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마케팅 분야의 연구경향 및 대학 교과과정 특성 분석 - 최근 10년간의 변화와 『복식』지의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
Trends of Research and College Education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n Analysis of JKSC & IJCF, 2006-2015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7 no.1, 2017년, pp.74 - 94  

지혜경 (한성대학교 패션학부) ,  이수진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the trends in research and curriculum of college education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nd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and education of fashion marketing business. The data extracted from the articles published in JKSC/IJCF and the coll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이를 10년 전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 동안 어떤 변화가 나타났고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변해 나가야 할지를 제언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우리 나라 패션산업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세계 패션시장의 중심적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연구와 교육 두 분야 간의 연계성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 부문은 의류학의 대표적 전문학술지로 꼽히는 『복식』 및 영문학술지 『IJCF』(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에 발표된 패션마케팅 분야 연구 논문을 분석하였고 교육 부문은 국내 4년제 대학 패션관련 전공(학과)에서 개설되어 있는 패션마케팅 분야 교과목을 분석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복식학회 창립 40주년을 맞아 지난 2007년 Lee & Lee(2007)에 의해 진행된 복식학회 30년간의 패션마케팅 분야 연구경향과 4년제 대학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에 이어 최근 10년간 복식학회에 발표된 연구논문의 연구동향과 대학의 교과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산업의 변화와 발전에 적합한 패션마케팅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위해, 현재 이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대학에서의 패션관련 학과(전공)의 패션마케팅 분야 교과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10년 전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 동안 어떤 변화가 나타났고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변해 나가야 할지를 제언해 보고자 한다. 나아가 우리 나라 패션산업이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세계 패션시장의 중심적 위치가 될 수 있도록 연구와 교육 두 분야 간의 연계성도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패션산업의 변화와 발전에 적합한 패션마케팅 분야의 연구와 교육을 위해, 현재 이분야의 연구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고 대학에서의 패션관련 학과(전공)의 패션마케팅 분야 교과과정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 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10년 전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 동안 어떤 변화가 나타났고 앞으로 어떠한 방향으로 변해 나가야 할지를 제언해 보고자 한다.
  • 의류학의 분야별 연구 비중에 대한 연구결과는 [Table 1]에서와 같이 시기에 따라 연구 경향에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의류학의 연구 경향을 고찰한 선행연구들을 중심으로 의류학 연구 초기부터 2000년대까지의 시기별 연구 특징과 연구 경향을 살펴보았다.
  • 지금까지 세계 패션산업의 변화 과정으로 볼 때 패션산업이 발전할수록 패션시장에서의 패션마케팅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중요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패션산업의 변화와 수요에 부응하는 패션마케팅 분야의 연구 및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복식』 및 『IJCF』(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에 발표된 패션마케팅 분야 연구 논문과 국내 4년제 대학 패션관련 전공(학과)의 패션마케팅 분야 교과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 분야의 학문 발전에 대한 학술연구 분석과 교과과정의 변화를 함께 살펴보는 것이 학문과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에 의미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패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들은 패션업계가 필요로 하는 인재를 배출하고 패션산업의 변화를 담아내는 교과과정을 운영하는데 있어 다소 미흡한 측면이 있다. 교과과정은 사회문화적 변화와 산업환경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특히 학문 발전과는 직접 관련된다. 따라서 특정 연구 분야의 학문 발전에 대한 학술연구 분석과 교과과정의 변화를 함께 살펴보는 것은 학문과 교육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한 방법 모색에 의미가 있는 일이다.
패션마케팅은 어떻게 정의할 수 있는가? 패션마케팅 분야는 의류학의 전체 영역 중에서 상대적으로 역사가 길지 않은 학문 분야로 패션마케팅의 세부영역에 대한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다(Yu & Lee, 2004). 영국에서 발간되는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Management에서 패션마케팅을 의류산업과 유통업에서 발생하는 마케팅 및 관리 유지에 관한 학문으로 정의하였는데, 이러한 관점을 바탕으로 한다면 패션제품 및 그에 관련된 서비스를 다루는 마케팅의 특수 영역을 패션마케팅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Park & Kim, 2004). 그러나 최근의 국내 패션마케팅 분야의 연구영역에 따른 정의는 이러한 패션마케팅의 범위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많은 연구자들의 관측이다(Yu & Lee, 2004; Lee & Lee, 2007).
의류학 관련 학회지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1991)은 『대한가정학회지』(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FER), 『한국의류학회지』(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KSCT), 『복식』(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KSC)의 창간호부터 1990년까지 게재된 의류학 관련 논문들을 분석하였고, Kim(1999)은 『복식』, 『한국의류학회지』를 중심으로 1990년부터 1998년까지의 의류학 연구 분야의 동향을 분석하였으며 Rha, Lee, & Bae(2000), Lee(2002) 등은 의류학 연구 분야 전 영역에 대해 분석하였다. 의류학 관련 학회지는 복식사(historical costume), 디자인 및 복식의장학(apparel design), 의복구성학(clothing construction), 피복과학(textile science), 의상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그리고 패션마케팅(fashion marketing)의 6개 분야로 크게 분류된다. 의류학의 분야별 연구 비중에 대한 연구결과는 [Table 1]에서와 같이 시기에 따라 연구 경향에 차이가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Choi, H. (2013). A survey on the research trends of clothing construction in korea: Focused on journal publications from 2001 through 201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3(3), 138-150. 

