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망 환자에서 항정신병약물 처방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특징
Clinical Features Affecting Antipsychotic Prescription for Delirium Patients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7 no.2, 2019년, pp.111 - 118  

김종원 (계요병원) ,  김민혁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백수현 (계요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한 항정신병약물 처방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 기독병원에 입원하여 정신건강의학과에 협진 의뢰된 환자 중, 일반신체질환에 의한 섬망으로 진단된 18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한 군과 사용하지 않은 군으로 구분하여 임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항정신병약물 사용군은 129명(66.5%)으로 정신과약물 사용력이 많았다. 특히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사용력에서 두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섬망평가척도 대다수에서 항정신병약물 사용군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결 론 항정신병약물 사용군은 섬망의 외현 증상이 두드러지며 기저에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복용력이 높았다. 이는 벤조디아제핀이 섬망의 경과와 외현 증상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다. 임상 현장에서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섬망의 임상적 특징에 대한 이해가 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ntipsychotic medication prescription for the symptom control in patients with delirium. Methods : One hundred and eighty-five patients referred to consultation-liaison psychiatric services for delirium due to ...

주제어

표/그림 (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향후 섬망의 항정신병약물 처방 근거를 마련하는 데에도 중요한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해 항정신병약물을 방하는 데 영향을 미친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해 항정신병약물 처방하게 되는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섬망을 진단받고 항정신병약물을 사용하게 된 환자군은 정신과약물 복용력이 높았는데, 특히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복용력이 높았다.
  •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한 항정신병약물 사용은 환자의 치료 및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36) 항정신병약물 처방에 영향을 주는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려고 하였다. 항정신병약물 사용군은 섬망평가척도 대다수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이는 섬망의 외현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의미한다.

가설 설정

  • 섬망은 전신상태에 따라 의식수준의 변화 및 주의력 저하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손상, 비정상적 기분과 지각 및 행동 등의 정신증상과, 진전, 안구진탕, 운동실조, 요실금 등의 신경증상을 보이는 급성 뇌 증후군이다. 섬망은 전신상태의 변화에 따라 갑자기 발병하고 증상의 변동이 심하나, 일시적이어서 회복이 가능하며, 조기에 개입했을 때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2) 섬망이 영구적인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를 일으킬 수 있다는 증거가 축적되고 있고, 3) 장기입원 및 이환율과 사망률, 간병에 대한 부담과 고통, 의료비 부담의 증가 등의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에, 섬망의 발견 및 개입은 매우 중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으로 야기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섬망은 전신상태의 변화에 따라 갑자기 발병하고 증상의 변동이 심하나, 일시적이어서 회복이 가능하며, 조기에 개입했을 때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1,2) 섬망이 영구적인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를 일으킬 수 있다는 증거가 축적되고 있고, 3) 장기입원 및 이환율과 사망률, 간병에 대한 부담과 고통, 의료비 부담의 증가 등의 심각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기에, 섬망의 발견 및 개입은 매우 중요하다. 4)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한 치료 중 비약물적 치료의 한계점은? 섬망 증상 조절을 위한 치료의 기본 원칙은 비약물적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전략으로 우선시된다. 5) 그러나 실제 임상 현장에서 섬망의 원인을 발견하거나 원인을 교정하는데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섬망이 기계적인 인공호흡 또는 투석 카테터 같은 필수적인 내과 치료를 방해하거나, 자해의 위험성이 보이거나, 환청, 망상 같은 극도의 고통을 유발하는 정신증적 증상을 동반하여 심한 정신운동 초조를 보이는 경우 환자의 안전을 위하여 약물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섬망이란? 섬망은 전신상태에 따라 의식수준의 변화 및 주의력 저하뿐만 아니라 인지기능 손상, 비정상적 기분과 지각 및 행동 등의 정신증상과, 진전, 안구진탕, 운동실조, 요실금 등의 신경증상을 보이는 급성 뇌 증후군이다. 섬망은 전신상태의 변화에 따라 갑자기 발병하고 증상의 변동이 심하나, 일시적이어서 회복이 가능하며, 조기에 개입했을 때 예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adock B, Ruiz P. Kaplan & 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 Walters Kluwer; 2015. p.697-704. 

  2. Maldonado JR. Acute brain failure: pathophysiology, diagnosis, management, and sequelae of delirium. Crit Care Clin 2017;33:461-519. 

  3. Jones RN, Fong TG, Metzger E. Aging, brain disease, and reserve: implications for delirium. Am J Geriatr Psychiatry 2010;18:117-127. 

  4. Inouye SK, Westendorp RG, Saczynski JS. Delirium in elderly people. The Lancet 2014;383:911-922. 

  5. National Institute for Clinical Excellence. Delirium: preven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London: NICE 2010. 

  6. Park JS, Kim JJ, Park SJ, Kim SM, Park JY. Clinical course according to antipsychotics prescription pattern in delirium. Koean J Psychosomatic Med 2017;25:120-128. 

  7. Ozbolt LB, Paniagua MA, Kaiser RM. Atypical antipsychotics for the treatment of delirious elders. J Am Med Dir Assoc 2008;9:18-28. 

