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행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고속도로 이동공사 안전성평가
Evaluation of Freeway Mobile Work Zone Safety using Driving Simulations 원문보기

韓國ITS學會 論文誌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 v.16 no.6, 2017년, pp.124 - 140  

박현진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문재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사구간으로 진입하는 운전자에게 안전한 회피행동을 유도하는 공사장 안내 및 경고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공사구간의 경우 작업차량 후방에 작업보호차량을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지만 안전한 회피행동을 유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동공사구간에서 운전자의 주행행태분석을 통하여 안전성을 평가하고 능동적인 사고예방대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행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이동공사와 고정공사 구간에 대한 주행실험 시나리오를 제작하고 운전자의 주행궤적자료 수집하였다. 차로변경 시 종점, 차로변경 수행거리를 도출하여 주행특성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피실험자가 전방의 이동작업차량을 회피할 때의 주행궤적자료를 수집하여 주행안전성 평가지표인 Safety Distance Index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이동공사가 고정공사보다 위험한 주행행태를 나타냈다. 특히 주행차량은 저속으로 이동하는 작업차량을 사전에 인지하지 못하여 차로변경 시점이 늦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동공사 시 운전자가 작업보호차량을 사전에 신속히 인지하고 적절한 회피행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경고정보를 제공하는 교통안전 향상 방안의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exists a limitation to provide proper advance information for safe maneuvering through guidance and caution signs in freeway mobile work zones, unlike fixed work zones. Although a work-protection vehicle is currently deployed at the rear of the work vehicle, more active countermeasures to pre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작업보호차량을 작업차량 후방에 배치하고 있으나 보다 능동적인 교통안전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행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이동공사구간에서의 운전자의 주행행태 자료를 수집하여 능동적인 사고예방을 위한 안전성 증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공사구간 교통사고특성에 대한 연구결과와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연구방법 그리고 교통안전 평가지표 연구에 대한 연구문헌을 고찰하였다.
  • 또한 주행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연구는 운전자의 주행특성을 파악하는데 많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동공사구간에서의 운전자 주행특성에 관한 연구는 찾아볼 수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 이동 공사구간에서 주행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개별운전자의 주행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이동작업차량의 안전성향상을 위한 기반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화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반응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사구간 유형으로 한정하기 위하여 Free Flow 교통류 상태에서 주행하도록 교통환경을 통제한 후, 차로변경 시ㆍ종점 및 차로변경 수행거리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주행 차량은 고속도로 통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폭 1.
  • 본 연구에서는 주행안전성평가 시 분석대상의 시공간적 범위를 운전자가 차로변경을 시작한 시점부터 차로변경을 완료한 종점까지로 정의하였다. 차로변경을 수행하는 동안의 SDI 프로파일을 산출하여 주행안전성을 평가하였다.
  • 즉 이동공사가 고정공사보다 보다 심각한 교통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에 대하여 고속도로 이동공사구간에서의 운전자 주행특성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이동공사구간의 안전성 증진을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시간 t에서 주행차량과 이동작업차량이 H 만큼 떨어져있는 시점에서 주행차량의 최소정지거리와 이동작업차량의 최소정지거리에서 이동작업차량 길이의 차이로 산출된다(Equation(1)). 이동작업차량의 길이는 5톤 노면청소차의 규격을 반영하여 6.6m로 가정하였다. 산출된 SDI의 값이 ‘0’보다 같거나 작은 경우는 후방 차량이 안전하게 정지할 수 있는 거리가 미확보된 상황으로 교통사고 발생 개연성이 높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짧은 시간동안 수행되는 이동공사를 위해 작업보호자동차에 장착하는 것은 무엇인가? 반면, 짧은 시간동안 수행되는 이동공사는 원활한 공사 진행, 교통지체 방지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하여 관련 시설들이 신속하게 설치되고 회수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이동공사 시 교통안전표지, 경고등, 완충시설 등을 작업보호자동차에 장착하여 이동성이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이동공사란 무엇인가? 한국도로공사는 고속도로 공사장 교통관리 기준(2013)에서 도로 공사유형을 이동공사와 고정공사로 분류하고 있다. 이동공사는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면서 작업구간의 교통을 제한하는 공사이며, 그 외 장기, 중기, 단기, 단시간 공사는 고정공사로 정의하고 있다. 고정공사의 교통관리는 주의구간, 변화구간, 작업구간, 작업 활동구역, 종결구간으로 구분하여 구간별로 교통안전표지 및 다양한 안전시설물들을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다.
주행 시뮬레이션이란 무엇인가? 주행 시뮬레이션은 가상의 도로교통환경을 구현하여 개별 운전자의 반응행태에 따른 차량의 거동변화에 대한 실험 및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에서는 [Fig 4]와 같은 장비를 활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rey J. and Olley R.(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weather and road safety: past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Climatological Bulletin, vol. 24, no. 3, pp.123-127. 

