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탐색
Explor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mparison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1 no.3, 2017년, pp.281 - 296  

신세인 (전북대학교) ,  이준기 (전북대학교) ,  이고은 (충주공업고등학교) ,  하민수 (강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해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두 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수준을 비교하였으며, 학습동기 구인들의 상관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공업계열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는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596명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 1063이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상관관계 분석의 두 가지 통계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와 학년간 상호작용이 과학학습동기 차이에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학년에 따라 학습동기의 큰 차이를 보이는 반면, 공업계 특성화고 학생들의 경우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특히 일반계 고등학교 자연계열 학생들에 비해 낮은 수준의 과학학습동기를 나타내었다. 과학학습동기의 다섯 가지 요소 간 상관관계 또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공업계고 학생들이 상당히 낮았다. 마지막으로 공업계 특성화고 2학년들의 과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의 상관정도는 1학년학생들에 비해 적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교육적 전략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결과들을 바탕으로 공업계열 학생들의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comparison with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596 high school students and 1063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ee statistical methods were used for data anal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학학습동기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생들과의 비교분석 자료를 통하여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과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를 함께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과학학습동기는 과학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때문에 학습동기의 향상은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요소임이 많은 연구에서 강조되어왔다(Kang, Kim, Lim, & Yoo, 2014; Joo, Chung, & Lee, 2011).
  • 이들은 직업교육 토대의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을 받기 때문에 이들의 과학학습동기와 과학성취도의 관계는 일반고 학생들과 다른 양상을 보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 고등학생들의과학학습동기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이들의 과학학습동기와 과학성취도의 상관관계를 함께 확인해보고자 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또한 Ha &Lee(2013)는 SMQ Ⅱ의 국내 번역본의 문항 반응 타당도, 일반화 타당도, 구조 타당도를 일반계 고등학교와 농업계열 전문계 고등학생들의 응답자료를 바탕으로 검증한 바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표인 일반고 고등학생들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비교하는데 있어 적합한 검사도구라 판단된다.
  • 최근의 과학교육이 모든 이를 위한 과학(Science for All)을 지향하고 있으나, 국내 과학교육은 고등학생들의 경우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과학영재들을 위주로만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 연구는 그동안 과학교육연구에서 외면 받았던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를 실증적으로 탐색하고 이들을 위한 과학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이 연구는 그동안 과학교육연구에서 적은 관심을 받아왔던 전문계 고등학교 중 하나인 공업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형성하고 있는 과학학습동기를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비교하여 탐색해 봄으로써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과학수업에 대한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를 조사하고 과학 학습동기의 하위요인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과학학습동기에 대한 일반계 고등학생들과의 비교분석 자료를 통하여 향후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습동기 향상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그동안 과학학습동기는 과학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왔으나, 이는 대부분 일반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확인한 결과였다(Kang, Kim, Lim, & Yoo, 2014; Joo, Chung, & Lee, 2011). 이 절에서는 공업계고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와 그 학생들의 입학성적, 과학 성적과 비교함으로서 공업계고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의 특성을 보다 더 자세히 이해하고자 한다. 이 분석에서 중점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것은 1학년과 2학년의 차이이다.

가설 설정

  • 1.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는 어떤 차이가 나는가?
  • 3. 공업계 고등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간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문계 고등학교는 어떠한 기여를 하여왔는가? 특히 전문계 고등학교는 설립 목적과 취지 자체가 산업계가 원하는 실질적인 업무를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실무 투입 인력을 양성하는 데에 있었기 때문에 특정 산업기술현장과 관련된 직무능력과 태도의 배양이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목표는 1990년대 중반까지 이어지면서, 산업인력의 조속한 전문화와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젊은 인재들의 안정적인 공급에 이바지 해 왔다(Yoo, 2016). 최근에도 전문계 고등학교의 직업교육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등장과 함께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입각하여 산업현장과 기업이 원하는 맞춤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Lee &Lim, 2016).
우리나라의 전문계 고등학교1) 교육은 어떤 역할을 수행하여 왔는가? 우리나라의 전문계 고등학교1) 교육은 1970년대 정부 주도의 경제성장 정책과 함께 국가의 기간 산업발전을 위한 소위 ‘산업역군’을 지속적으로 양성해 내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Kim, 2007). 특히 전문계 고등학교는 설립 목적과 취지 자체가 산업계가 원하는 실질적인 업무를 바로 수행할 수 있는 실무 투입 인력을 양성하는 데에 있었기 때문에 특정 산업기술현장과 관련된 직무능력과 태도의 배양이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여겨져 왔다.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은 어떠한가?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 역시 현대과학의 변화의 바람과 함께 인간중심주의 교육과정을 통해 변화하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실생활을 중심으로 하는 창의적 문제해결자 육성이라는 관점이 있다. 미국의 차세대 과학교육표준이나 우리나라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이러한 내용을 핵심으로 하고 있다(Kim & Na, 2017; MOE, 2015; NGSS Lead States,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e, S. A., & Geum, Y. C. (2009). Development model of activity-centered STEM education program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5(4), 345-368. 

