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ttitude to Death and Resilience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1, 2017년, pp.37 - 47  

박영숙 (한국방송통신대학 간호학과) ,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influences of attitude to death and resilience on terminal care attitude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were 230 nursing undergraduates from two nursing schools in Korea. The students responded to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at inclu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죽음 경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임종 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 교육 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임종 간호 태도 형성을 위한 적절한 지지와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 회복탄력성,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 정도를 알아보고, 죽음에 대한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회복탄력성이 임종간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간호 교육과정에서 죽음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인 임종간호 태도 형성을 위한 적절한 지지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교육과정중 간호대학생이 가장 큰 스트레적인 사건은 무엇인가? 일반 대학생의 경우, 일상생활에서 죽음을 목격하거나 관찰할 기회가 적고 대중매체 등을 통해 죽음을 인지하는 반면에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이나 전공수업을 통하여 죽음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Jo & Lee, 2008). Edo-Gual, Tomás-Sábado, Bardallo-Porras 와 Monforte-Royo (2014)에 따르면, 간호 교육과정 중 간호대학생이 경험하는 가장 큰 스트레스적인 사건은 환자와 그 가족들이 경험하는 고통과 임종상황에서 요구되는 관계와 환자의 죽음이다. 간호대학생은 임상실습 과정 중에 불가피하게 죽음이나 죽어가는 상황에 접촉하여야 하며 임종환자와 그 가족을 간호하는 과정에서 공포와 슬픔, 혼동, 불안 및 환자 옹호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무력감과 의기소침, 신체적 피로감 등을 경험하고 또한 환자의 죽음이나 가족의 슬픔뿐 아니라 자신의 불안에 직면하는 것으로 보고된다(Edo-Gual et al.
회복탄력성이란 무엇인가? , 2014; Santos & Moreira, 2014). 회복탄력성이란 역경에 직면하여 회복하고 적응하는 능력으로 개인이 그 역경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경험과 학습을 통하여 더 강해진다고 한다(Pines et al., 2014).
죽음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가 임종환자 간호에 영향을 끼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임종간호는 생의 마지막 단계에서 인간으로서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삶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인간호를 요구하는 바, 적극적이고 질적인 임종간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올바른 태도가 선행되어야 한다. 스스로 죽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자신이 죽음에 대한 깊은 감정에 직면할 수 있어야 하며 인간의 죽음에 대한 스스로의 철학과 태도를 가지고 있어야 환자와 그 가족들을 도울 수 있다(Lee, 2013). 따라서 죽음에 대한 의료인의 태도가 임종환자 간호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죽음에 대한 태도는 단시간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됨을 고려하여, 간호 교육과정에서부터 간호대학생이 죽음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죽음과 임종간호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Edo-Gual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raun, M., Gordon, D., & Uziely, B. (2010). Associationsbetween oncology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and caring for dying patients. Oncology Nursing Forum, 37(1), 43-49. 

  2. Cho, H. J., & Kim, E. S. (2005). The effect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the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of nursing student.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2), 163-172. 

  3. Choi, S. H., Lee, E. J., & Park, M. J. (2002). A comparison of death orientation in student nurses before and after studying a maj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9(3), 424-433. 

  4. Edo-Gual, M., Monforte-Royo, C., Aradilla-Herrero, A., & Tomas-Sabado, J. (2015). Death attitudes and positive coping in Spanish nursing undergraduates: A cross-sectional and correlational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4(17-18), 2429-2438. 

  5. Edo-Gual, M., Tomas-Sabado, J., Bardallo-Porras, D., & Monforte-Royo, C. (2014). The impact of death and dying on nursing students: An explanatory model.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3(23-24), 3501-3512. 

  6. Frommelt, K. H. (1991). The effects of death of education on nurses' attitudes toward caring for terminally ill persons and their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Care, 8(5), 37-43. 

  7. Hart, P. L., Brannan, J. D., & Chesnay, M. D. (2014). Resilience in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2(6), 720-734. 

  8. Hong, E. M., Jun, M. D., Park, E. S., & Ryu, E. J. (2013).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3(4), 265-272. 

  9. Ji, E. J., Bang, M. R., & Jeon, H. J. (2013). Ego resilience, communication abi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4), 571-579. 

  10. Ji, S. I., & You, H. S. (2014). The impact of clinical nurses' terminal care attitude and spiritual health on their terminal care stres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17(4), 232-240. 

  11. Jo, K. H., & Lee H. J. (2008).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depression, level of satisfaction and death attitud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2), 229-237. 

  12. Jung, S. Y., Lee, E. K., Kim, B. H., Park, J. H., Han, M. K., & Kim, I. K. (2011). Attitude toward death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168-177. 

  13. Kim, K. H., Kim, K. D., Byun, H. S., & Chung, B. Y. (2010). Spiritual well-being, self-esteem, and attitude to death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10(1), 1-9. 

  14. Kim, M. S., & Moon, H. J. (2016).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ilience, perfectionism, and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n job stres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20(2), 53-73. 

  15. Kim, S. E. (2014). Knowledge of hospice and attitude toward care of the dying in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Pusan, Pusan. 

  16. Kim, S. H. (2013). Development of nursing students death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17. Kim, S. H., & Kim, D. H. (2011). Nursing students' attitude to death, death-related education experience and educational need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405-413. 

  18. Kim, S. J. (2015). Death anxiety and terminal care attitudes of nurses in hospice palliative units. Nursing Science, 27(1), 23-34. 

  19. Kim, S., Kim, H., & Choi, S. (2011). Effects of a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ducation program including meaning in life on attitudes toward end-of-life care and meaning in life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454-463. 

  20. Lee, H. J. (2013). A study on the nursing student' attitude toward death and perception on hospice car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9(2), 88-95. 

  21. Park, J. A., & Lee, E. K. (2011).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n college adapta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3), 267-276. 

  22. Park, S. C. (1992). A study on the death orientation of hospice volunte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2(1), 68-80. 

  23. Parry, M. (2011). Student nurses' experience of their first death in clinical prac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7(9), 448-453. 

  24. Pines, E. W., Rauschhuber, M. L., Cook, J. D., Norgan, G. H., Canchola, L., Richardson, C., et al. (2014). Enhancing resilience, empowerment, and conflict management among baccalaureate students: Outcomes of a pilot study. Nurse Educator, 39(2), 85-90. 

  25. Santos, R. A., & Moreira, M. C. N. (2014). Resilience and death: the nursing professional in the car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life-limiting illness. Ciencia & Saude Coletiva, 19(12), 4869-4878. 

  26. Shin, E. J. (2011). Influence of the death education program on meaning in life, death anxiety, and attitude toward nursing care of the dying patient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2(3), 65-74. 

  27. Shin, W. Y., Kim, M. G., & Kim, J. H. (2009). Developing measures of resilience for Korean adolescents and testing cros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Studies on Korean Youth, 20(4), 105-131. 

  28. Statistics Korea (2016, February). Preliminary results of birth and death statistics in 2015. Retrieved September 5, 2016, from the Statistics Korea Web site: http://khttp://kostat.go.kr/portal/eng/pressReleases 

  29. Stephens, T. M. (2012). Increasing resilience in adolescent nursing students. Retrieved September 6, 2016, from University of Tennessee, Knoxville, Trace (Tenessee Research and Creative Exchange) Web site: http://trace.tennessee.edu/utk_graddiss/ 

  30. Thorson, J. A., & Powell, F. C. (1988).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s of dea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4(5), 691-7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