  2. Calvi A., Benedetto, A. and De Blasiis, M. R.(2012), "A driving simulator study of driver performance on deceleration lan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5, pp.195-203. 

  3. Ceder A. and Livneh M.(1982), "Relationships between road accidents and hourly traffic flow-I and II: analyses and interpretation,"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14, no. 1, pp.19-44. 

  4. Chatterjee I. and Davis, G. A.(2016), "Analysis of Rear-End Events on Congested Freeways by Using Video-Recorded Shock Wav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583, pp.110-118. 

  5. Choi S. R. N.(2015), Development of active variable speed limit operations technology for adverse weather conditions on freeways,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6. Fajen B. R. and Devaney M. C.(2006), "Learning to control collisions: The role of perceptual attunement and action boundarie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 32, no. 3, pp.300-313. 

  7. Green M.(2009), "Perception-reaction time: Is Olson (and sivak) all you need to know?," Collision: the international compendium for crash research, vol. 4, no. 2, pp.88-93. 

  8. Hong J. Y., Kim K. T.,and Lee S. B.(2010), "Developing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on a Field of Construction Work Using Ordered Probit Model," Journal of the KOSOS, vol. 26, no. 2, pp.89-98. 

  9. Hong S. M., Oh C., Jang J. Y., Kim G. H., Park J. Y. and Chang, M. S.(2012), "Designing pavement marking for Hi-pass lane based on Kansei enginee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ol. 14, no. 1, pp.73-83. 

  10. Hwang D. H., Oh C., Park H. J. and Jung B. J.(2016), "Safety Evaluation of Traffic Merging Control Methods for Freeway Work Zon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4, no. 3, pp.263-277. 

  11. Jafarnejad A., Gambatese J. and Hernandez, S. (2017). "Influence of Truck-Mounted Radar Speed Signs in Controlling Vehicle Speed for Mobile Maintenance Operations: Oregon Case Study," I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6th Annual Meeting (No. 17-05000). 

  12. Jang J. H.(2006), A Study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 in Freeway Work Zone in Korea,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3. Jang J. Y. and Oh C.(2014), "Methodology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In-vehicle Pedestrian Warning Systems Using a Driving Simulato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ol. 32, no. 2, pp.106-118. 

  14. Jang J. Y. Jang M. S., Kim J. Y. and Hong S. M.(2012), "Analysis of Drivers Observation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Commercials Signs on Freeway using Eye-tracker," Proceeding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pp.369-374 

  15. Kalokota K. R. and Seneviratne P. N.(1994), Accident prediction models for two-lane rural highways (No. MPC Rept No. 94-32), Mountain-Plains Consortium. 

  16. Kim J. Y.(2012), Highway design driver characteristics study by driver's psycho-physiological workload measurement, Ph.D. Thesis, Hanyang University. 

  17. Kim T. J.(201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ear-end crash potential prediction model using vehicle trajectory,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18. Korea Expressway Corporation(2013), "Highway Work Zone Traffic Control Standard. 

  19. Ministry of Land, Infrasrtucture and Transport(2013), Rules About the Road Structure and Facilities Standards Explanation. 

  20. Oh C. and Kim T.(2010), "Estimation of rear-end crash potential using vehicle trajectory dat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42, no. 6, pp.1888-1893. 

  21. Oh C., Oh J. and Min J.(2009), "Real-Time Detection of Hazardous Traffic Events on Freeways: Methodology and Prototypical Implementation,"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2129, pp.35-44. 

  22. Oh C., Park S. and Ritchie S. G.(2006), "A method for identifying rear-end collision risks using inductive loop detector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38, no. 2, pp.295-301. 

  23. Pande A. and Abdel-Aty M.(2006),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al-time traffic surveillance data and rear-end crashes on free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vol. 1953, pp.31-40. 

  24. Park J. H.(2013), A study on difference of driving behavior on geometric structure using driving simulator,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5. Park J. J. and Park J. H.(2016), "A Study on Formulation of Expressway Work Zone Guidance System Using Virtual Driving Simulator," Proceeding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pp.426-432. 

  26. Park M. C., Lee J. H., Park T. H. and Ha T. J.(2008), "A Study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in Freeway Construction Zone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vol. 7, no. 1, pp.127-136. 

  27. Przybyla J., Taylor J., Jupe J. and Zhou X.(2015), "Estimating risk effects of driving distraction: a dynamic errorable car-following model,"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C: emerging technologies, vol. 50, pp.117-129, ISO 690. 

  28. Qi Y. Srinivasan R., Teng H. and Baker R.(2013),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Rear-end Crashes in Work Zones," Traffic injury prevention, vol. 14, no. 1, pp.61-72. 

  29. Shakouri M., Ikuma L. H., Aghazadeh F., Punniaraj K. and Ishak S.(2014), "Effects of Work Zone Configurations and Traffic Density on Performance Variables and Subjective Workload,"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vol. 71, pp.166-17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