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멘토링 참여 경험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oring Participation on Science Teachers' General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i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6, 2017년, pp.951 - 960  

강경희 (제주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저경력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저경력 과학교사 멘토링은 J도에서 현직 임용 경력 3년 이하의 과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9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 검사는 선행 연구들에서 개발한 검사지를 수정 보완하여 활용하였다. 과학교수효능감 사전 검사 결과 평균은 3.02점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은 평균 2.86점이었고,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은 평균 3.17점으로 나타나 결과 기대감이 더 높았다. 과학교수 결과 기대감 영역에서 여교사 평균이 남교사 평균 보다 높게 나타났고, 중학교 교사평균이 고등학교 교사 평균보다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사후 검사 결과 멘티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은 평균 3.08점으로 사전 검사보다 증가하였다. 특히 사후 검사에서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은 평균 3.11점, 결과 기대감은 평균 3.04점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멘토링 연수가 멘티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mentoring in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low-experience science teachers on their general teaching and science teaching efficacies. The mentoring for low-experience science teachers was conducted on 24 science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저경력 과학교사 전문성 신장을 위한 멘토링이 일반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저경력 과학교사 멘토링은 J도에서 현직 임용 경력 3년 이하의 과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2016년 4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9개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 그러므로 향후 저경력 과학교사 멘토링을 설계할 때 멘토링의 영역과 수준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전개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과학교사 멘토링과 관련해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멘토링 대상을 교직 경력 3년 이하의 과학교사로 한정하였고, 이를 저경력 과학교사로 지칭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저경력 과학교사들을 대상으로 멘토링을 실시하고, 멘토링 참여 경험이 저경력 과학교사들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 효능감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자아효능감의 개념을 교수 활동에 적용한 것이 교수 효능감이다. 교수 효능감은 학생들을 잘 가르칠 수 있다는 자신의 교수 능력에 대한 믿음인 교수에 대한 개인 효능감과 교수를 통하여 학생들을 동기화시키고 학업 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구성된다. 교수 효능감은 실제 교실 환경을 구성하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저경력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긍정적인 교수 효능감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교사 멘토링의 4가지 유형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 2009), 교단 적응 멘토링, 교과 수업 멘토링, 수업 공개와 요청 장학, 모범 수업 시연 등이 실시되고 있다. 교단적응 멘토링은 주로 초임교사의 교단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고, 교과 수업 멘토링은 교과별 수업 전문성 제고에 초점을 두고 있다(Kwak, 2011). 수업장학지원은 수업 전문성 제고를 위해 실시되는 것으로 수업 공개 자료를 대상으로 장학 요원이 파견되어 수업 개선을 위한 컨설팅을 위주로 이루어지고, 모범 수업 시연은 수업 전문성을 갖춘 경력 교사의 수업 시연을 통해 수업 기술을 보급하는 형태이다. 멘토링 등의 교사협력활동을 통한 교사 전문성 향상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교수효능감은 중요한 매개 변인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국내에서 실시되는 교사 멘토링의 유형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현재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사 멘토링의 유형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되는데(Kwak et al., 2009), 교단 적응 멘토링, 교과 수업 멘토링, 수업 공개와 요청 장학, 모범 수업 시연 등이 실시되고 있다. 교단적응 멘토링은 주로 초임교사의 교단 적응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고, 교과 수업 멘토링은 교과별 수업 전문성 제고에 초점을 두고 있다(Kwak,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kerson, V. L., & Flanagan, J. (2000). Preparing preservice teachers to us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science and language arts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4), 345-362. 

  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3. Carter, K. (1990). Teachers' knowledge and learning to teach. New York: Macmillan. 

  4. Cho, S., & Kim, B. (2010).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s of Master Teacher System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Master Teachers and Peer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 Study, 31(2), 1-21. 

  5. Choi, S. J., Kwon, J., & Nam, J. (2014). An analysis on mentor teacher's difficulties during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6), 638-648. 

  6. Choi, S. W., & Kim, J. H. (2012). A case stud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collaboration with inclusive class teacher, Th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1(3), 488-506. 

