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절 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n 'Seasonal Chang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0 no.3, 2017년, pp.278 - 289  

김순식 (부산교육대학교) ,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P광역시 소재 Y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집단으로 선정된 1개 학급 24명을 대상으로 '계절변화' 단원에 대한 10차시 수업을 탐구적 과학글쓰기 형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계절변화'에 대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은 초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및 과학적 태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것은 학생들이 탐구한 내용을 글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흥미를 가지게 되었고 자신이 탐구한 내용을 글로 표현하고 동료들과 논의하는 과정에서 호기심과 협동성 그리고 끈기가 생겨 이것이 과학적 태도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에 참가한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조사 결과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on 'seasonal chang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tific attitude.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49 students from 6 grade of elementary school in P metropolitan city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단계는 글쓰기 단계에서 학생들의 정리된 생각이 펼쳐지는 단계이다. 또한 나의 주장을 뒷받침 해주는 것을 기록하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 자신이 작성한 글쓰기 내용과 다른 사람의 내용을 서로 비교해 보는 기회도 갖도록 한다.
  • 또한 나의 주장을 뒷받침 해주는 것을 기록하는 것이다. 본 단계에서 자신이 작성한 글쓰기 내용과 다른 사람의 내용을 서로 비교해 보는 기회도 갖도록 한다.
  • 이처럼 ‘계절 변화’ 단원의 수업은 학습자들의 보다 심층적인 사고과정과 탐구력이 요구된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단원의 수업에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 읽기 단계는 이전 단계까지 작성한 자신의 글을 분석하고 지금까지 연구된 정보나 개념을 탐색하여 자신이 생각하고 있는 정보와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학습자들의 변화된 생각을 확인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자료를 검색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좋은 수업의 정의는 무엇인가? 오늘날 일선 교실현장에서는 학습내용을 학습자의 경험과 관련시켜 수업의 효과를 높이는데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학습자에게 있어서 좋은 수업은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지만 좋은 수업이란 학습자에게 체험적, 실제적, 총체적, 협력적, 도전적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학습자의 능동적인 지식 구성 활동을 지원하며(Zemelman et al., 1998), 학습자의 지적·정서적 만족과 발달을 이끌어주고 구성원간의 활발한 소통이 강조되는 수업(박민정, 2008)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우리의 교실현장에서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좋은 수업을 구현하기 위해서 수업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최근까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우리나라 과학 수업의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까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우리나라 과학 수업의 문제점 중의 하나가 과학수업이 인지적 영역에 편중되어 상대적으로 과학관련 태도나 탐구능력의 향상에 소홀하고 있다는 것이다(송영욱과 김범기, 2010). 이처럼 지식중심의 과학교육은 과학 성취도에 비해 과학에 대한 흥미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우리나라 과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데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과학학습을 위한 글쓰기 활동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서 과학 글쓰기가 보다 더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과학 글쓰기를 통해서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진작시켜 줄뿐만 아니라 과학과 관련된 정의적 특성 변화도 함께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남경운 외, 2004; 손진순 외, 2012; Keys, 1999). 또한 과학학습을 위한 글쓰기 활동은 반성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지식의 재구성 및 사회적 이슈의 쟁점화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참여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Prain, 2006; Yore et al, 2004; Wellington & Osborne,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강연경(2012).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의 화석에 대한 개념 형성 및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지나, 이형철(2016). 질문중심 하브루타 과학수업이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09-322. 

  3. 고경만(2000).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보영, 김민경(2003). 초등수학에서 쓰기 활동이 수학적 개념 이해 및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과학연구, 34(1), 55-72. 

  5. 김성주(2002). 지구의 운동과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변화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영은(2011).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개념 형성과 과학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은혜(2017). 초등과학 수업에서 과학교과 핵심역량 요소를 기반으로 한 과학글쓰기 활동의 적용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형자, 변정호, 권용주(2012).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생물에 대한 흥미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과학교육연구지, 36(2), 198-215. 

  9.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10. 남경운, 이봉우, 이성목(2004). 과학일기쓰기가 과학영재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72-1282. 

  11. 남정희, 곽경화, 장경화(2008). 논의를 강조한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중학교 과학수업에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22-936. 

  12. 박민정(2008).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인문학연구학회지, 35(3), 229-253. 

  13. 손정우(2006). 과학논술능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 사고력에 근거한 과학글쓰기 교수법. 교육과정평가연구, 9(2), 333-355. 

  14. 손진순, 정진수, 백성혜, 천재순(2012). 초등학생의 과학 글쓰기 수행 안내를 위한 편지글 유형의 루브릭 개발 및 적용.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1(1), 25-39. 

  15. 송영욱, 김범기(2010).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16. 신우미(2011).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을 위한 생활과학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오정임(2004). ARCS 모델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오현숙(2011). 과학글쓰기가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20. 이수영(2010). 초등학교 거울과 렌즈 단원의 탐구적 글쓰기 수업이 개념 형성과 지속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41-351. 

  22. 장현정(2010).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탐구능력과 과학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정홍식(2005). 초인지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계절변화 개념형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채동현(1999). 계절변화의 원인에 관한 학생들의 유년적 사고. 한국지구과학회지, 13(3), 283-289. 

  25.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2(1), 109-120. 

  26. 천재훈(2006). 과학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글쓰기 활동. 경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천재훈, 손정우(2004). 과학 글쓰기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 기능의 유형 분석-중학교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7(2), 285-304. 

  28. 하옥선(1999). 태양 고도와 계절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한제준(2013). 계절 변화 수업의 논증과정 및 논증적 담화 전략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David M. V. (2008). Why all writing is creative writing.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eaching International, 45(3), 289-294. 

  31. keller, J. M., Subhiyah, R. G.(1987). Course interest survey. Florida State University. 

  32. Kelly, G. J. & Takao, A. (2002). Epistemic levels in argument: An analysis of university oceanography student's use of evidence in writing. Science Education. 86(3), 314-342. 

  33. Keys, C. W. (1999). Revitalizing instruction in scientific genres: Connecting knowledge production with writing to learn in science. Science Education, 83(2), 115-130. 

  34. Prain, V. (2006). Learning from writing in secondary science: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79-201. 

  35. Wellington, J., & Osborn,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Poe University Press. 

  36. Yore, L. D., Hand, B. M., & Florence, M. K. (2004). Scientists' views of science, models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38-369. 

  37. Zemelman, S., Daniels, H., & Hyde, A. (1998). Best practice New standards for teaching America's schools(2nd ed.). Portsmouth, NH: Heineman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