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창의·인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esting Tool fo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haracte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6 no.1, 2017년, pp.41 - 62  

황우형 (고려대학교) ,  김동중 (고려대학교) ,  김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  이다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  최상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integrating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nd its need in mathematics education by developing and validating a testing tool assessing students' perception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haracter.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sixty q...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학과의 창의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종합해보았을 때, 수학적 창의성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수학과의 창의성과 관련된 선행 연구(권오남·김정효, 2000; 김부윤·이지성, 2005; 김은진·권혁진, 2012; 김홍원, 1998; 남승인, 2007; 박만구, 2009; 이강섭·황동주, 2007; 황우형·최계현·김경미·이명희, 2006)를 종합하면, 수학적 창의성은 기존의 지식과 경험을 구조적으로 연결하거나 통합, 재구성하여 다양하고 독창적인 비정형화된 방법을 사용하는 개인의 성향 및 능력 또는 그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의 통합 필요성이 대두된 배경은?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서 갖춰야할 역량으로 지적 능력, 창조적 능력, 인성적 측면의 역량 등 다양한 역량의 종합적 함양을 강조하면서(Gardner, 2006; Sternberg, 2003)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의 통합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고(박영태, 2002), 이후 ‘창의 인성 교육’의 정의와 방향을 탐색하여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문용린·최인수·곽윤정·이현주·이화선·이미나·이채호·백수현·윤지윤·박은정·석수경, 2010; 박진홍, 2011; 박창남·이승철, 2013; 박춘성, 2010; 최규리, 2012; 최의창·박정준, 2011; 최준환·박춘성·연경남·민영경·이은아·정원선·서지연·차대길· 허준영·임청묵, 2009)가 이루어졌다.
창의성 교육과 인성 교육의 통합에 대한 선행 연구들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그리고 선행 연구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였다. 첫째,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현장 적용 사례를 분석할 때, 창의 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주장하고 정당화하기 위한 검사 도구가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둘째, 수학과에서 창의성과 인성 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의 창의성과 인성의 통합 가능성과 둘 사이의 관계성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수학적인 경험들을 연결함으로서 창의성을 만들어낼 수 있는 “공유된 창의성”(최상호·하정미·김동중, 2016)의 원리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접근 방식에 대해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즉, 공동체에 참여하여 사람 간의 관계를 유지하고 향상하는데 필요한 요인들은 인성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인성을 바탕으로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고 이러한 참여를 통한 다양한 수학적 경험의 연결은 결국 창의성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8)

  1. 권오남, 김정효 (2000). 창의적 문제해결력 중심의 수학교육과정 적용 및 효과 분석, 수학교육 39(2), 81-99. Kwon, O. & Kim, J. (2000). Application and Examination the Effect of Mathematics Curriculum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39(2), 81-99. 

  2. 권오남, 박지현, 방정숙 (2011).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수학 수업 모형 사례, 수학교육 50(4), 403-428. Kwon, O., Park, J., & Pang, J. (2011). Model Lessons of mathematical practice focus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urriculum, The mathematical education 50(4), 403-428. 

  3. 권오남, 박지현, 방정숙, 박재희, 조경희, 오혜미, 이지은, 김아미, 권수경, 장혜경, 김미주, 박귀희, 나미영, 오국환, 김소연, 최성이 (2010). 수학과 창의?인성 수업모델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 2010-08. Kwon, O., Park, J., Pang, J., Park, J., Jo, K., Oh, H., Lee, J., Kim, A., Kwon, S., Jang, H., Kim, M., Park, G., Na, M., Oh, G., Kim, S., & Choe, S. (2010).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odels for mathematical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policy research, 2010-08. 

  4. 권은진 (2008). 유동지능, 결정지능 및 개방성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Kwon, E.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Fluid Intelligence, Crystallized Intelligence and Opennes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master's thesis. 

  5. 김남규, 김영범 (2013). 체육수업에서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실천, 교과교육학연구 17(1), 29-52. Kim, N. & Kim, Y. (2013). Program Development and Practice to Cultivate Creativity and Character in Physical Education: By Using the Hanaro Teaching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7(1), 29-52. 

  6. 김민성 (2014). 수업에서의 인성교육 원리 : 대화와 참여를 촉진하는 배움의 공동체 형성, 교육심리연구 28(1), 117-142. Kim, M. (2014). Instructional Principles of Character Education: a Learning Community for Promoting Dialogue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8(1), 117-142. 

