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해설사의 역할이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과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ulture Tourism Interpreter's Role on Visitors' Festival Theme Awareness and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2, 2017년, pp.437 - 446  

양승훈 (신라대학교 국제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 개발의 가치를 축제 콘텐츠 화 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축제는 양적인 풍성함에 비하여 질적인 빈곤이라는 비판으로 자유롭지 못하였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축제콘텐츠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대안적 개발운동으로서 슬로시티에서는 지역주민의 공동체 유지와 방문객의 볼거리 제공차원에서 슬로시티 특화된 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슬로시티 지역 축제에서 문화관광해설사가 개발가치를 전달하고 방문객은 축제주제로서 개발가치를 인식 가능하게 될 것인가를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월 슬로시티 김삿갓면에서 개최된 김삿갓축제 방문객 18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로서 해설형식과 해설내용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식에, 축제주제인식은 재방문의도와 실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문화관광해설사의 성공적인 역할 수행은 방문객의 축제주제인 슬로시티 개발가치를 이해하고 만족뿐만 아니라 느림의 생활운동을 실생활에서 실천해 나가는 선순환 과정을 확보해나갈 수 있다.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은 논의에 포함시켰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ere aimed to verify possible transferring regional development's value into festival contents. It was widely known that Korean festival's theme has been relatively pale in comparing its abundancy, which were required variety of festival contents. Luckily, local residents in Cittaslow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축제에 대한 만족변수, 문화관광해설사에 대한 만족변수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피하고 해설사 서비스가 축제주제를 명확하게 전달시켰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축제주제가 명확히 전달되었을 경우 방문자가 재방문의도와 실천의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특히 실천의도는 슬로시티를 방문하는 관광이 지역의 느림의 생활양식을 배우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이를 실생활에 실천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판단하여 이를 포함시켰다.
  •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체험에 만족한 관광객은 관광목적지에 다시 한번 재방문하고 싶어한다는 측면에서 유사한 다른 국내·외의 슬로시티 축제로의 재방문과 함께 슬로시티 생활양식을 배워 가고 이를 생활로 실천해나간다는 측면에서 실천의도(practice intention)를 포함시키고자 한다.
  •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축제주제의 가능성과 그 역할주체로서 문화해설사를 검토하는데 주목적이 있으므로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한 문화해설사의 역할에 대한 측정문항을 슬로시티와 축제주제를 염두에 두어 재구성하였다. 또한 축제에 대한 만족변수, 문화관광해설사에 대한 만족변수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피하고 해설사 서비스가 축제주제를 명확하게 전달시켰는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축제주제가 명확히 전달되었을 경우 방문자가 재방문의도와 실천의도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비교적 새롭게 대안적 지역개발가치가 주목을 끌고 있는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이러한 가치가 축제 콘텐츠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지역개발가치가 가장 잘 표현되고 또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장 잘 전달될 수 있는 지역 축제의 장에서 축제 콘텐츠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축제 주제가 방문객들에게 잘 전달되고 이를 위해서 문화관광해설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즉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방문객이 지역개발가치로서 축제주제를 이해하고 만족과 긍정적인 행동의도 등 마케팅 성과로 이어질 것인가 이며 이러한 선순환구조 확보가 지역개발치의 축제콘텐츠화 여부를 가늠케 하는 것이다.
  • 또한 슬로시티 지자체는 슬로시티 관광자원화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주민 교육과 함께 혁신 리더그룹으로서 기존의 문화관광해설사를 중심으로 슬로시티 해설사를 양성해 오고 있다. 본 연구는 비교적 새롭게 대안적 지역개발가치가 주목을 끌고 있는 슬로시티를 대상으로 이러한 가치가 축제 콘텐츠로 활용 가능할 수 있는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인 차원에서 지역개발가치가 가장 잘 표현되고 또한 이해관계자들에게 가장 잘 전달될 수 있는 지역 축제의 장에서 축제 콘텐츠화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축제 주제가 방문객들에게 잘 전달되고 이를 위해서 문화관광해설사가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 본 연구는 이러한 개발가치의 활용에 있어서 사람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문화관광해설사는 지역주민으로 구성되며 무엇보다도 지역에 대한 폭넓은 지식과 관심을 가지고 봉사해왔기에 슬로시티의 가치를 공유하는데 있어서 앞장서 온 것이다.
  • 문화해설사의 역할에 따라서 방문자 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영향[17] 생태관광 해설품질은 전라남도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22]. 본 연구에서는 슬로시티 해설사의 해설서비스를 방문자가 제대로 인식하느냐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따라서 역할과 축제주제인식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가설1] 문화해설사 역할은 축제 주제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수립한다.
  • 축제는 지역주민의 공동체적 단합을 통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축제가 방문객을 받아들이는 것은 지역의 얼굴을 알리는 것이며 지역의 통과객은 제2시민, 지역의 관광객은 제3시민이 되어야 한다[3].
  • 한국의 축제의 양적 성장에 대비하여 콘텐츠의 부족으로 요약되는 질적 빈곤을 해결하는 방안으로서 지역개발가치와 문화해설사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축제는 내부적으로 지역사회의 공동체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해왔으며 외부적으로는 방문객에게 볼거리를 제공하여 특수관심관광으로 외연을 넓혀 나갔다.