  2. Boone, W. J., Staver, J. R., & Yale, M. S. (2014). Rasch analysis in the human sciences. Dordrecht, Netherlands: Springer Netherlands. 

  3. Bryan, R. R., Glynn, S. M., & Kittleson, J. M. (2011). Motivation, achievement, and advanced placement intent of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5(6), 1049-1065. 

  4. Glynn, S. M.,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 1159-1176. 

  5. Ha, M., & Lee, J. K. (2013). The item response, generalizability, and structural validity for the translation of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SMQII).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5), 1-18. 

  6. Ha, M., Kim, M. Y., Park, K. H., & Lee, J. K. (2012a). The analysis of differences in structure of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n terms of school year and gender.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2), 365-384. 

  7. Ha, M., Kim, M. Y., Park, K. H., & Lee, J. K. (2012b). The analysis of level and structure of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motiv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866-878. 

  8. Im, S. (2002). An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preference for science and its causal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4), 892-905. 

  9. Jeon, B. S., & Han, J. Y. (2009). Increasing science learning of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use of ‘Science textbook for the next generation’. Journal of the Society for the International Gifted in Science, 3(2), 137-142. 

  10. Joo, Y. J., Chung, Y. L., & Lee, Y. K.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6), 876-886. 

  11. Jung, Y. H., Shin, S., & Lee, J. K. (2017). A study of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STEM career motivation formation: An approach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 36-59. 

  12. Kang, M., Kim, Y., Lim, H., & Yoo, Y. R. (2014). Investigat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cience experience, learning motivation, achievement and career orient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8(3), 625-643. 

  13. Kim, B. W. (2016). The for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Journal of Law & Economic Ragulation, 9(1), 215-232. 

  14. Kim, H. K., & Na, J. (2017).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1), 103-112. 

  15. Kim, S. G. (2007). A study on the reasons for college entrance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cognition of entrance strategies for colleges: With interview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Humanities Studies, 34(2), 27-53. 

  16. Lee, H. J., Park, M. H., Jang, Y. H., & Kim, Y. M. (2014). Education actual conditions and activation plan of technical high school in Gyeonggi provinc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Basic Research 2014-03). Retrieved from: http://www.gie.re.kr/cop/bbs/selectBoardArticle.do?menuInfo2_1&bbsIdBBSMSTR_000000000044&nttId239&bbsTyCodeBBST03&bbsAttrbCodeBBSA03&authFlagY&pageIndex1 

  17. Lee, J. K., Shin, S., Rachmatullah, A., & Ha, M. (2017). The relationship of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program, gender, and academic year with attitude towards convergence among engineering students: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7(1), 169-179. 

  18. Lee, Y. M., & Lim, Y. H. (2016). The actual situation and task that the industrial area high schools organi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curriculu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1(1), 22-43. 

  19. Lee, Y. S., Kim, S. T., & Lee, K. H. (2006). A study on the name of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14, 53-70. 

  20. Lee. K. K. (2008). Study on the effect of meta-cognitive and cognitive academic strategy on academic performances (with focus o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21, 115-139. 

  21. Lim, C., Kim, S., Han, H., & Seo, S. (2014). Review of creativity development research approaches in the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7(5), 33-40. 

  22.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5-74 [issue 9]. 

  23. Moon, C. W., Kim, J. W., & Kim, J. (2012). Development of creative STEAM study data of ‘Making a forklift’ at specialized high schoo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1(2), 103-121. 

  24. Neumann, I., Neumann, K., & Nehm, R. (2011). Evaluating instrument quality in science education: Rasch-based analyses of a nature of science tes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10), 1373-1405. 

  25.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Achieve, Inc. 

  26. Seo, I, S., (2011). The determinants of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4(2), 1-25. 

  27. Yoo, H. J. (2016). The present state and major courses of clothing related departm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0(1), 188-201. 

  28. Yoon, S. Y., & Kim, J. M. (2011). Analyzing the good practices of instruction and learning in vocational high school.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7(3), 85-107. 

  29. Yu, J. Y. (2014).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university of Karlsruhe. Korean Journal of European Integration, 5(2), 5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