  7. 김부윤, 이지성 (2005). 수학적 창의성의 평가방안에 대한 모색,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8(3), 327-341. Kim, B. & Lee, J. (2005). A Note on the Assess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8(3), 327-341. 

  8. 김부윤, 이지성 (2006). 수학에서의 창의적 태도의 측정도구 개발과 그 적용, 수학교육 45(1), 25-34. Kim, B. & Lee, J. (2006).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s of the CAS-K in mathematics, The Mathematical Education, 45(1), 25-34. 

  9. 김상화, 방정숙 (2010). 담화 중심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4(3), 523-545. Kim,, S. & Pang, J. (2010). An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Focused on Discourse-Based Communic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al Education in Korea, 14(3), 523-545. 

  10. 김수진, 박지현, 김현경, 진의남, 이명진, 김지영, 안윤경, 서지희 (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 비교 연구: TIMSS 2011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4-3. Kim, S., Park, J., Kim, H., Jin, U., Lee, M., Kim, J., An, Y., & Seo, J. (2012).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2011,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Reseach Report RRE 2012-4-3. 

  11. 김언주 (1997). 창의력 사고에 있어서 정서의 문제, 창의력교육연구 1(2), 171-189. Kim, E. (1997). Emotional issue in creative thinking,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2), 171-189. 

  12. 김은진, 권혁진 (2012). 관계적 이해와 창의적 수학 문제 발견능력과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11-533. Kim, E. & Kwean, H. (2012). An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Relational Understanding and Creative Math Problem Find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5(3), 511-533. 

  13. 김주숙, 박만구 (2015). 사회정의를 위한 수학 수업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와 가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409-434. Kim, J. & Park, M. (2015). The Influences of Teaching Mathematics for Social Justice on Students' Interest towards Mathematics and Perceptions of Mathematical Value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9(3), 409-434. 

  14. 김중근, 김승재 (2013). 2009개정 교육과정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체육교사의 관심과 실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171-194. Kim, J. & Kim, S. (2013).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cerns and Performance on 2009 Revised Curriculum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3(6), 171-194. 

  15. 김판수 (2008).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3), 465-496. Kim, P. (2008).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View of General Creativity Theory,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18(3), 465-496. 

  16. 김홍원 (1998). 수학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수학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8(2), 69-89. Kim, H. (1998). Development of identification tool for the mathematically gifted: With a creative problem-solving test in mathematics,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8(2), 69-89. 

  17. 남승인 (2007). 수학 창의성 신장을 위한 평가 문항 개발 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1(2), 271-282. Nam, S.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Evaluation Item to extend mathematical creativity,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1(2), 271-282. 

  18. 노형진 (2016). SPSS 및 AMOS를 활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원리편, 서울: 지필미디어. No, H. (2016).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 AMOS : Principle Part, Seoul: Jiphil Media. 

  19. 문용린, 최인수, 곽윤정, 이현주, 이화선, 이미나, 이채호, 백수현, 윤지윤, 박은정, 석수경 (2010).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 2009-019. Moon, Y., Choi, I., Kwak, Y., Lee, H., Lee, H., Lee, M., Lee, C., Baek, S., Yoon, J., Park, E., & Seok, S. (2010). Activation plan research on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for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 practicing consideration and sharing,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policy research 2009-019. 

  20.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의 개념 및 신장 방안, 수학교육 논문집 23(3), 803-822. Park, M. (2009). The Concept of Creativity and Its Enhanc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3(3), 803-822. 

  21. 박소연, 박현숙 (2015). 예비 중등 역사교사를 위한 운영 효과, 교육과정평가연구 18(3), 183-207. 

  22. Park, S. & Park, H. (2015). The Effectiveness of for Pre-service Secondary History Teachers, The Journal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18(3), 183-207. 

  23. 박영태 (1999). 자유와 사랑을 통한 인성교육에 관한 고찰, 학생연구 27, 71-92. Park, Y. (1999). A Study on Freedom and Love-Based Personality Education, Research Review 27, 71-92. 

  24. 박영태 (2002). 창의적 인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지방교육경영 7, 235-264. Park, Y. (2002). A Study of the Program for Creative Personality Development, Journal of Local Education Management 7, 235-264. 