  8. Thom RP, Mock CK, Teslyar P. Delirium in hospitalized patients: risks and benefits of antipsychotics. Cleve Clin J Med 2017;84:616-622. 

  9. Neufeld KJ, Yue J, Robinson TN, Inouye SK, Needham DM. Antipsychotic medic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Am Geriatr Soc 2016;64:705-714. 

  10. Lim HK, Paik IH, Oh K, Lee CU, Lee C. Comparison of the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between intramuscular olanzapine and intramuscular haloperidol injection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Korean J Psychopharmacol 2007;18:423-428. 

  11. Han CS, Kim YK. A double-blind trial of risperidone and haloperidol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Psychosomatics 2004;45:297-301. 

  12. Skrobik YK, Bergeron N, Dumont M, Gottfried SB. Olanzapine vs haloperidol: treating delirium in a critical care setting. Intensive Care Med 2004;30:444-449. 

  13. Devlin JW, Roberts RJ, Fong JJ. Efficacy and safety of quetiapine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delirium: a prospective,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ilot study. Crit Care Med 2010;38:419-427. 

  14. Lawlor PG, Bush SH. Delirium diagnosis, screening and management. Curr Opin in Support Palliat Care 2014;8:286. 

  15. Bush SH, Kanji S, Pereira JL. Treating an established episode of delirium in palliative care: expert opinion and review of the current evidence base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J Pain Symptom Manage 2014;48:231-248. 

  16. American Psychiarty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oruth Edition (DSM-IV) Washington. DC, USA: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04. 

  17. Laurila JV, Pitkala KH, Strandberg TE, Tilvis RS. Detection and documentation of dementia and delirium in acute geriatric wards. Gen Hosp Psychiatry 2004;26:31-35. 

  18. Knaus WA, Draper EA, Wagner DP, Zimmerman JE. APACHE II: a severity of disease classification system. Crit Care Med 1985;13:818-829. 

  19. Hall WH, Ramachandran R, Narayan S, Jani AB, Vijayakumar S. An electronic application for rapidly calculating Charlson comorbidity score. BMC cancer 2004;4:94. 

  20. Austin SR, Wong Y-N, Uzzo RG, Beck JR, Egleston BL. Why summary comorbidity measures such as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and Elixhauser score work. Med Care 2015;53:e65. 

  21. Trzepacz PT, Baker RW, Greenhouse J. A symptom rating scale for delirium. Psychiatry Res 1988;23:89-97. 

  22. Trzepacz PT, Mittal D, Torres R, Kanary K, Norton J, Jimerson N. Validation of the Delirium Rating Scale-revised-98: comparison with the delirium rating scale and the cognitive test for delirium.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2001;13:229-242. 

  23. Kishi Y, Kato M, Okuyama T. Delirium: patient characteristics that predict a missed diagnosis at psychiatric consultation. Gen Hospital Psychiatry 2007;29:442-445. 

  24. Davis JM. Dose equivalence of the antipsychotic drugs. Catecholamines and Schizophrenia: Elsevier;1975. p.65-73. 

  25. Andreasen NC, Pressler M, Nopoulos P, Miller D, Ho BC. Antipsychotic dose equivalents and dose-years: a standardized method for comparing exposure to different drugs. Biol Psychiatry 2010;67:255-262. 

  26. Bush SH, Tierney S, Lawlor PG.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delirium in the palliative care setting. Drugs 2017;77:1623-1643. 

  27. Maldonado JR. Delirium pathophysiology: An updated hypothesis of the etiology of acute brain failure. Int J Geriatr Psychiatry 2018;33:1428-1457. 

  28. Triozzi PL, Goldstein D, Laszlo J. Contributions of benzodiazepines to cancer therapy. Cancer Invest 1988;6:103-111. 

  29. Zaal IJ, Devlin JW, Hazelbag M. Benzodiazepine-associated delirium in critically ill adults. Intensive Care Med 2015;41:2130-2137. 

  30. Maldonado JR. Neuropathogenesis of delirium: review of current etiologic theories and common pathways. Am J Geriatr Psychiatry 2013;21:1190-1222. 

  31. Paton C. Benzodiazepines and disinhibition: a review. Psychiatric Bulletin 2002;26:460-462. 

  32. Mancuso CE, Tanzi MG, Gabay M. Paradoxical reactions to benzodiazepines: literature review and treatment options. Pharmacotherapy: J Hum Pharmacol Drug Ther 2004;24:1177-1185. 

  33. Kumar A, Bakhla AK, Gupta S, Raju BM, Prasad A. Etiologic and Cognitive Differences in Hyperactive and Hypoactive Delirium. The Primary Care Companion for CNS Disorders 2015:17. 

  34. Kobayashi K, Takeuchi O, Suzuki M, Yamaguchi N. A retrospective study on delirium type. Psychiatry Clin Neurosci 1992;46:911-918. 

  35. Van Velthuijsen EL, Zwakhalen SM, Mulder WJ, Verhey FR, Kempen GI. Detection and management of hyperactive and hypoactive delirium in older 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evaluating daily practice. Int J Geriatr Psychiatry 2018;33:1521-1529. 

  36. Campbell N, Boustani MA, Ayub A.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adults-a systematic evidence review. J Gen Intern Med 2009;24:848-85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