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트남 현지인들의 한식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
Recognition, Image, Preference,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ion for Korean Food by Local Vietnamese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32 no.6, 2017년, pp.476 - 486  

이미옥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rveyed the recognition, image, preference, attribute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or Korean food of local Vietnamese to facilitate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ost participants had recognized Korean food. and, they were especially aware of kimchi (김치), bulgogi (불고기) and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식에 대한, 인지도, 이미지, 선호도,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이용의도 등을 조사 및 분석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는 베트남 호치민 시의 현지인을 대상으로 한국음식에 대한 이미지, 선호도, 선택속성, 만족도 및 재이용 의도를 조사하였다. 조사장소와 현지인의 선정은, 베트남의 호치민 시를 중심으로 10여 개의 매장을 가지고 있는 T한식업체 체인점 중 연구자와 경영진과의 충분한 논의 결과, 고객층이 안정화되어 있는 즉 개업하여 1년 이상 되었고 방문고객이 지속적으로 많은 6개 매장을 선정하였으며, 각 매장마다 각 50부씩 총 300부를 매장에 방문하는 베트남 현지인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 외국인이 특정국가의 음식을 선택할 때, 그 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더불어 이미지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들의 한식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부모의 전통음식에 관한 인식과 선호도는 어떠한가? 먼저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식에 대한 기호도 연구로서, Kang & Jhee(2014)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전통음식에 관한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한식을 ‘조리하기 쉽다’, ‘다양하다’, ‘쉽게 접한다’, ‘입맛에 맞다’, ‘고급 음식이다’, ‘보양식이다’ 등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건강식품이다’라는 인식도가 높았다고 하였다. Lee(2016)에 의하면 부산지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식단별
베트남인들의 한식의 양념에 대한 인지도는 어떠한가? 이는 베트남인들이 한국의 대표음식인 김치, 불고기, 비빔밥 등을 잘 인지하고 있으며, 이들 음식이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잘 표현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음식의 주요 양념인 된장, 고추장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다’는 3.09로 나타나 조금 알고 있다고 나타났다. 이는 베트 남인들이 한국의 대표음식은 잘 알고 있었지만, 한식의 양념에 대해서는 인지도가 낮다고 볼 수 있다.
한국으로 유학 온 일본 및 중국학생들은 한식에 대한 인지도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거주 외국인 및 외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한식에 대한 기호도 연구로서, Seo et al.(2003)은 한국으로 유학 온 일본 및 중국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한 결과, 외국유학생들은 한식에 대해 잘 알고 있으며,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L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yun JO, Han JS, Oh OH. 2001. The Korean Americans' knowledge on Korean traditional foods (II)-preference and frequenc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2):140-150 

  2. Cho SH, Kim JH, Kim MH, Lee WJ, Kim EK. 2016. Perception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Chines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China. Korean J. Food Culture, 31(4):261-268 

  3. Choi M, Lee JM. 2010. The perception and attitude of food experts in New York City toward Korean food - Assessed by in-depth interviews of "Foodies". Korean J. Food Culture, 25(2):126-133 

  4. Chung HK, Kim MH, Kim HR, Kim Y, Choe JS, Woo N. 2011. Strategie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restaurants owners in Vietnam. Korean J. Food Culture, 26(4):383-393 

  5. Chung HK, Kim MH, Woo N. 2014. Study on localization of Korean food in Paragua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Korean restaurant owners and foodies in Asuncion, Paraguay. Korean J. Food Culture, 29(2):140-150 

  6. Hong SP, Kim YH, Yang JN, Chae IS, Shin DB. 2008. Sensory evaluation of dining staffs at UCLA for Korean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3(6):705-712 

  7. Hong SP, Lee MA, Kim EM, Chae IS. 2007. Sensory evaluatio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for Americans. Korean J. Food Culture, 22(6):801-807 

  8. Hong SP, Lee MA, Kim YH, Shin DB. 2009. Consumer test of Korean food in Hawaii. Korean J. Food Culture, 24(6):607-612 

  9. Jang JJ, Jeong HS. 2011.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s for Korean food targeting germans residing in Korea. Korean J. Culinary Res., 17(5):1-14 

  10. Joo N, Kennon LY, Sim YJ, Lee KA, Jeong HS, Park SJ, Chun HJ. 2001. Th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Americans residing in Korea for Korean traditional food. J. Korean Home Economics, 39(6):15-24 

  11. Kang JH, Ko EH. 2014. Study on recognition and attitudes towards Korean food in Korean food culture publicity event - Hayabusa Station targeting festival participants. Korean J. Food Culture, 29(4):314-325 