  2. Ha, S. Y. (2011). Fashion design education in the world: Fashion industry internship of Parsons The New School for Design. Fash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8, 98-108. 

  3. Han, K. S., & Lee, J. H. (2016).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fashion academic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1), 81-99. 

  4. Higher Education in Korea(http://www.academyinfo.go.kr) 

  5. Hwang, J. S. (2006). Investigating the Trends of clothing and textiles education in foreign countries: Focused on the field of fashion market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Conference(Fall), 45-48. 

  6. Im, S. (2014).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of fashion education in Korea and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6), 16-32. 

  7. Jung, C., Park, S., & Hwang, S. (1991). Changing focus and development of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1959-199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1), 28-37. 

  8. Jung, H. J. (2009). Study of fashion retail management curriculum: 4-year colleges in Korea and the US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1), 34-50. 

  9. Jung, J. E., Lee, C. W., & Han, Y. H. (2011). Theses: curriculum development for fashion business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1), 1-19. 

  10. Kim, C. (1999). A survey on korean clothing and textiles in nineties(1990-1998): Focused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8), 133-142. 

  11. Kim, E. A., Ahn, C. S., Park, S. C., Jeon, E. K., Hwang, J. S., & Shim, J. E. (2011). A study on the status and supply-demand of manpower in fashion industry.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Conference(Fall), 67-89. 

  12. Kim, H. E. (1999). A Study on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87-107. 

  13. Kim, H. S. (1993).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Journal of Human Environment and Art, 16, 93-116. 

  14. Kim, H. Y. (2000). A study on the students conception of curriculum in clothing and textiles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81-95. 

  15. Kim, M. (1990). Research trend of korean costume for 30 years: 1958-198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5, 55-61. 

  16. Kim, S. R. (2015). Theses: A curricula comparison study of undergraduate fashion-related majors between the universities in Korea and those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9(1), 1-16. 

  17. Ku, Y. S., Kim, J. W., Park, K. A., Park, K. H.,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s: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g Kong.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1), 19-32. 

  18. Lee, H. J., & Jung, S. H. (2012). New fashion merchandising. Seoul, Republic of Korea: Kyohakyeonkusa. 

  19. Lee, H. Y., & Lee, J. H. (1991).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department of clothing in Korea. Taejon University Thesis Collection, 10(1), 197-204. 

  20. Lee, H. Y., Lee, J. H., & Jung, K. Y. (1993). A study on the curriculum for the related clothing. Institute of Basic Science Taejon University, 4(1), 117-132. 

  21. Lee, M. (2002). A content analysis of articles 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1977-200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4), 97-109. 

  22. Lee, S. H., & Park, S. K. (2007). A globalizationfocus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 in fashion marketing area: Comparison of Korean and U.S. graduate school's fashion marketing curricul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1(3), 420-432. 

  23. Lee, Y., & Lee. I. (1996). An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s of social psychological aspects of cloth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30, 19-40. 

  24. Lee, Y., & Lee, M.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a and in resear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123-139. 

  25. Moon, S., & Lee, K. (1984). Directions of future development for korean home economics.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22(3), 181-198. 

  26. Park, H., & Kim, H. (2004). Cultural and consumption values in the Korean fashion industry: Macro-level perspectives of fashion system in marketing and clothing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 1-11. 

  27. Rha, S., Lee, J., & Bae, J. (2000). A state-of-the art review of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in Korea: 1991-1999.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6), 853-863. 

  28. Rha, S. I., Kwon, H. S., & Lee, J. S.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5), 54-66. 

  29. Song, M. K. (1979).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clothing and textiles in college. Dongduk Women's University Thesis Collection, 9(1), 151-173. 

  30. Sung, H., Lee, O., & Yu, H. (1994). Analysis of articles and citations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5), 692-703. 

  31.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999). A study on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 Yu, H. & Lee, S. (2004). Research trend in korean fashion marketing and its implications: Based on journal publications by 2000.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8), 1121-1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