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 UNESCO 및 UNFAO 세계유산에 대한 인식 비교 - 지역주민과 관광객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Residents' and Visitors' Perceptions on Six Heritages in Jeju Designated by UNESCO and UNFAO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5 no.4, 2017년, pp.134 - 143  

유원희 (제주대학교 대학원 관광경영학과) ,  서세진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정책과) ,  최병길 (제주대학교 관광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세계적 유산의 중요성에 비해 제주도민과 방문객 대상의 인식 측정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제주의 세계적인 유산에 대한 인식과 인식 경로, 그리고 로고의 인식 여부와 세계적인 유산 등재에 따른 영향인식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과 가장 최근에 등재된 해녀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인식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밭담과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에 대한 인식 수준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유산 로고에 대한 인식 여부에서는 유네스코 로고에 대한 노출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자연과 유산의 지속적 보호와 더불어 올바른 홍보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15 years since Jeju Island first was designated as one of UNESCO Biosphere Reserve areas. Jeju currently holds 5 UNESCO designations and the UNFAO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GIAHS). The 5 UNESCO global heritages that Jeju honors are the World Natural Heritage, Biosphere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네스코 및 UNFAO 세계적 유산 타이틀은 인류가 지켜내며 후손에게 전수할 가치가 있는 대체 불가능한 소중한 지역임을 의미하며 보유지역의 생물다양성을 홍보할 뿐만 아니라 세계 유산 지역 홍보를 통해 보호할 자연의 존재를 알리고 공유하는 중요한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의 유네스코 및 UNFAO의 세계적 유산과 타이틀 로고에 대한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인식을 비교함과 동시에 현재 제주가 보유한 세계적 유산의 등재 영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봄으로 제주의 세계적 등재 유산에 대한 앞으로의 홍보 방안과 보호방안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제주도는 유네스코와 UNFAO가 추구하는 철학, 이상, 가치에 가장 근접하고 합리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제주도 보유의 세계적 유산을 통해 지역의 자연과 문화의 가치를 한층 배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세계적 유산을 다량 보유하고 있는 유일 지역 제주도의 세계적 타이틀 인식 확인을 통해 제주주민과 관광객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적 유산 로고에 대한 인식과 세계적 유산의 등재 영향을 제주 관광산업의 영향, 제주 이미지 향상, 자긍심 고취, 관광 기반 시설의 영향, 자연 보호 인식의 영향 등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유산의 인식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유산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각 로고에 대한 인식 여부와 더 나아가 세계 유산 등재의 영향 인식을 제주 관광산업의 영향, 제주 이미지 향상, 자긍심 고취, 관광 기반 시설에 대한 영향, 자연 보호 인식에 대한 영향 등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 유네스코 세계 유산 지정 지역에 대한 인식 연구가 등재 지역 방문객에 한정하여 진행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세계 유산의 지속성을 위해서 가까이에서 그 유산의 가치를 알고 돌보아야 할 책임이 있는 지역주민인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함께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였다.
  • 본 연구는 제주도가 세계 환경, 문화, 농업유산 제도를 도입한지 만 15년이 지난 현재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유산에 대한 인식 수준 및 인식 경로, 세계 유산 로고에 대한 인식과 인식 경로 및 세계 유산 등재로 인한 영향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민과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제주도가 보유한 다양한 유산등재에 대해 인식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더불어 유산 로고 인지 경로와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유산에 대한 의미에 대해 제주도민과 관광객들은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산 지정의 목적인 지속적인 유산 보호와 더불어 올바른 홍보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또한 유네스코는 1971년 인간의 거주 인접지역과 해안의 에코시스템을 보호하고 생물종다양성을 보호하기 위해 ‘생물권보존지역’ 제도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인류와 환경의 밀접한 관계를 이해하고 공생의 방향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2002년 한라산을 중심으로 영천, 효돈천, 문섬, 범섬, 섶섬일대가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제주도민과 제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이 제주도가 보유한 다양한 유산등재에 대해 인식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더불어 유산 로고 인지 경로와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유산에 대한 의미에 대해 제주도민과 관광객들은 어떠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산 지정의 목적인 지속적인 유산 보호와 더불어 올바른 홍보 방안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제주를 방문하는 국내외 관광객 수는 2016년 기준 1,500만명에 이르며 제주의 6대 세계적 유산은 관광객들이 제주를 관광목적지로 선택하는 제주의 중요한 관광자원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는 제주의 6대 유산등재 및 유산의 관광 영향에 대한 제주도민과 관광객의 인식을 조사함으로 현재의 인식 수준을 비교 검토하고 앞으로 제주의 세계적 유산에 대한 홍보 방안과 더불어 보호방안에 대한 발전적 제시를 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유산의 인식에 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제주가 보유하고 있는 세계적 유산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보고 각 로고에 대한 인식 여부와 더 나아가 세계 유산 등재의 영향 인식을 제주 관광산업의 영향, 제주 이미지 향상, 자긍심 고취, 관광 기반 시설에 대한 영향, 자연 보호 인식에 대한 영향 등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기존 유네스코 세계 유산 지정 지역에 대한 인식 연구가 등재 지역 방문객에 한정하여 진행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세계 유산의 지속성을 위해서 가까이에서 그 유산의 가치를 알고 돌보아야 할 책임이 있는 지역주민인 제주도민을 대상으로 함께 살펴봄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더욱 확대하였다.
  • 기존 세계 유산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로고의 인식이나 세계적 유산의 등재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을 연구하는 것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 분석을 통해 제주가 보유하고 자연, 문화유산의 세계적 등재가 제주도민과 제주 방문 관광객들에게 미치는 영향 인식을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제주가 보유한 UNFAO의 등재는?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어떤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나? 제주는 2002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 지정을 시점으로 15년간 총 5개의 유네스코 등재와 하나의 UNFAO 세계농업유산(GIAHS)에 등재되었다. 제주가 보유한 5가지 유네스코 타이틀은 생물권보존지역(2002), 세계자연유산(2007년), 칠머리당굿 무형문화유산(2009년), 세계지질공원(2010년), 해녀무형문화유산(2016년) 이며, UNFAO의 등재는 세계농업유산 제주밭담(2014년)이다. 이런 세계적 수준의 등재는 고도의 인식과 환경 보호의 가치를 상징하며 더불어 제주방문 관광객을 증가시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UNESCO Convention. (2003). Convention Concerning on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Article 1 for Definition. 

