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산술적 사고 수준의 분석 및 검사 도구 개발
An Analysis on Levels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and Development of the Arithmetical Thinking Level Test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1 no.4, 2017년, pp.575 - 598  

임미인 (서울오류초등학교) ,  장혜원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 수학의 주요 내용인 산술 지도의 바람직한 방향 모색을 위해 산술적 사고의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산술적 사고 수준별 특징을 탐색하고 학생 개인의 산술적 사고 수준 판단을 위한 검사 도구를 마련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분석 결과에 따라 산술적 사고 요소에 기초한 산술적 사고의 수준별 특징을 탐색하고, Guttman 척도를 따르는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산술적 사고는 산술적 사고 요소에 따라 특징이 상이한 4가지 수준으로 구별 가능하며, 그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한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는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 판별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검사 도구의 적용 결과는 우리나라 초등 수학에서 관계 수준(3수준) 및 적용 수준(4수준)을 위한 학습 경험을 더욱 풍부히 제공해야 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level-specific characteristics of arithmetical thinking based on the arithmetical thinking factors and develop an arithmetical thinking level test that can identify students' arithmetical thinking levels by specifying the levels of arithmetical thinking based on the fa...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에서 수학을 학습한다는 것의 의미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초등학교에서 수학을 학습한다는 것은 곧 수와 연산을 학습한다는 의미로 여겨질 만큼 산술은 학교수학의 기본이라 할 수 있고, 실제로 수학 교과서를 분석해보더라도 초등 수학에서 산술이 차지하는 양과 범위가 방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등 수학의 핵심인 산술을 어떻게 의미 있게 지도할 수 있을까?
효과적인 산술 교육을 위한 지도는 어떤 필요성을 함의하는가? 따라서 효과적인 산술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이 보이는 산술적 사고의 특징 및 그에 따른 사고 수준을 파악하여 그에 적합하게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는 산술적 사고의 수준별 특징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학생들의 산술적 사고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진단 도구가 필요함을 함의한다. 물론 Guberman(2016)에서 산술적 사고 수준 검사 도구를 제시하기는 하였으나 이는 이스라엘이라는 특정 국가의 교육과정에 국한된다는 한계가 있다.
산술적 사고에서 예상되는 것은? Guberman(2016)은 van Hieles의 이론에 근거하여 산술적 사고의 수준을 구분하였다. 그에 따르면 산술적 사고는 수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부터 논리적 관계 인식에 이르기까지 사고 요소의 스펙트럼이 광범위하기 때문에, 학생별로 발달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사고 수준에 위치할 것이 예상된다. 그 밖에 Skemp(1989) 또한 예를 들어, 5 더하기 4의 덧셈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아동들의 사고를 살펴보면 5개의 구체물을 세고 4개를 더 센 후 다시 처음부터 9개를 모두 세는 아동, 손가락으로 5부터 시작하여 4개를 더 이어 세는 아동, 5 더하기 5는 10이고 4는 5보다 1만큼 작기 때문에 답이 10보다 1만큼 작은 9라고 답하는 아동 등 각기 다른 사고를 한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고창수, 오영열 (2015). 수학적 모델링 활동이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47-370. 

  2. 김정원, 방정숙, 최지영 (2016). Rasch 모델을 통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등호 이해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5(1), 1-19. 

  3. 우정호 (2011).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제2증보판).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4. 이화영 (2011). 초등학생의 대수 추론 능력과 조기 대수(Early Algebra) 지도.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임미인 (2017). 산술적 사고의 요소 및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전형옥, 이경화, 방정숙 (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적 추론 사례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19(1), 81-98. 

  7. 홍종선 (1997). 조사방법과 통계자료분석. 서울: 박영사. 

  8. Abdi, H. (2010). Guttman scaling. In Salkind, N. (Ed.), Encyclopedia of research design. Thousand Oaks, CA: Sage. 

  9. Babbie, E. (1994). The Practice of social research. Belmont Cal: Wadworth. 

  10. Berman, J. (2011). SToPV: A five minute assessment of place valu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6(4), 24-28. 

  11. Gay, L. R., Mills, G. E., & Airasian, P. W. (2000). Educational research: competencies for analysis & application. New York: Longman. 

  12. Guberman, R. (2016). Development of arithmetical thinking: evaluation of subject matter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in order to design the appropriate cours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14(4), 739-755. 

  13. Howe, R. (2015).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your child to learn about arithmetic. c. In X. Sun., B. Kaur., & J. Novotna. (Eds). Conference proceedings of ICMI study 23: primary mathematics study on whole numbers, 107-114. 

  14. Skemp, R. R. (1989). Mathematics in the primary school. Routledge. 김판수, 박성택 (역) (1996). 초등수학교육. 서울: 교우사. 

  15. Usiskin, Z. (1982). Van Hiele levels and achievement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CDASSG Projec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16. van Hiele,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Orlando, Fla: Academic Press. 

  17. Warren, E. (2003). The role of arithmetic structure in the transition from arithmetic to algebra.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Journal, 15(2), 122-137.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