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망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처방 유형에 따른 임상 경과의 차이
Clinical Course according to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in Delirium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2, 2017년, pp.120 - 128  

박재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재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성종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김성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및 의학행동과학연구소) ,  박진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섬망의 증상을 조절하기위해 일반적으로 항정신병약물이 사용되지만, 투약 기간 및 용법과 같은 처방 양상과 환자의 임상 경과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 연구를 통해 섬망을 경험한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양상에 따라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서울의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으로 자문조정이 의뢰된 입원 환자 중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퇴원한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입원 기간, 사망, 인구통계학적 자료 및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CAM-ICU를 통해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지속투약군, 최적투약군, 필요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 항정신병약물을 섬망 회복 후에도 지속적으로 투약 받은 지속투약군은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만 투약 받은 최적투약에 비하여 입원 기간 및 섬망 이환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퇴원시 불필요한 항정신병약물 처방을 받은 비율이 높았다. 섬망 이환기간에 비해 짧은 기간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필요투약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섬망 이환기간이 길고 사망률이 높았다. 결 론 이 연구의 결과는 섬망 이환기간에만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함을 시사한다. 또한 섬망이 회복된 후에 불필요하게 항정신병약물이 처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위한 정신건강의학과 자문의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Although antipsychotics are commonly used to control symptoms of delirium,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prescription pattern and its clinic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on clinical course of delirious p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미 섬망이 발생한 후에는 질환의 특징상 환자의 직접 동의가 어렵고, 중대한 신체 기능의 저하가 있어 연구 참여가 제한되는 경우도 많다는 점에서 대규모 임상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이 의심되어 자문조정이 의뢰된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향적 연구를 통해 항정신병약물 처방 양상에 따른 임상 경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투약 양상에 따라 최적투약군(optimal use group), 필요투약군(PRN use group), 지속투약군(Continuous use group)으로 구분하여 섬망 이환기간, 입원기간, 사망률을 비교하였다.
  • 1). 본 연구는 강남세브란스병원 임상시험관련 윤리위원회의의 승인을 받은 후,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한 후향적 조사를 통하여 진행되었다.
  • 본 연구는 섬망 치료 시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임상 경과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이 실제 섬망의 임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외국의 사례와 같이 국내에서도 섬망이 호전된 후에도 항정신병약물이 불필요하게 투약되는 경우가 적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은 어떤 증후군인가? 섬망은 인지기능의 저하를 동반한 주의력과 집중력의 저하가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양상을 보이는 증후군으로 환각, 망상 등의 정신병적 증상이나 정신운 동성 초조, 공격적 행동 등을 동반할 수 있다. 최근 노인인구의 증가와 만성질환의 증가에 따라 섬망의 임상적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는 데 이용한 것은 무엇인가? 방 법 서울의 일 종합병원에서 섬망으로 자문조정이 의뢰된 입원 환자 중 2016년 7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퇴원한 2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입원 기간, 사망, 인구통계학적 자료 및 임상적 요인을 조사하였고, CAM-ICU를 통해 섬망 지속 기간을 측정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의 처방 유형에 따라 지속투약군, 최적투약군, 필요투약군으로 나누어 임상 경과를 비교하였다.
일부 임상가들이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는 항정신병약물을 투여하는 까닭은 무엇인가? 항정신병약물의 부작용으로 인한 위험이 높은 심한 심혈관계 질환이나 폐질환을 동반한 환자의 경우, 임상가들은 흔히 섬망으로 인해 자해나 타해의 위험이 있을 경우에만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하곤 한다. 하지만 자해나 타해의 위험을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로, 예측에 실패하여 이미 환자에게 위해가 생긴 이후에 항정신병약물을 투약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너무 늦은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일부 임상가들은 환자에게 행동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섬망 증상이 있는 기간에는 항정신병약물을 투약하는 것을 선호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Inouye SK, Westendorp RGJ, Saczynski JS. Delirium in elderly people. Lancet 2014;383:911-922. 

