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 디스플레이 사용자 경험을 위한 콘텐츠 요소 가이드라인 연구
Content Guidelines for Multi-Display User Experience in Autonomous Vehicl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 大韓人間工學會誌, v.36 no.6, 2017년, pp.609 - 620  

이윤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랩) ,  유훈식 (연세대학교, 기술과디자인연구센터) ,  반영환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인터랙션디자인랩)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provide guidelines to define the priorities of contents offered according to driving situation and each display's location within an autonomous vehicle in a multi-display environment. Background: As various multi-display types have become recently installed within veh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콘텐츠 소비 플랫폼으로써의 자동차" 관점을 기준으로 자율주행차량 내 다중 디스플레이 환경에서 주행상황 및 각 디스플레이 위치에 따라 콘텐츠 제공의 우선순위를 정의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는 콘텐츠 소비 플랫폼으로써의 자동차 관점에서 운전자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콘텐츠 소비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 차량 내 디스플레이에서 제공되는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콘텐츠의 분류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차세대 융합형 콘텐츠 분류체계'를 보면 기존 오락형(Entertainment) 콘텐츠를 넘어, 지식, 정보, 다양한 유형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미래형 콘텐츠를 정의하고 있다(Seo,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율주행자동차란 무엇인가? 자율주행자동차란 "최종 목적지 설정 후 운전자의 인위적인 조작이나 직접적인 개입없이 스스로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주행 상태를 판단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자동차"이다(Lee, 2015). 전 세계적으로 2020년을 목표로 차량 자동화 level 3 수준의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을 추진중이다[Figure 2].
본 연구에서 동승자 관점에서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후속 연구로 현재 분석된 사용자 요구사항과 관련된 이슈들에 대해 FGI (Focus Group Interview)나 In-depth interview 방식을 통해 정성적인 조사를 병행하여 더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 입장에서만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했기 때문에 동승자 관점에서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동승자 관점에서의 연구를 추가적으로 진행 하여 탑승자 전반의 요구사항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차량의 범위를 "서비스 중심형 스마트카"로 한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제품 중심형의 스마트카는 기계 중심의 자동차 기술에 전기, 전자, 정보 통신 기술을 융복합하여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시키는 자동차이다. 반면, 서비스 중심형의 스마트카는 자동차-도로-ICT 인프라 연계를 통해 안전운전에 필요한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여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하는 서비스 지향형 스마트 자동차이다(Yu,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ang, T. and Hsiao, W., Consumers' automotive purchase decisions: The significance of vehicle-based infotainment systems, African Journal of Business Management, 5(11), 4152-4163, 2011. 

  2. Choi, B.M., A Research of Information Structure and Information Layout in Vehicle Display based on Information Property, Department of Content Convergence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3. Choi, S.M., "Mobile business planning", Mobile business conferences for finding profit models, 6, 2003. 

  4. Cho, Y.J., Park, J.K., Park, S.J. and Jung, E.S., Technology Acceptance Modeling based on User Experience for Autonomous Vehicle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6(2), 87-108, 2017. doi: 10.5143/JESK.2017.36.2.87 

  5. Jeong, G.M., Kim, Y.W., Lee, K.S., Park, C.W., Son, D.L. and Jang, Y.M., Changes and related trends of vehicle encircling technology due to smart car-IT fus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30(9), 33-39, 2013. 

  6. Jeong, H.K., Mobile+Contents, KIPA Special Report, 3, 2008. 

  7. KAIST., A Study on the Influence of Driver's Psychology on Traffic Accident, Korea Transportation Safety Authority, 12, 2013. 

  8. Kim, H.Y., Differentiated approach strategy of contents industry in smart environment, Korea Ministry of Culture, 12, 2011. 

  9. KISTI., Automated driving - What comes first: cars or standards, 2014. 

  10.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Contents Industry Trend of Japan 2015, (20), 2016. 

  11.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https://goo.gl/nGBkiv (retrieved March 29, 2016). 

  12. Lee, B.H. and Moon, J.C., Status and Task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dustry Analysis Team, Bank of Korea, 1, 2009. 

  13. Lee, J.K., Autonomous driving car trend and prospects. Seoul: Convergence Research Policy Center. Convergence Weekly TIP 04. 2015. 

  14. Lee, Y.J., A study on Contextual design for Smart car Infotainment system: Focusing on Mobile device UX and Context, Department of Convergence Content The Graduate School Ewha Womans University, 2016. 

  15. Lee, Y.S., A Study on The Disturbed's Healing Games of Green Contents Concept, Korea Polytechnic 1 Seoul Gangseo College dept. of Computer Game, 7(1), 11-20, 2007. 

  16.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ext Generation Fusion Content Development Strategy, 10, 2008. 

  17.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Standard Korean Dictionary, Seoul, 2017. 

  18. Rim, M.H., Heo, P.S. and Park, Y.J., "An Establishment of Taxonomy for Next-generation Convergent Contents", Proceedings Conference of the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ETRI), The Korea Contents Society, 5 (pp. 121-125), Korea. 2010. 

  19. Seo, J.E., CMS Application and Market Perspective, Information Analysis Report. KISTI, 2013. 

  20. Status of driving license holders, STATISTICS KOREA, 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617 (retrieved March 14, 2017). 

  21. World Laws Information Center, Act on Creation, Protection and Promotion of Contents, 2017. 

  22. Yang, H.S., Kang, K.D. and Son, J.S., "A Study of User Interface Design Guidelines in In-vehicle Infortainment System", Proceedings of the HCI KOREA 2007, 2 (pp. 1392-1398), Korea. 2007. 

  23. Yoo, H.S. and Ju, D.Y., Experience Design Guideline for Smart Car Interface. Journal of the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5(1), 135-150, 2016. 

  24. Yole Developpement., Sensors & Data Management for Autonomous Vehicles report, 10, 2015. 

  25. Yoo, M.H. and Nam, K.H., "Classification System of Mobile Contents based on Convergence Trend",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9(3) (pp. 108-117), Korea. 2009. 

  26. Yu, S.B., Standardization Trend of Smart TC in ISO TC 204, Technical reports of KATS,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71,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