  25. 박진홍 (2011). 음악비평 활동의 창의 . 인성 교육적 접근, 음악교육공학 13, 95-114. Park, J. (2011). The Creativity.Character Education Approach of Musical Criticism Activity,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13, 95-114. 

  26. 박창남, 이승철 (2013). 창의.인성의 개념에 대한 교육목적론적 검토, 창의력교육연구 13(1), 111-124. Park, C. & Lee, S. (2013). Review on the Concept of Creativity.Personality Based on Educational Purpose,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3(1), 111-124. 

  27. 박춘성 (2010). 창의.인성의 특성과 학교에서의 발현을 위한 방안 탐색, 창의력교육연구 10(2), 61-72. Park, C. (2010). The creative character education evolved in school, Korean Society for Creativity Education 10(2), 61-72. 

  28.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Bae, B. (2009).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7.0-Principles and Practice-, Seoul: ChungLam. 

  29. 배성철, 황우형 (2015). 창의?인성 수학교육 프로그램과 수학적 창의성과 인성에 대한 인식 변화, 교과교육학연구 19(1), 23-45. Bae, S. & Whang, W. (2015). Changes in students' awareness of a creativity-personality enriched mathematics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9(1), 23-45. 

  30. 송상헌 (2006). 수학 영재의 판별과 선발, 한국학술정보원. Song, S. (2006). Identification and selec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KERIS. 

  31. 신문승, 강충열 (2009). 초등학교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초등교육연구 22(3), 113-136. Shin, M. & Kang, C. (2009).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Creativity Education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2(3), 113-136. 

  32. 신준국 (2015). 중학교 수학교과에서 인성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Shin, J. (201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character education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classes. Doctorate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3. 오정현, 이승실 (2013). 역사과 창의.인성 교육 사례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7(4), 1143-1167. Oh, J. & Lee, S. (2013). Case Studies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the History Curriculum: Focusing on an application of media in project lectur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7(4), 1143-1167. 

  34. 이강섭, 황동주 (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과의 상관 연구, 수학교육 46(4), 503-519. Lee, K. & Hwang, D. (2007). Correlation betwee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503-519. 

  35. 이경화, 김은경 (2014). 창의.인성 모델학교와 일반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 분석, 한국교육 41(2), 139-156. Lee, K. & Kim, E. (2014). Analysi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Creativity? Personality Model Schools and Public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1(2), 139-156. 

  36. 이경화, 유경훈 (2014). 창의.인성교육이 초중등 학생들의 창의성과 자아개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창의력교육연구 14(1), 1-16. Lee, K. & Lew, K. (2014). The Effect of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14(1), 1-16. 

  37. 이상봉, 백현일 (2013). 중등 기술교육에서 창의.인성 함양 수업과정안의 개발, 실과교육연구 19(4), 217-232. Yi, S. & Baek, H. (2013). The Development of Lesson Process Plan for Fostering Student'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Secondary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9(4), 217-232. 

  38. 이윤정 (2014). 핵심역량 중심의 실과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인성교육 수업모델개발연구, 실과교육연구 20(2), 71-94. Lee, Y. (2014).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el for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Key Competence focused Clothing & Textile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2), 71-94. 

  39. 임정하, 김경민, 조은영 (2015). 예비교사의 창의.인성 교수효능감 척도 개발 연구, 교육문제연구 57, 27-44. Lim, J., Kim, K., & Jo, E. (2015).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Character Teaching-Efficacy Instrument for Prospectiv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57, 27-44. 

  40. 최규리 (2012). 창의 인성 중심의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방향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8), 1169-1186. Choi, K. (2012). The Direction of Science Gifted Education based on Creativity and Charact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8), 1169-1186. 

  41. 최미정 (2010). 창의.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모형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3), 501-526. Choi, M. (2010). Teacher education model development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0(3), 501-526. 

  42. 최상호, 하정미, 김동중 (2016). 학생 중심 동료 멘토링교수법에서 수학적 과정에 대한 의사소통학적 접근, 수학교육논문집 30(3), 375-392. Choi, S., Ha, J., & Kim, D. (2016).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mathematical process appeared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Communications of Mathematics Education 30(3), 375-392. 

  43. 최의창, 박정준 (2011). 창의.인성강조 체육수업의 개념과 방법, 교육과정연구 29(1), 209-237. Choi, E. & Park, J. (2011). The concept and method of creativity and character-emphasized physical education: A view from an integrated approach,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9(1), 209-237. 