  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5th ed.; DSM-5). New York: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p.596-602 

  3. Peritogiannis V, Stefanou E, Lixouriotis C, Gkogkos C, Rizos DV. Atypical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Psychiatry Clin Neurosci 2009;63:623-631. 

  4. Yoon HJ, Park KM, Choi WJ, Choi SH, Park JY, Kim JJ, Seok JH. Efficacy and safety of haloperidol versus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BMC Psychiatry 2013;13:240. 

  5. Neufeld KJ, Yue J, Robinson TN, Inouye SK, Needham DM. Antipsychotic Medic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Geriatr Soc 2016;64:705-714. 

  6. Friedman JI, Soleimani L, McGonigle DP, Egol C, Silverstein JH. Pharmacological Treatments of Non-Substance-Withdrawal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of Prospective Trials. Am J Psychiatry 2014;171:151-159. 

  7. Lonergan E, Britton AM, Luxenberg J. Antipsychotics for delirium. Cochrane Database Syst Rev. John Wiley & Sons, Ltd;2007. p.1-17. 

  8. Al-Qadheeb NS, Skrobik Y, Schumaker G, Pacheco MN, Roberts RJ, Ruthazer RR, Devlin JW. Preventing ICU Subsyndromal Delirium Conversion to Delirium With Low-Dose IV Haloperidol: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Crit Care Med 2016;44:583-591. 

  9. Fok MC, Sepehry AA, Frisch L, Sztramko R, Borger van der Burg BLS, Vochteloo AJH, Chan P. Do antipsychotics prevent postoperative delirium?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t J Geriatr Psychiatry 2015;30:333-344. 

  10. Kim DH, Huybrechts KF, Patorno E, Marcantonio ER, Park Y, Levin R, Abdurrob A, Bateman BT.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Antipsychotic Use in Hospitalized Older Adults After Cardiac Surgery. J Am Geriatr Soc 2017;65:1229-1237. 

  11. Kales HC, Kim HM, Zivin K, Valenstein M, Seyfried LS, Chiang C, Cunningham F, Schneider LS, Blow FC. Risk of Mortality Among Individual Antipsychotics in Patients With Dementia. Am J Psychiatry 2012;169:71-79. 

  12. National Clinical Guideline Centre UK. Delirium: Diagno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the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linical Excellence;2010. p.299-376. 

  13. Hu Hua, Deng Wei, Yang Hui, Liu Yu. Olanzapine and Haloperidol for Senile Delirium: A Randomized Controlled Observation. Chinese Journal of Clinical Rehabilitation 2006;42:188-190. 

  14. Barr J, Fraser GL, Puntillo K, Ely EW, Gelinas C, Dasta JF, Davidson JE, Devlin JW, Kress JP, Joffe AM, Coursin DB, Herr DL, Tung A, Robinson BR, Fontaine DK, Ramsay MA, Riker RR, Sessler CN, Pun B, Skrobik Y, Jaeschke R, American College of Critical Care M.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pain, agitation, and delirium in adult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 Care Med 2013;41:263-306. 

  15. Baron R, Binder A, Biniek R, Braune S, Buerkle H, Dall P, Demirakca S, Eckardt R, Eggers V, Eichler I, Fietze I, Freys S, Frund A, Garten L, Gohrbandt B, Harth I, Hartl W, Heppner H-J, Horter J, Huth R, Janssens U, Jungk C, Kaeuper KM, Kessler P, Kleinschmidt S, Kochanek M, Kumpf M, Meiser A, Mueller A, Orth M, Putensen C, Roth B, Schaefer M, Schaefers R, Schellongowski P, Schindler M, Schmitt R, Scholz J, Schroeder S, Schwarzmann G, Spies C, Stingele R, Tonner P, Trieschmann U, Tryba M, Wappler F, Waydhas C, Weiss B, Weisshaar G. Evidence and consensus based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delirium, analgesia, and sedation in intensive care medicine. Revision 2015(DAS-Guideline 2015)-short version. Ger Med Sci 2015;13:4-8. 