  12. Kang MJ, Jhee OH. 2014. The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par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of Korean traditional foods in Chung Nam Area-Focusing on Tteok, Hankwa, Korean traditional drink. Korean J. Food Culture, 29(3):240-249 

  13. Kim HS, Lyu ES. 2012. Importance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 for foreigners Living in Busan with regard to nationa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2): 89-96 

  14. Kim KH. 2011. Study on Japanese consumers' Korean food consumption behaviors and market segmentation based on food-related lifestyle-Focusing on inbound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6(6):614-620 

  15. Kim YS, Lim HM. 2012. A positive case study on policy factor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isine. Journal of Hotel & Resort, 11(1):141-161 

  16. Kim MY, Lee BR, Lee YS, Lee YH. 2014. A study on the attitude,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Jjigae HMR (Home Meal Replacement) for Americans in L.A. A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30(6):704-715 

  17. Kim NR. 2017. Brand experience strategy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focusing on the street food merchandising case. Master's degree thesis, Korea University, Korea, pp 12-50 

  18. Korea Tourism Organization. 2010. A survey on the culinary tour of foreigner to visit Korea. Korea Tourism Organization, Korea, pp 197-203 

  19. KOTRA (2017). 2017. Strategies of Advancing to the Vietnam Report. KOTRA, Korea 

  20. Kwak YW, Nam YS, Jeong HS. 2012. A survey on the knowledge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among unmarried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Korean J. Food Cookery Sci., 28(3):337-347 

  21. Lee DH, Khoe KI, Sul WS. 2007. How knowledge and preference on Korean food influence the purchasing demand of Chinese resident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od Marketing, 24(3):19-41 

  22. Lee DY, Kim TH, Kim TH. 2014. Study on culinary educational usefulness of Korean style jag-based seasoning, spices and herb mix classification. Korean J. Food Culture, 29(2):178-186 

  23. Lee HY, Jo Ok, Lim JH. 2011.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value about Korean food evaluation and buying intention along with mediation effect of the Korean wave. J. Foodservice Management, 14(5):269-286 

  24. Lee JY, Kim KJ, Park YH, Kim HR. 2010. Preference and perception of Korean foods of foreign consumers by nationality. Korean J. Food Culture, 25(1):9-16 

  25. Lee MO. 2013. A study on comparison of responses between Korean and Philippines customers at importance of the service failure recovery's 4 dimensions of full service family restaurant. J.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5(8):249-263 

  26. Lee MO. 2016. Comparison studies on the choice attributes, traditional endemicity and satisfaction for Korean, Chines and Japanese food. Youngsan Univ. Dongyang Munhwa Yeonguwon, 25:245-273 

  27. Lee YJ, Seo YJ, Joo HS, Choi SK. 2005. A study on the satisfaction for the menu quality of Korean traditional food of Japanese tourists. Korean J. Food Culture, 20(2):283-291 

  28. Lee YJ. 2010. The effects of Korean food globalization on foreigners' perception of wellbeing value and experience with Korean food. Korean J. Food Culture, 25(5):487-498 

  29. Lim HJ, Lee IH, Suk WH, Lee J, Chouse R. 2010. Evaluation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and Yak-sun among nationalities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Korean J. Food Culture, 25(6):671-679 

  30. Luan JY. 2014. Foreigners in Korean's adaptation to Korean food and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Master's degree thesis, Hanyang University, Korea, pp 53-55 

  31. Min KH. 2010.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 Korean food in Australi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92-102 

  32. News & Research. 2017.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USA, pp 9-11 

  33. Park HY, Ahn MW, Kim BW, Kim NY. 2014. Study on preferences and perception of Korean and non-Korean residing in Korea regarding globalization of Korean food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155-165 

  34. Seo GH, Lee SB, Sin MJ. 2003. Research on korean food preference and the improvement of korean restaurants for Japanese and Chinese students in Ko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6):715-722 

  35. Seo SH, Ryu KM. 2009. Chinese customers' perception of Korean foods and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to Korean cuisine restaurants. Korean J. Food Culture, 24(2):126-136 

  36. Song JE. 2014.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the preference of Bibimbab with students in Bayreuth, Germany. Korean J. Food Culture, 29(4):307-313 

  37. Song JE. 2015. Study on perception and preference regarding Korean fast food among students with food-related Majors City of Pegnitz in Germany. Korean J. Food Culture, 30(6):726-735 

  38. Yang IS, Kim EJ, Shin SY, Cha SM. 2011. Global Korean food marketing communication of government agencies and restaurant companies. Korean J. Food Culture, 26(6):698-7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