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육 대상에 따른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특성 비교 : 지질 답사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ing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by Learner Groups: Focusing on Cases of Geologic Fieldwork Educatio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3, 2017년, pp.235 - 253  

정찬미 (이화여자대학교) ,  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20년간 국내외 문헌에 나타난 지질 답사 교육 사례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교육 대상별로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 사례는 총 53건이며, 분석은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및 하위 요소에 대해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반영양상에서 초중고생 대상 지질 답사 교육 사례와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사례 간 명확한 차이가 드러났다. 초중고생 대상 답사는 주로 교육 과정에 기반하여 설계되었기 때문에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중 관찰, 표상, 귀추적 추론 중 2~3가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답사는 지질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중 4~5개를 다양하게 포함하고 있으며 공간적 사고 및 통시적 사고의 비율도 높게 나타났고, 지질도 작성 등 전문 기술을 요구하는 활동이 자주 활용되었다. 과학 교사 대상 답사는 초중고생 및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답사의 특징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났다. 포함된 탐구 요소의 다양성, 지질학자가 수행하는 활동과의 유사성, 학습자의 자율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지질학 관련 전공생 대상 답사가 다른 교육 대상의 답사보다 야외 지질학 탐구의 실제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참 과학 탐구로서 지질 답사교육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by learner groups(K-12, geology-related majoring students, science teachers) how geologic fieldwork education cases in domestic and foreign papers for recent 20 years reflect the elements of inquiry in field geology. The total number of analyzed cases is 53(58...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질학 탐구시 지질학자들의 행동은? 지질학은 역사 과학, 해석 과학으로 일컬어지며 (Gray & Kang, 2014), 실험 과학과는 차별화되는 고유한 방법론을 가진다(Rabb & Frodeman, 2002; Dodick & Orion, 2003). 야외 지질학 탐구 시 지질학자들은 암석 노두에서 지질학적 단서를 발견하여 주의 깊게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선별하여 야장에 기록하고 지질도를 작성하는 등 표상을 생성한다. 이 때 지표에서 보이지 않는 3차원적 암석의 배치 및 지질 구조를 상상하기도 한다.
지질학이란? 지질학은 역사 과학, 해석 과학으로 일컬어지며 (Gray & Kang, 2014), 실험 과학과는 차별화되는 고유한 방법론을 가진다(Rabb & Frodeman, 2002; Dodick & Orion, 2003). 야외 지질학 탐구 시 지질학자들은 암석 노두에서 지질학적 단서를 발견하여 주의 깊게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선별하여 야장에 기록하고 지질도를 작성하는 등 표상을 생성한다.
야외 지질학 탐구 시 지질학자들은 무엇을 상상하는가? 야외 지질학 탐구 시 지질학자들은 암석 노두에서 지질학적 단서를 발견하여 주의 깊게 관찰하고, 관찰 결과를 선별하여 야장에 기록하고 지질도를 작성하는 등 표상을 생성한다. 이 때 지표에서 보이지 않는 3차원적 암석의 배치 및 지질 구조를 상상하기도 한다. 그리고 관찰 결과를 해석하여 과거에 일어났음직한 지질학적 사건이 무엇이고 왜 그것이 발생했는지 귀추적으로 추론하고, 추론한 지질학적 사건들을 시간의 순서에 따라 재구성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부(1997). 7차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3. 교육부(2015).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4.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5. 권홍진, 김찬종(2007).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1), 14-23. 

  6. 김미경, 김희백(2008).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65-578. 

  7. 문병찬(2013). 과학적 탐구활동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화강암 관찰결과의 특징과 타당성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2), 101-111. 

  8.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9. 배창호, 김정길, 김해경(2002). 초등학교 야외 지질학습현장 개발 및 활용 방안. 초등과학교육, 21(2), 241-252. 

  10. 유은정, 이선경, 김찬종(2007). 야외지질답사 보고서에 나타난 과학영재학생들의 지구계 이해와 지구계 의미 생성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71-683. 

  11. 윤마병, 남기수, 백제은, 이종학, 봉필훈, 김유영(2017).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야외지질학습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76-89. 

  12. 이용규, 한신, 정진우, 박태윤(2015). 고등학생들의 지형 형성과 지질학적 시간 개념.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32-345. 

  13. 전영호, 권홍진, 최변각, 박정웅, 김찬종(2007).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6), 686-698. 