  16. Meagher DJ, McLoughlin L, Leonard M, Hannon N, Dunne C, O'Regan N. What Do We Really Know About the Treatment of Delirium with Antipsychotics? Ten Key Issues for Delirium Pharmacotherapy. Am J Geriatr Psychiatry 2013;21:1223-1238. 

  17. Ely EW, Margolin R, Francis J, May L, Truman B, Dittus R, Speroff T, Gautam S, Bernard GR, Inouye SK. Evaluation of delirium in critically ill patients: validation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CAMICU). Crit Care Med 2001;29:1370-1379. 

  18. Heo EY, Lee BJ, Hahm BJ, Song EH, Lee HA, Yoo CG, Kim YW, Han SK, Shim YS, Lee SM.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BMC Psychiatry 2011;11:94. 

  19. Ely EW.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CU (CAM-ICU) The Complete Training Manual. Nashville: ICU Delirium and Cognitive Impairment Study Group. Vanderbilt University Medical Center;2016. p.16-21. 

  20. Page VJ, Ely EW, Gates S, Zhao XB, Alce T, Shintani A, Jackson J, Perkins GD, McAuley DF. Effect of intravenous haloperidol on the duration of delirium and coma in critically ill patients(Hope-ICU): a randomis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Lancet Respir Med 2013;1:515-523. 

  21. Briskman I, Dubinski R, Barak Y. Treating delirium in a general hospital: a descriptive study of prescribing patterns and outcomes. Int Psychoger 2010;22:328-331. 

  22. Bae JH, Kang WS, Paik JW, Kim JW. Changing trends in the occurrence and management of delirium for 5 years in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Psychosom Med 2012;20:112-119. 

  23. Paik SH, Min S, Ahn JS, Park KC, Kim MH. Symptomatic and Clinical Profiles Across Motoric Subtypes in Delirium. Korean J Psychosom Med 2015;23:79-85. 

  24. Flurie RW, Gonzales JP, Tata AL, Millstein LS, Gulati M. Hospital delirium treatment: Continuation of antipsychotic therapy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to discharge. Am J Health Syst Pharm 2015;72:133-139. 

  25. Herzig SJ, Rothberg MB, Guess JR, Stevens JP, Marshall J, Gurwitz JH, Marcantonio ER. Antipsychotic use in hospitalized adults: rates, indications, and predictors. J Am Geriatr Soc 2016;64:299-305. 

  26. Jasiak KD, Middleton EA, Camamo JM, Erstad BL, Snyder LS, Huckleberry YC. Evaluation of Discontinuation of Atypical Antipsychotics Prescribed for ICU Delirium. J Pharm Pract 2013;26:253-256. 

  27. Tolppanen A-M, Koponen M, Tanskanen A, Lavikainen P, Sund R, Tiihonen J, Hartikainen S, Taipale H. Antipsychotic Use and Risk of Hospitalization or Death Due to Pneumonia in Persons With and Those Without Alzheimer Disease. Chest 2016;150:1233-1241. 

  28. Bozat-Emre S, Doupe M, Kozyrskyj AL, Grymonpre R, Mahmud SM. Atypical antipsychotic drug use and falls among nursing home residents in Winnipeg, Canada. Int J Geriatr Psychiatry 2015;30:842-850. 

  29. Johnell K, Jonasdottir Bergman G, Fastbom J, Danielsson B, Borg N, Salmi P. Psychotropic drugs and the risk of fall injuries, hospitalisations and mortality among older adults. Int J Geriatr Psychiatry 2017;32:414-420. 

  30. Vandael E, Vandenberk B, Vandenberghe J, Willems R, Foulon V. Risk factors for QTc-prolongation: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Int J Clin Pharm 2017;39:16-25. 

  31. Kooi AWvd, Peelen LM, Raijmakers RJ, Vroegop RL, Bakker DF, Tekatli H, Boogaard Mvd, Slooter AJC.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Dutch Intensive Care Units: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Am J Crit Care 2015;24:488-495. 

  32. Chevrolet JC, Jolliet P. Clinical review: Agitation and delirium in the critically ill-significance and management. Crit Care 2007;11:2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