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한 병원시스템 모델
Hospital System Model for Personalized Medical Servic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12, 2017년, pp.77 - 84  

안윤애 (한국교통대학교 의료IT공학전공) ,  조한진 (극동대학교 에너지IT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해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인공지능 의사를 통한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존의 병원시스템 구성요소인 PM/PA, OCS, EMR, PACS, LIS 만으로는 정확한 의료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에 적합한 병원시스템 모델 및 구축방안에 대한 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도 의료 클라우드 서비스, 왓슨을 도입한 인공지능 진료서비스 등이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 체계적인 병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에 적합한 병원시스템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병원시스템 구성요소에 의료 빅데이터 구축 및 AI 의료 분석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모델을 설계하고 모듈별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제안 모델은 향후 새로운 병원시스템 도입 및 구축을 위한 포괄적인 가이드 라인을 제공하는 기반연구로서 의미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entry into the aging society, we are increasingly interested in wellness, and personalized medical services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are expanding. In order to provide personalized medical services, it is difficult to provide accurate medical analysis services only with the exis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병원정보시스템에 저장된 의료정보를 빅데이터 환경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의 수집, 저장, 관리 등의 다양한 기술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따라서 분산환경에서의 병원정보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므로, 이 절에서는 빅데이터 처리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하둡 기반의 분산환경 구조를 도입한 병원정보시스템 개발 방안을 제시한다. [Fig.
  • 현재 국내에서도 의료 클라우드 서비스, 왓슨을 도입한 인공지능 진료서비스 등이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 체계적인 병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에 적합한 병원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향후 새로운 병원시스템 도입 및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한다.
  • 제안 시스템은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정보 서비스에 쉽게 접목이 가능하고, 머신러닝을 통해 환자 진료에 좀 더 과학적인 분석을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새로운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향후에는 각 시스템 모듈의 상세 설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실질적인 응용 사례를 발굴하는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는 의사 개인에 의한 단순한 진단 및 치료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의사가 분석하지 못하는 개인의 유전정보 및 의료 빅데이터를 병원시스템을 통해 분석하고, 시스템이 제시하는 결과를 토대로 의료진의 협업을 통해 보다 정확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존의 병원시스템 구성요소인 HIS, OCS, EMR, PACS, LIS 만을 사용해서는 정확한 서비스가 부족하게 된다.
  • 따라서 기존의 병원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의료 빅데이터 구축, AI 기반의 의료 분석시스템 구축, 클라우드 환경의 의료정보 서비스 등이 가능한 병원시스템 모델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병원시스템에 의료 빅데이터 및 AI 의료 분석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병원시스템 모델을 설계하고 구축방안을 제시한다.
  • 의료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병 예측 및 진단 분야에서 적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은 데이터 마이닝, 시맨틱 웹, 머신러닝, 딥러닝 등이 있다[18,19]. 이 논문에서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분석 시스템 처리과정을 기술한다.
  • 이 절에서는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의 개념과 이를 위한 병원시스템의 모델을 제안한다.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는 질병의 진단, 치료, 예방을 모두 포함하며, 의료기관 및 유전자정보 관리기관 들의 다양한 정보들이 통합되어 하나의 빅데이터를 구성해야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UR란? 임상의사결정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통한 일반적인 진료에서도 포괄적으로 서비스되는 특징을 가진다. 현재 병원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 처방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DUR(Drug utilization review)[12]을 통해 간단한 임사의사결정의 보조적인 지원을 받고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표준 진료지침(Clinical pathway), 합병증(Complication), 의료협진(Shared care) 등을 통한 임상의사결정의 체계적인 지원체계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맞춤형 의료서비스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병원정보시스템의 하위 모듈에서 생긴 데이터는 어디에 저장되는가? 병원정보시스템(Hospital Information System) 모듈은 전통적인 병원정보시스템의 기능을 그대로 포함하며 OCS, EMR, PACS, PM/PA 모듈을 가진다. 각 모듈에서 생성된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병원 내의 자체 DB 서버에 저장이 된다. 아울러,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병원의 경우에는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 빅데이터 서버에 부분적으로 병원에서 생성되는 정보들이 저장된다. 따라서 전통적인 병원정보시스템이 분산환경의 데이터 저장관리 구조로 개선되어야 한다.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는 어떻게 수행되는가?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Personalized medical service)는 병원정보시스템과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종양학(Oncology), 유전체학(Genomics) 등을 토대로 한 인공지능 의료분석 모듈을 통해서 수행된다[19]. 임상의사결정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을 통한 일반적인 진료에서도 포괄적으로 서비스되는 특징을 가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ttps://en.wikipedia.org/wiki/Personalized_medicine 

  2. http://www.eonline.com/news/418466/angelinajolie-reveals-having-double-mastectomy-to-prevent-breast-cancer 

  3. Watson Health, https://www.ibm.com/watson/health/?lnkmpr_buwh 

  4. Y. S. Jung, "Implementation Plan of Integrated Medical Information System for Ubiquitous Healthcare Service",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15, No. 2, pp. 115-126, 2010.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tandards for facilities and equipment necessary for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2016 

  6. N. K. Lee and J. O. Lee,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Clou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Vol. 20, No. 3, pp.89-112, 2015. 

  7. IBM Cloud, https://www.ibm.com/cloud-computing/solutions/healthcare 

  8. LifeRecord, http://www.liferecord.kr 

  9. Clemr, https://www.bit.kr/01_business/business_01_1_01.aspx 

  10. Korea University Hospital News, http://anam.kumc.or.kr/upload/letter/anam/letter121.pdf, 2017 

  11.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ttp://www.nhis.or.kr/menu/retriveMenuSet.xx?menuIdF6000 

  12.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http://opendata.hira.or.kr/or/orb/bigInfo.do 

  13. I. J. Lee, "Domestic and Overseas Healthcare Big Data Trends and Challenges", Weekly Technology Trends, IITP, No. 1654, pp. 14-23, 2014. 

  14. K. H. Kim, J. H. Lee, and A. S. Oh, "The convergence of medical IT and big data",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Review, Vol. 21, No. 2, pp. 17-26, 2013. 

  15. Ethicon Endo-Surgery, "Computer-Assisted Personalized Sedation System", Clinical User Guide/Operator's Manual, Document Part No. EES0001446 Revision B, 2009. 

  16. M. Rastgarpour and J. Shanbehzadeh, "Application of AI Techniques in Medical Image Segmentation and Novel Categorization of Available Methods and Tools", Proceedings of the IMECS 2011, Vol. I, 2011. 

  17. C. W. Hanson III and B. E. Marshall, "Artificial intelligence applications in the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the Critical Care Medicine, Vol. 29, No. 2, pp. 427-435, 2001. 

  18. K. Y. Lee and J. H. Kim,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rends and IBM Watson References in the Medical Field",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Vol. 18, No. 2, pp. 51-57, 2016. 

  19. K. Y. Lee, J. H. Kim, and H. C. Kim, "Medical Artificial Intelligence Status and Tasks",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Health Industry Brief, Vol. 219, pp. 12-22,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