice and the sustainable city. Journal of Planning Education and Research, 18, 233-243. 

  36. Hungerford. (1990). Changing learner 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3), 8-21. 

  37. IUCN. (1991). Caring for the earth; A strategy for sustainable living. IUCN. 

  38. Lind, K. (2000). Exploring scien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Delmar. 

  39. McKeown, R. & Hopkins, C. (2005). EE and ESD: Two paradigms, one crucial goal. Appli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Communication, 4(1), 221-224. 

  40. Osborne, R. J. & Wittrock, M. C. (1983). Learning science : A generative process. Science Education, 67(4), 489-508. 

  41. Pavlova, M. (2013). Towards using transformative education as a benchmark for clarify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9(5), 656-672. 

  42. Simmon, D. (1996). The NAAEE standards project: papers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education standards. IL: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in Dekalb. 

  43. Tanner, T. (1980).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4), 20-24. 

  44. UNESCO. (2004). United Nations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05-2014;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UNESCO. 

  45. UNESCO. (2009). Review of the context and structure for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learning for sustainable world. UNESCO. 

  46. UNESCO. (2011).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 expert review on process and learning. UNESCO. 

  47. UNESCO-UNEP (1990). Environmental education. A special study for the world conference in education for all. UNESCO-UNEP. 

  48. Wals, A. (2012). Shaping education of tomorrow. UNESCO. 

  49. WCED.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