  44. 최인수, 이종구 (2004). 창의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Choi, I. & Lee, J. (2004). Creativity measuring, Seoul: Korea guidance. 

  45. 최준환, 박춘성, 연경남, 민영경, 이은아, 정원선, 서지연, 차대길, 허준영, 임청묵 (2009).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 . 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창의력교육연구 9(2), 89-112. Choi, J., Park, C., Yeon, K., Min, Y., Lee, E., Jeong, W., Seo, J., Cha, D., Hur, D., & Lim, C. (2009). The problem of character education and alternative approach in korea(creative character education). The Journal of creativity education 9(2), 89-112. 

  46.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Hah, J. (2000).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4(2), 187-210. 

  47. 하주현 (2001). 창의적 인성검사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 연구, 교육심리연구 15(3), 323-351. Hah, J. (2001). The study of validation of Creative Personality Scale (CPS) by age and development of creative persona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5(3), 323-351. 

  48. 하주현, 유경재, 한윤영 (2011). KEDI 창의적 인성검사 3종 개발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CR2011-43. Ha, J., Yoo, K., & Han, Y. (2011). Development report on three kinds of KEDI creative character test,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report CR2011-43. 

  49. 홍금희, 최재호 (2011). 담화 중심 수학 수업의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559-577. Hong, K. & Choi, J. (2011). Analysis of the Effects of Discourse-Based Math Instruction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5(3), 559-577. 

  50. 홍세정, 장재윤 (2015). 내적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4(1), 57-86. Hong, S. & Chang, J. (2015).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rinsic Motivation and Creativity, Korea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4(1), 57-86. 

  51. 홍종선, 박용석 (2007). 설문조사자료의 통계 분석: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는 논문 지침서, 파주: 자유아카데미. Hong, J. & Park, Y. (2007). Statistical analysis of survey data: A paper tutorial using the survey method, Paju: Freedom Academy. 

  52. 홍혜정, 윤회정, 우애자 (2012). 과학 교과에 적용되는 창의.인성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6(4), 887-908. Hong, H., Yoon, H., & Woo, A. (2012). Science Teachers' Recognition of Creativity-Personality Education as Applied to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6(4), 887-908. 

  53. 황동주 (2005). 수학 영재 판별의 타당도 향상을 위한 수학 창의성 및 문제 해결력 검사 개발과 채점 방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Hwang, D. (2005).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scoring for the mathematical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ests to improve the validity of identification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Doctorate thesis, Dankook University. 

  54.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Whang, W., Choi, K., Kim, K., & Lee, M. (2006). Mathematical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0(4), 561-574. 

  55. 황혜정, 나귀수, 최승현, 박경미, 임재훈, 서동엽 (2012). 수학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Hwang, H., Na, G., Choi, S., Park, K., Yim, J., & Seo, D. (2012). New theories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moonumsa. 

  56. Amabile, T.M. (1998). 창의성과 동기유발 (전경원 역), 서울: 창지사. (원저 1992년 출판) 

  57. Arieti, S. (1976). Creativity: The magic synthesis, New York: Basic Books. 

  58. Basadur, M., Taggar, S., & Pringle, P. (1999). Improving the measurement of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in organizations,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33, 75-111. 

  59. Chapin, S.H., O'Connor, C., & Anderson, N.C. (2009). 수학교실에서 말하기(김진호, 김인경, 남미선 역), 서울: 경문사. (원저 2009년 출판) 

  60. Davis, G.A. (2005). Creativity is forever(5th Ed.), Dubuque, IA: Kendall/Hunt Publishing. 

  61. Fischbein, E. (1987). Intuition in mathematics: An educational approach, D. 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Netherland. 

  62. Gardner, H. (2006). Five minds for the Future, Cambridge, Massachusetts: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63.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64. Polya, G. (1957). How To solve it(2nd ed.), New York: Doubleday & Company, Inc. 

  65. Ryan, R.M. & Deci, E.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54-67. 

  66. Skemp, R.R. (1987).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London: Routledge. 

  67. Sternberg, R.J. (2003). WICS: A Model of Leadership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and Education 2(4), 386-401. 

  68. Torrance, E.P. (1972). Predictive validity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 236-25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