  7. Claycomb, C., & Hawley, W. D. (2000). Recruiting and retaining effective teachers for urban schools: Developing a strategic plan for action, National Partnership for Excellence and Accountability in Teaching. Washington, D.C. 

  8. Cunningham, B. (2005). Mentoring teachers in post compulsory education: A guide to effective practice. New York: David Fulton Publisher. 

  9. Jeon, H. Y., Yoo, M. H., Hong, H. G., & Park, E. I. (2009). Study on Teaching Anxiety and Effor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1), 68-78. 

  10. Kang, K. H., & Huh, H, G. (2016). Effects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curriculum of science on efficacy of science teaching & scientific attitude: Focused on current teachers, Child Education Research, 36(4), 127-150. 

  11. Kim, H. K. (2009). Critical Review of Newly Proposed Master Teacher: Focusing on the Solutions for each Issue, Educational Idea, 23(2), 25-41. 

  12. Kwakman, K. (2003). Factors affecting teacher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teacher educa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2), 149-170. 

  13. Kwak, Y. (2010). Research on the changes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through a mentoring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4), 403-417. 

  14. Kwak, Y. (2011).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System to Support Beginning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1), 1-13. 

  15. Kwak, Y., Eun, J. Y., & Kim, K. J. (2009). A Study on Mentoring System for Improving Instructional Expertise,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rch Report RRI 2009-7. 

  16. Koh, H., Choi, M., & Kang, S. (2007). A Study on some background variables related to the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2), 192-200. 

  17. Kolb, D. A. (198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Jersey: Englewood Cliffs, Prentice Hall, Inc. 

  18. Kolb, D. A., & Lewis, L. H. (1986). Facilitating experiential learning:Observation and reflections. Lewis, L. H.(Ed) Experiential and simulation techniques for teaching adults, San Francisco: Jossey-Bass Higher Education Series. 

  19. Korthagen, F. (2001). Linking practice and theory: The pedagogy of realistic teacher education.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 Lee, M., & Na, S. (2006). The Satisfaction and Educational Needs of Beginning Technology Teachers about the Training Program for New Teachers,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2(3), 45-66. 

  21. Lim, H. (2007). Comparison of general teaching efficacy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131-139. 

  22. Martin, A., & Trueax, J. (1997). Transformative demension of mentoring: Implications for practice in the trai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25 405). 

  23. Nam, J., Ko, M., Lee, S., Go, M., & Sung, H. (2012).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10), 1613-1626. 

  24. Odell, S. J. & Ferraw, D. P. (1992). Teacher mentoring and teacher reten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3), 200-204. 

  25. Park, H. J., Seong, S., & Jeong, P. H. (2011).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8), 1055-1076. 

  26. Park, J. H., Song, I. B., Kim, H. Y., & Kwak, H. J. (2015). The mediation effect of instructional efficacy as it pertains to a teacher;s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ir perception of instructional prefessionalism's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2(1), 81-105. 

  27. Park, J. P. (2009). A Study on the Beginning Teachers'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3), 131-157. 

  28. Ramey-Gassert, L., Shroyer, M. G., & Staver, J. R. (1996). A qualitative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of elementary level teachers. Science Education, 80(3), 283-315. 

  29.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q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30. Schon, D. (1987). Educating the reflective practitioner: Toward a new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s. CA: Jossey-Bass. 

  31. Seo, K. H. (2012). An action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cillaborative inquiry,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2), 49-76. 

  32. Seol, K. J. (2012). Changes and limitations of specialty for social studies instruction of beginning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ideal of consulting, Social Studies Education, 51(1), 65-89. 

  33. Shim, S. (2017). Association among professional recogni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child relationship,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The Journal of Child Education, 26(3), 187-206. 

  34.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21. 

  35. Son, S. N. (2005). Teacher Education Evaluation in Terns of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Journal of. Korea Teacher Education, 22(1), 89-108. 

  36. Tosun, T. (2000). The belief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7), 374-379. 

  37. Veenman, S. (1984). Perceived problems of beginning teacher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4(2), 143-178. 

  38. Young, B. & Kellogg, T. (1993). Science attitudes and prepar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7(3), 279-2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