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중국·일본 세 나라 공정서수재 생약의 기원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Botanical Origin of Crude Drugs in Official Compendia of Korea, China and Japa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8 no.4, 2017년, pp.350 - 358  

박우성 (경상대학교 약학대학) ,  김혜진 (경상대학교 약학대학) ,  안미정 (경상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an essential prerequisite to use exact botanical origin of crude drugs for a therapeutic effect. The botanical origin also affects the standard for quality control. During the past decades, Korea, China and Japan have developed individually their own official compendia for crude drugs to tun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공정서에 수재된 항목을 중심으로 중국과 일본 세 나라의 생약관련 최근 공정서에 수재된 생약의 기원현황을 비교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비교조사항목을 세 나라의 공정서에 수재되어 있는 생약의 기원에 관한 내용 중에서 기원동식물의 과(family, 科)와 속(genus, 屬), 종(species, 種), 사용부위 및 채집시기에 대한 항목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약의 기원은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가? 생약의 기원은 광물성생약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동식물의 학명과 사용부위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생약을 사용하는 목적은 원하는 약리활성을 얻고자 하는 데 있고, 이러한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은 대부분이 생물종의 고유한 생합성 경로에 따라 생성되는 것이므로 생물학적 기원이 다르면 성분계열이 다를 수 있고, 산지와 생육조건, 채집시기에 따라서도 성분조성이나 함량이 다를 수 있다.
생약을 사용하는 목적은 어디에 있는가? 생약의 기원은 광물성생약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동식물의 학명과 사용부위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생약을 사용하는 목적은 원하는 약리활성을 얻고자 하는 데 있고, 이러한 약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은 대부분이 생물종의 고유한 생합성 경로에 따라 생성되는 것이므로 생물학적 기원이 다르면 성분계열이 다를 수 있고, 산지와 생육조건, 채집시기에 따라서도 성분조성이나 함량이 다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생약은 생물학적 분류방법이 정립되기 훨씬 이전부터 시기와 장소를 달리하여 출발하였기 때문에 기원동식물이 다르거나 사용부위나 가공방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경우에서 같은 생약명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공정서에만 수록된 생약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한 예시는? 한편, 우리나라 공정서에만 수재되어 있는 생약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디기탈리스나 인도사목 등의 경우에는 중요한 생약이긴 하나 실제로 이들 생약이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지 않기에 이들 항목들은 향후 공정서수재품목에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또한, 유백피(楡白皮)와 같이 우리나라의 민간의약으로 소비되어 수입되는 생약재의 경우 그 기원식물의 재검토가 필요하다. 즉, 유백피는 세 나라 공정서 중에서 우리나라 공정서에만 수재되어 있는 생약으로 KHP에서 느릅나무과(Ulmaceae)에 속하는 왕느릅나무 Ulmus macrocarpa Hance의 주피를 제거한 수피로 규정되어 있다. 그러나, 왕느릅나무의 경우에는 경북 북부와 강원도 지방에 한정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실제 민간에서 유통되고 있는 유백피의 경우에는 당느릅나무와 참느릅나무 등이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 기원식물을 왕느릅나무 1종으로 한정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향후 종에 따른 약리효과나 품질에 있어서의 차이를 규명하여 기원식물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백피의 관련생약인 무이(蕪荑)의 경우에는 KHP에서 그 식물학적 기원을 왕느릅나무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씨에 그 나무의 껍질과 황토를 섞어서 발효시킨 것이라고 수재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왕느릅나무 외에 기타 동속식물을 포함시키고 있다. 그러나, 동속식물에 해당하는 난티나무와 비술나무 등은 다른 Ulmus속 식물과는 형태학적으로나 성분학적으로도 다른 양상을 보이므로 향후 검토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생약학교재편찬위원회 (2015) 생약학, 동명사, 서울. 

  2. 홍남두, 김남재 (2007) 한약의 품질관리, 신일상사, 서울. 

  3.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2016) 수입 한약재 유통규모. 

  4. Park, S. H., Youm, J. R. and Chang, I.-M. (1991) Systematic botanical survey of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listed in the official drug compendia (Pharmacopoeia and natural drug standards) of Korea, China and Japan. Kor. J. Pharmacog. 22: 112-123. 

  5. 정명현 (1992) 대한약전 수재 생약의 기원과 현황. 생약학회지 23: 183-189. 

  6. 한대석 (1992) 수입 생약의 현황과 기원에 대하여. 생약학회지 23: 189-198. 

  7. 김형국 (2000) 한약공정서에 관한 연구 (I). 2000년 식약청 용역연구개발사업보고서. 

  8. 김형국 (2001) 한약공정서에 관한 연구 (II). 2001년 식약청 용역연구개발사업보고서. 

  9. 김형국 (2002) 한약공정서에 관한 연구 (III). 2002년 식약청 용역연구개발사업보고서. 

  10. 김형국 (2003) 한약공정서에 관한 연구 (IV). 2003년 식약청 용역연구개발사업보고서. 

  11. 김형국 (2004) 한약공정서에 관한 연구 (V). 2004년 식약청 용역연구개발사업보고서. 

  12.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2015) 대한민국약전 제11개정. 

  13. 식품의약품안전처고시 (2016) 대한민국약전외 한약(생약)규격집. 

  14. ?家?典委?? (2015) 中?人民共和??典, 中???科技出版社, 北京. 

  15. 日本?局方部? (2016) 第十七改正日本?局方, 日本厚生??省, http://www.mhlw.go.jp 

  16. 局外生規2012出版?討? (2012) 日本?局方外生?規格 2012, ?事日報社, 東京. 

  17. 박종희 (2002) 한약백과도감, 신일상사, 서울. 

  18. Srivastava, R. C. and Adi Community (2009) Traditional knowledge of Adi tribe of Arunachal Pradesh on plants. Ind. J. Trad. Know. 8: 146-153. 

  19. Namsa, N. D., Mandal, M., Tangjang, S. and Mandal, S. C. (2011) Ethnobotany of the Monpa ethnic group at Arunachal Pradesh, India. J. Ethnobio. Ethnomed. 31: 1-14. 

  20. Seal, S., Chatterjee, P., Bhattacharya, S., Pal, D., Dasgupta, S., Kundu, R., Mukherjee, S., Bhattacharya, S., Bhuyan, M., Bhattacharyya, P. R., Baishya, G., Barua, N. C., Baruah, P. K., Rao, P. G. and Bhattacharya, S. (2012) Vapor of volatile oils from Litsea cubeba seed induces apoptosis and causes cell cycle arrest in lung cancer cells. PLoS One 7: e47014. 

  21. 김창민, 이영종, 김인락, 신전휘, 김양일 (2015) 한약재감별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22. Choi, G. and Ju, Y. (2017) Review on animal scientific names in the pharmacopoeias of Korean, China, and Japan. Korean Herb. Med. Inf. 5: 23-32. 

  23.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4. Choi, H. and Kang, S. C. (2005) Natural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gent containing the extract of Rheum coreanum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ing organic solvent. Repub. Korean Kongkae Taeho Kongbo KR 2005073707. 

  25. Komatsu, K., Yang, D.-Y., Fushimi, H. and Cai, S.-Q. (2005) Authentication of Rhei Rhizoma. J. Trad. Med. 22: 70-85. 

  26. 국가생물종정보시스템, http://www.nature.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