  2. Yoon, Seol-Min, Song, Hak-Jun, Baek, Joo-A, and Kim, Heung-Ryel. (2010) A Study for Recognition about Cultural Heritage of Visitors in Bukaksan's Seoul Fortress: Focused on Modified New Environmental Paradigm(NEP) Scale.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2(1): 133-150. 

  3. Yi, Young-Kyoung.(2008). Economic Valuation of Cultural Heritage Resource -In Case of Bulguksa,Seoggula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6(1): 35-43. 

  4. Dewar, K., du Cros, H. and Li, W.(2012). The search for World Heritage brand awareness beyond the iconic heritage: a case study of the Historic Centre of Macao, Journal of Heritage Tourism. 7(4): 323-339. 

  5. King, L. M. and Halpenny, E. A.(2014) Communicating the World Heritage brand: visitor awareness of UNESCO's World Heritage symbol and the implications for sites, stakeholders and sustainable management,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2(5): 768-786. 

  6. UNESCO Convention.(2003). Convention Concerning on the Protection of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Article 1 for Definition. 32nd session meeting. 

  7. www.unesco.co.kr 

  8. Shackley, M.(1998) Introduction: World cultural heritage sites. Visitor management: Case studies from world heritage sites, Oxford: Betterworth-Heinemann. 1-9. 

  9. UNESCO Convention(2003). Convention for the Safeguarding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10. http://www.fao.org/giahs/giahs/features-and-criteria/en 

  11. Baek, S. S. Moon, Y. S. and Jung, K. H.(2016). A Study on the Valuation Standards for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4): 110-118. 

  12. Kotler, P. and Gertner, D.(2002). Country as brand, product, and beyond: A place marketing and brand management perspective, Journal of brand management. 9(4): 249-261. 

  13. Choi, J. U. Kim, D. Y. Yoon, S. D. and Kwak, M. J.(2016). Perspectives on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Scheme of Sacred Dangsan Forest in Singi-ri, Namwon-si as an Agri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3): 115-123. 

  14. Baek, S. S. Moon, Y. S. and Jung, K. H.(2016). A Study on the Valuation Standards for the Korea Agri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4): 110-118. 

  15.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rdinance on Management of UNESCO designated Heritages (2016). 

  16. Baek, S. S.(2017). A Proposal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Policy on Korea's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5(2): 98-107. 

  17. Drost, A.(1996) Developing sustainable tourism for world heritage sites.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2): 479-484. 

  18. Ryan, J. and Silvanto, S. (2009). The World Heritage List: The making and management of a brand. Place Branding and Public Diplomacy. 5(4): 290-300. 

  19. Kim, Nam-jo.(2001). The Different Perceptions, Attitudes, and Expected Behaviors on the Tourist Destination Between Hosts and Guests. Jounal of Tourism Sciences 25(3): 43-62. 

  20. Keller, K. L.(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the Journal of Marketing, 1-22. 

  21. Dewar, K., du Cros, H. and Li, W.(2012). The search for World Heritage brand awareness beyond the iconic heritage: a case study of the Historic Centre of Macao, Journal of Heritage Tourism. 7(4): 323-339. 

  22. Dewar, K., du Cros, H. and Li, W.(2012). The search for World Heritage brand awareness beyond the iconic heritage: a case study of the Historic Centre of Macao, Journal of Heritage Tourism. 7(4): 323-339. 

  23. Hall, C. M. and Piggin, R.(2003) World Heritage sites: managing the brand. Managing visitor attraction. New directions. 203-219. 

  24. Terill G.(2009) Australia ICOMOS from World Heritage Committee Representatives. Unpublished report, Canberra. 

  25. King, L. M. and Halpenny, E. A.(2014) Communicating the World Heritage brand: visitor awareness of UNESCO's World Heritage symbol and the implications for sites, stakeholders and sustainable management, Journal of Sustainable Tourism. 22(5): 768-786. 

  26. Hergesell, A.(2006). Influence of the World Heritage certification on destination choice(Master's thesis). Bournemouth University, Bournemouth, Germany. 

  27. Poria, Y., Reichel, A. and Cohen, R.(2010). World Heritage Site-is it an effective brand name? A case study of a religious Heritage Site. Journal of Travel Research 50(5): 482-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