  14. 정찬미, 신동희(2015). 중학생의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 경험.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4), 629-649. 

  15. 정찬미, 신동희(2017). 야외 지질학 탐구 요소 추출 및 지질 답사 교육 문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465-481. 

  16. 진연자, 위수민, 임성만(2016). 나선형 순환학습을 이용한 야외 지질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포천 아트 밸리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123-148. 

  17. Apedoe, X. S., Walker, S. E., & Reeves, T. C. (2006). Integrating inquiry-based learning into undergraduate geology.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3), 414-421. 

  18. Ault Jr, C. R. (1982). Time in geological explanations as perceived by elementary-school student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0(5), 304-309. 

  19. Barab, S. A., & Hay, K. E. (2001). Doing science at the elbows of experts: Issues related to the science apprenticeship cam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1), 70-102. 

  20. Behrendt, M., & Franklin, T. (2014). A Review of research on school field trips and their value i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cience Education, 9(3), 235-245. 

  21. Colburn, A. (2000). An inquiry primer. Science Scope, 23(6), 42-44. 

  22. Chinn, C. A., & Malhotra, B. 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2), 175-218. 

  23. Dodick, J., & Orion, N. (2003). Geology as an historical science: Its perception within science and the education system. Science & Education, 12(2), 197-211. 

  24. Fuller, I. C., Mellor, A., & Entwistle, J. A. (2014). Combining research-based student fieldwork with staff research to reinforce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38(3), 383-400. 

  25. Gray, R., & Kang, N. (2014). The structure of scientific arguments by secondary science teachers: Comparison of experimental and historical science top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1), 46-65. 

  26. Herron, M. D. (1971). The nature of scientific enquiry. The School Review, 79(2), 171-212. 

  27. Hodson, D. (1998). Is this really what scientists do? Seeking a more authentic science in and beyond the school laboratory. In J. J. Wellington (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Which way now, (pp. 93-108). London, New York: Routledge. 

  28. Kent, M., Gilbertson, D. D., & Hunt, C. O. (1997). Fieldwork in geography teach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roach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1(3), 313-332. 

  29. Lee, H. S., & Songer, N. B. (2003). Making authentic science accessible to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8), 923-948. 

  30. Lonergan, N., & Andersen, L. W. (1988). Field-based education: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7(1), 63-77. 

  31. Macdonald, R. H., Manduca, C. A., Mogk, D. W., & Tewksbury, B. J. (2005). Teaching methods in undergraduate geoscience courses: Results of the 2004 On the Cutting Edge survey of US faculty.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3), 237-252. 

  32. Moebius-Clune, B., Elsevier, I. H., Crawford, B. A., Trautmann, N. M., Schindelbeck, R. R., & van Es, H. M. (2011). Moving authentic soil research into high school classrooms: Student engagement and learning. Journal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s Education, 40, 102-113. 

  33. Mogk, D. W., & Goodwin, C. (2012). Learning in the field: Synthesis of research on thinking and learning in the geoscienc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s, 486, 131-163. 

  34. Moss, D. M., Abrams, E. D., & Kull, J. A. (1998). Can we be scientists too? Secondar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research from a project-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7(2), 149-161. 

  35. Munn, B. J., Tracy, R. J., & Jenks, P. J. (1995). A Collaborative approach to Petrology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 381-381. 

  36. Nadelson, L. S., & Jordan, J. R. (2012). Student attitudes toward and recall of outside day: An environmental science field trip.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5(3), 220-231. 

  37. Nugent, G., Toland, M. D., Levy, R., Kunz, G., Harwood, D., Green, D., & Kitts, K. (2012). The impact of an inquiry-based geoscience field course on pre-service teacher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5), 503-529. 

  38.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1), 13-17. 

  39. Orion, N. (1993). A model for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40. Orion, N., & Ault, C. (2007). Learning earth sciences. In S. K. Abell, & N. G. Lederman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pp. 653-688).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Preston, L. (2016). Field 'work' vs 'feel' trip: Approaches to out-of-class experiences in geography education. Geographical Education, 29, 9-22. 

  42. Raab, T., & Frodeman, R. (2002). What is it like to be a geologist? A phenomenology of geology and its epistemological implications. Philosophy & Geography, 5(1), 69-81. 

  43. Scott, I., Fuller, I., & Gaskin, S. (2006). Life without fieldwork: Some lecturers' perceptions of geography and environmental science fieldwork.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30(1), 161-1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