가설 설정

  • 축제 주제인식은 축제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축제주제 인식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가설 2]은 지지되었다.
  • 중국 슬로시티 가오춘을 방문한 슬로시티 방문객의 만족은 실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9].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가설2] 축제 주제인식은 축제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가설 3-1] 축제 만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2] 축제 만족은 실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다음과 같이 수립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케팅적 성과변수로서 실천의도의 유효성을 재확인 할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이 있는가? 두 번째로 관광의 마케팅적 성과변수로서 실천의도의 유효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최근 관광의 관심이 고프만(Erving Goff man)식의 무대의 뒷면으로 옮겨지고 관광객 보다는 생활인으로서 지역민의 생활양식에 동화되어 나가는 추세를 감안하면 더욱더 그러하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문화관광해설사란 무엇인가? 해설사(interpreter)는 자연과 문화의 의미를 방문자에게 전달하는 사람이다. 이중에서 문화관광해설사는 지역을 방문한 관광객에게 해당지역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주요 관광매력물을 해설하는 사람을 말한다. 명칭에도 나와 있듯이 해설(interpretation)은 해설대상과 관객 사이에 존재하며 쉽게 풀어 이해를 시키는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축제의 역할은 무엇인가? 따라서 축제는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 볼 때 현장성과 상호작용성으로 인해 다른 어떠한 매체보다도 월등한 효과의 메시지 전달성을 보유하고 있다[4]. 따라서 축제는 지역개발의 가치라는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매우 좋은 기회라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축제는 소프트한 측면에서의 개발전략으로서 초기단계에 이해관계자 집단(interest group)의 마인드를 세팅해나 가는데 있어 유효한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강원도민일보, 지역을 살찌우는 축제를 기다리며, http://www.kado.net/?modnews&actarticleVi ew&idxno867972, 2017년 8월 10일 검색. 

  2. W. Frost and J. Laing, "Communicating persuasive messages through slow food festival," J. of Travel Research, Vol.19, No.1, pp.67-74, 2013. 

  3. 히라노, 아키오미(정무영 역), 이벤트의 마력, 서울출판미디어, 2003. 

  4. 조제프 골드블래트 (우진영 역), 스페셜이벤트, 김영사, 1995. 

  5. 백두주, "대안적 지역발전 모델에 관한 연구: 전남 장흥군의 슬로시티 지정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11-139, 2008. 

  6. H. Mayer and P. Knox, Small town sustainability, Brikhauser: Basel, Boston and Berlin, 2006. 

  7. http://www.newsis.com/view/?idNISX2017060 2_0000001921&cID10809&pID10800, 2017.6.2., 2017.08.10검색. 

  8. 김옥희, 민웅기, "슬로관광목적지로서 슬로시티의 정체성과 장소마케팅의 가능성," 관광연구논총, 제25권, 제3호, pp. 25-47, 2013. 

  9. 왕각, 양승훈, 장희정, "슬로시티 관광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제27권, 제4호, pp.199-214, 2015. 

  10. 김주연, 이민재, 안경모, "해설매체에 따른 방문객의 해설속성평가, 만족도 및 문화유산에 대한 태도의 차이 및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1호, pp.434-443, 2011. 

  11. 김남조, "문화유산해설사 교육프로그램 평가: 중요도-성취도 분석방법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0권, 제2호, pp.307-324, 2005. 

  12. 최문용, 양승훈, "마을장터, 지역개발 공유가치 구현의 장," 한국프렌차이즈경영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103-112, 2014. 

  13. S. Pink and T. Lewis, "Making resilience: Everyday affect and global affiliation in Australian Slow Cities," Cultural Geography, Vol.21, No.4, pp.695-710, 2014. 

  14. 예상권, 박희정, 장희정, "슬로시티 지역주민의 애착도와 공동체의식이 태도에 미치는 영향," 농어촌관광연구, 제18권, 제1호, pp.1-26, 2011 

  15. http://www.ksmnews.co.kr/default/index_view _page.php?idx174621&part_idx197., 2017.5.16., 2017.08.10검색. 

  16. http://www.cittaslow.kr, 2017.08.14검색. 

  17. 이순자, "문화관광 해설사의 역할이 관광객 만족과 재방문의도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제20권, pp.117-137, 2006. 

  18. 최정자,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관광경영학회 학술연구발표논문집, pp.101-110, 2008. 

  19. 홍수연, 전주한옥마을 문화관광해설사의 역할속성에 대한 IPA 분석,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3. 

  20. 박수진, 정봉현, "IPA를 활용한 문화관광축제 서비스 품질평가: 광주 추억의 충장축제를 대상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2호, pp.131-152, 2016. 

  21. 천민호, "문화관광 해설이 관광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909-918, 2011. 

  22. 전주영, 임연우,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산학기술학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520-527, 2016. 

  23. 이견실, "생태관광 해설품질과 만족의 관계," 산학기술학회논문집, 제17권, 제2호, pp.520-527, 2016. 

  24. 신창열, 송학준, 이충기, "축제품질, 축제주제인식, 지각된 가치, 만족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관광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346-362, 2011. 

  25. H. Oh, A. Assaf, and S. Baloglu, "Motivation and goal of slow tourism," J. of Travel Research, Vol.55, No.2, pp.205-219, 2016. 

  26. T. Jung, E. Ineson, J. Kim, and M. Yap, "Influence of festival attribute qualities on slow food tourists' experience, satisfaction level and revisit intention," J. of Vacation Marketing, Vol.21, No.3, pp.277-288, 2015. 

  27. K. Lee, N. Scott, and J. Packer, "Habitus and food life style," Annals of Tourism Research, Vol.48, pp.207-220, 2014. 

  28. Y. Cosar and M. Kozak "Slow tourism(Cittaslow) influence over visitors' behavior," Advances in Culture,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9, pp.21-29, 2014. 

  29. http://slowcityksg.kr 

  30. 임상호, 한무영, "물 재사용에 대한 인식이 물 재사용 실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산업진흥연구, 제1권, 제1호, pp.137-142, 2016.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