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화면으로 인지되는 직물의 색상과 재질감 선호도 및 구매의도 비교 - 관능실험 방법을 중심으로 -
Comparison of fabric color, texture preference, and purchasing intention to fabrics recognized by smartphone displays - Focused on sensory test method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5 no.6, 2017년, pp.819 - 830  

김태진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상정선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박명자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gather precise information on the real fabric color and texture, and purchasing intention of mobile shoppers buying clothes. Eighty volunteers participated in the sensory test on three smartphones with four colors and two fabrics-smooth taffeta and hairy doeskin. This study carr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실험자를 이용하여 관능 평가에 의해 스마트폰 종류와 직물종류를 달리하여, 첫째, 실물직물과 스마트폰 화면으로 인식되는 직물 간에 색상과 재질감선호도 및 구매의도를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으며, 둘째, 실물직물과 스마트폰 화면직물을 한 쌍으로 하여 동시에 비교하여 직물의 밝기와 재질감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여, 최종적으로 모바일 쇼핑 시에 의류제품 소비자에게 실물직물의 색상 및 재질감 정보를 정확히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시험편의 크기는 실험 스마트폰 중 디스플레이 크기가 가장 작은 Apple 사의 디스플레이 크기(약 50×90mm)와 동일하게 재단하여 사용하였다. 본 시험편은 선행연구(Kim et al., 2017)에서 사용한 직물과 동일하게 선정하여, 기기분석과 관능평가에 의한 연구결과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의 장점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다양한 상품을 실 시간으로 탐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장점으로 그 규모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쇼핑 구매 품목을 살펴보면 의류패션 상품의 구매 비중이 전체 거래량의 19.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쇼핑의 1위 품목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모바일 쇼핑은 장소에 구애받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다양한 상품을 실 시간으로 탐색하고 구매할 수 있는 장점으로 그 규모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바일 쇼핑 구매 품목을 살펴보면 의류패션 상품의 구매 비중이 전체 거래량의 19.1%로 여행 및 예약서비스와 공동 1위로 조사되었으며(Statistics Korea, 2014), 기타 스포츠, 아동 의류까지 포함한다면 모바일 쇼핑 시장에서 의류패션 제품의 비중이 더 커지고 중요해져서 쇼핑 업체들은 이윤창출을 위해 모바일 서비스 확대와 활성화 및 소비자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노력하 고 있다.
모바일 쇼핑의 현실은? 그러나 모바일 쇼핑의 경우, 소비자는 직접 제품을 확인하지 못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를 충분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제품의 사진이나 상세정보 등의 시각적인 정보와 경험적 지식에 의존해서 구매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Yoh, 2011). 또한 모바일 디스플레이는 제조 방식과 그 특성에 따라 색을 표현하는 색재현율이 다르며, 스마트폰의 종류에 따라서 동일한 색을 다르게 표현하는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는 모바일 쇼핑 시 제품의 색 차이가 나타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TLAS Research & Consulting. (2014, February 10). 2013년 국내 휴대폰 판매 동향 [2013 smartphone sales trends in Korea]. Retrieved May 26, 2014, from http://www.arg.co.kr/atlas/client/html/article/article_info.html?type_seq18&content_seq59454 

  2. Cho, Y. J., Lim, S. J., & Lee, S.-H. (2001). Apparel purchase behavior among internet shoppers: Focusing on perceived ris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7), 1247-1257. 

  3. Choi, N.-Y., & Lee, J.-S. (2006).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color image depending on the change of luminous sourc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8(6), 721-726. 

  4. Ji, H.-K. (2009). A study on the consumer's return behavior type in internet clothing purchas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1(1), 41-47. 

  5. Jung, S. A., & Choi, M. Y. (2011). The effects of the VMD of an SPA store on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preferences. Journal of Fashion Design, 11(2), 75-95. 

  6. Kim, G.-A., Kim, C.-K., & Kim, M. J. (2013). An analysis of the problem for providing product information in internet shopping mall.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8, 387-397. 

  7. Kim, H. S., Shin, S. K., & Lee, Y. H. (2014). A comparative study of improved color reproduction for the latest smartphone displays based on AMOELD and TFT-LCD. AURA, 32, 158-174. 

  8. Kim, M. J. (2012). A study on adolescents'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in internet shopping mall and clothing shopping ori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nam-do, Korea. 

  9. Kim, S. Y. (2007).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for the satisfaction of customers purchasing clothes in internet shopping malls: Focused on Kano's theo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10. Kim, T. J., Sang, J. S, & Park, M.-J. (2017). Fabric color and color difference recognized by smartphone display during mobile shopping: Focused on instrument analysis method.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5(4), 519-528. doi:10.7741/rjcc.2017.25.4.519 

  11. Korea Consumer Agency. (2005). 사이버 쇼핑몰 의류상품정보의 신뢰성과 품질 [Reliability and quality of cyber shopping mall's clothing information]. Retrieved May 26, 2014, from http://www.kca.go.kr/brd/m_32/down.do?brd_idG004&seq659&data_tpA&file_seq1 

  12. Korea Internet & Society Agency. (2013). 2013년 모바일인터넷이용실태조사 [2013 survey on the mobile internet usage]. Seoul: Author. 

  13.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Public design color standard guide]. Seoul: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1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a). Methods of visual comparison for surface colours (Standard No. KS A 0065). Retrieved from https://standard.go.kr 

  1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b). Name of non-luminous object colours (Standard No. KS A 0011). Retrieved from https://standard.go.kr 

  16. Lee, E. H. (2010). Fabric information and preferences of fabric texture for apparel in internet shopping mal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cheongbuk-do, Korea. 

  17. Lee, E. J. (2013). A study on color appearance of clothing under store lighting of variable color temperatures and various illuminances: Focusing on ambient lighting.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7(4), 49-57. 

  18. Lee, E. K.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mobile fashion shopping characteristics and perceived risk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personal innovation and mobile internet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J. Y. (2013). 국내 온라인 쇼핑 시장 현황 및 전망: 인터넷.모바일 쇼핑을 중심으로 [Present condition and prospect domestic online shopping market]. Information & Communications Policy, 25(13), 96-108. 

  20. Moon, E. B. (2011). 색채 디자인 교과서 [Color design textbook]. Paju: Ahn Graphics. 

  21. Noh, Y.-S. (2010). The study of methods to subjectively evaluating pictorial images based on perceptual satisfaction measurem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22. Park, J.-A. (2003). A study on Effect of sales promotional marketing means on clothing product ra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3. Park, J. H., & Stoel, L. (2002). Apparel shopping on the internet: Information availability on US apparel merchant web site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6(2), 158-176. doi:10.1108/13612020210429908 

  24. Park, T.-Y., Lee, C.-H., & Ha, Y.-H. (2008). Evaluation of color reproduction characteristics of TFTLCD and AMOLED for mobile phon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ing of Korea SP, 45(1), 29-37. 

  25. Statistics Korea. (2014). Report of online shopping survey in the first quarter 2014. Daejeon: Author. 

  26. Yoh, E. A. (2011). Effect of color sensibility evaluation of clothing product on attitude toward product in on-line and off-line: Focusing on white T-shirt.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3), 650-660. 

  27. Yoo, H. J. (2013). Study on the influence of product quality perception on product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of collaboration fashion products on home shopping channe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8. Yun, H.-K., & Kweon, S.-A. (2003). Actual usag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and recognition toward internet fashion shopping mall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2(2), 225-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