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촌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 및 개선 방안
Analysis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Displaced People in Rural Area Emergenci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3 no.4 = no.38, 2017년, pp.413 - 421  

Lim, Changsu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Lee, Seung-chul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Kim, Eun-Ja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Park, Mi-Jung (Environment & Resources Divisio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국 실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에 대한 면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격차를 해소하고자, 전국의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지역의 지정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이 농촌지역보다 시설면적이 크고 수용능력이 높은 시설 위주임을 추정 할 수 있으므로 농촌지역 역시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새로운 시설 지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농촌지역 대표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분석결과 지자체마다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종류가 상이하게 지정 되었으며, 개소수 역시 지자체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지자체에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을 지정하는 절차와 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 tho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designated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order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temporary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ster victims in country and city, and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분석을 통하여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향후 농촌지역의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지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각 분야에 대해 관련 기반시설이 취약한 농촌지역에 대해 재난안전 분야 중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의 실태를 파악하고, 도시지역과 비교하여 취약한 부분을 분석하여 향후 안전복지 분야에서 도·농간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정책을 실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현황분석을 위하여 1단계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기준을 검토하고, 행정안전부에서 취득한 전국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데이터를 통하여 지역별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지정 현황을 파악하였다. 2단계로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이재민 임시주거시설 종류 현황을 분석하였고, 각 시설면적과 수용능력에 대해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재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최근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하여 태풍이나 허리케인, 국지성 호우의 증가로 홍수에 따른 재해 취약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자연재해의 발생이 점점 증가추세에 있다.
우리나라에서 태풍과 호우로 인한 풍수해는 전체의 몇 %인가? 또한 우리나라는 자연재해 피해 중 태풍과 호우로 인한 풍수해가 전체 자연재해 피해의 95%이상을 차지하며,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자연재해 중에서 대규모 피해는 대부분 농촌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해마다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지만 이에 대한 대비와 대응체계는 미진한 실정이다.
10년간 풍수해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의 실질규모는 어느 정도인가? 재해연보(2013)에 따르면, 10년간 풍수해로 인하여 발생한 이재민의 수는 229,274명이며 그 중 태풍으로 인한 이재민 발생은 21,288명, 호우 175,037명, 대설 32,712명, 강풍 199명, 풍랑 38명으로 나타났으나, 이에 대한 대응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관련 연구도 임시주거컨테이너 시설 정비 및 관리 방안에 국한되어 실제 지정된 이재민 임시주거시설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체계 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oi, Jin Ho, (2004),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displaced people in emergenc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2. Hong, Eunki, Kim, Minseok, Yeom, Taejun, Park, Mijin, (2016), A Study of the Reasonable Space for Each Person about Inner Evacuated Facil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3, No.1, pp.15-25. 

  3. Kim, Min-Gyeong, Moon, Hyuk, Kim, Hye-Jung, Kim, Kyung-Sook, (2011), A Study on the Residential Planning Factors for Emergency Shelter after Disaster,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7, No.6, pp.93-102. 

  4. Kim, Seong Su, (2009), Study for infra construction of temporary residential districts from disasters,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5. Lee, Han Na, (2005), A study on the methods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displaced people in emergencies, KookMin University Graduate School 

  6. Lee, Ho Soong, (2013), A case study on partition structure as privacy provision tool for refugees in disaster shelters,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Vol.13, No.3, pp.133-143. 

  7. Lee Jong Rok, (2016), Study About Facility Appropriacy Based on The Number of People Demanding Evacuation of Evacuation School, Inche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8. Lim, Chang-Su, Oh, Yun-Kyung, Lee, Seung Chul, Kim, Eun-Ja, Choi, Jin-Ah, (2016), A Study on Analysis of Damaged Facilities in Rural Area by Storm and Flood Hazard, Journal of Korea Society of Rural Planning, Vol.22, No.2, pp.19-29. 

  9. Ma, Jae Hui, (2011), Plan for Semi-permanent Housing in Disaster Area, Hongik University Graduate School 

  10. Moon, Jung-In, and Lee, Sang-Ho, (2006), A Case Study on the Typology of Temporary Housing According to Disaster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2 No.9, pp. 141-148. 

  11.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4), A Research of evacuation assistance technology development for vulnerable people 

  12.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4), A Study on the Residential Planning Factors for Emergency Shelter after Disaster 

  13.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4), Technology Development of Integrated Shelter Management and Evacuee Support in Shelter 

  14. Park, dong min, (2007), A Study on the Space of Temporary Housing For the Displaced People in Emergencies,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15. Park, Ha Nui, (2007), A study on Damage Investigation and Shelter Operation Plan of Storm and Flood Disaste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16. Park, Nam Hee, Yeo, Wook Hyun, and Kim, Tae Whan, (2012), A Study on Civil Defense Evacuation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8 No.1, pp.56-70. 

  17. Park, Nam kwun, and Kang, Shin wook, (2014), A Study on Status Survey for the Improvement of Shelter Facilities for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10, No.1, pp.91-97. 

  18. Park, Yeon Jik, (2005), A Study on the Measures of the Residence Stabilization for the Dwellers in the Disaster Area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19. Yeom, Tae-Jun, Han, Jong-Hun, Park, Mi-Jin, and Hwang, Young-Sam, (2015), Study on Design Guideline and Application of Evacuation School Facility,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1, No.10, pp.63-72. 

  20. Yeom, Tae-jun, Lee, Jong-lok, Han, Jong-hoon, Park, Mi-jin, and Hwang, Young-sam, (2014), A Study on the Conformity Assessment Indicators developed for the selection of Evacuation School Facilities,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34, No.2, pp.149-150 

  21. Yum, Se Rye, Son, Young tae, and Lee, Sang hwa, (2012),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selection of shelter,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2012, No.10, pp.2174-217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