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로정원은 서울시 가로환경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보행자들에게 심미적 만족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휴식공간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로정원이 이용자의 심리적 향상을 돕는지 고찰하기 위해, 가로정원과 이에 상응하는 비교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서울시에 위치한 총 9개의 가로정원 중 강남대로, 디지털로, 테헤란로에 설치된 가로정원을 대상지로 선택하였으며, 비교대상지로는 동일 대로상에 위치하며 물리적 환경이 유사하나 가로정원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3개의 장소를 선정하였다. 설문은 주의회복이론(Attention Restoration Theory: ART)을 근거, '매력감(Fascination), '벗어남(Being away)', '짜임새(Coherence)', '규모(Scope)'를 중심으로 구성된 회복환경지각척도-11(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11) 질문과, 심리적 회복을 유도한 설계 요소를 묻는 질문으로 구성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로정원은 이용자들의 심리적 회복에 비교적 긍정적 효과를 미치며, 특히 이용자들에게 매력감과 흥미로움을 부여한다고 나타났다. 그러나 가로정원은 이용자들에게 고단한 현실에서 벗어나는 듯한 느낌을 주지 못하여 심리적 향상효과의 한계를 드러냈다. 심리적 회복효과를 유도한 가로정원의 물리적 요소는 나무벤치, 나무, 꽃으로 나타나, 자연적인 요소가 인공적 요소보다 심리적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심리회복 이론에 부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가로정원 사업을 추진함에 있어 계획 및 설계 가이드라인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reet gardens, a series of streetscape improvement projects led by Seoul City Government, are initia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aesthetic satisfaction and mental refreshment to pedestrians. In order to investigate whether street gardens indeed promote the psychological health of the users, qu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가 가로정원을 설치한 이유는? 가로정원은 서울시 가로환경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보행자들에게 심미적 만족과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기 위한 휴식공간으로 설치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가로정원이 이용자의 심리적 향상을 돕는지 고찰하기 위해, 가로정원과 이에 상응하는 비교대상지를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비교하였다.
회복 및 심리적 회복이란? 도시민들은 밀도 있게 개발된 일상 도시환경으로부터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심리적 스트레스와 피로를 해소하고자 한다. ‘회복(Restoration)이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역량(Physio psychosocial capacity)을 갱신하는 일련의 과정을 가리키며(Tak et al., 2009 재인용)’, 부정적 심리상태로부터 본래 심리상태로 돌아오는 과정을 심리적 회복이라 정의 한다. 도시환경과 대조되는 자연요소를 접하는 행위는 심리적 회복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으며(Lee and Hyun, 2003; Kang et al.
넓이감이 주는 공간의 두 가지 성격과 그 설명은? 넓이감을 주는 공간은 두 가지 성격을 가진다. 첫째, 활동과 움직임이 가능하고 공간적 여유를 인식 할 수 있는 ‘규모 (Scope)’가 필요하다. ‘규모(Scope)’는 산과 들과 같은 자연환경에서 쉽게 느낄 수 있으나, 이 감정을 느끼기 위해서 공간이 반드시 클 필요는 없다. 작은 공간이라도 이용자들에게 상상을 유발할 수 있는 요소를 제공하여 탐색의 욕구를 불러일으킨다면 규모감을 줄 수 있다. 둘째, 환경 내 요소들이 ‘짜임새(Coherence)’ 있게 구성되어야 조화성을 느낄 수 있다.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연결성(Connectedness)을 지닐 때 지향적 주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매력감(Fascination)’이 있는 공간은 자연스럽게 시선이 갈 만큼 호감을 주는 공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Byun, H. O., B. H. Han, K. S. Ki and J. M. Jung(2012) Improvement on street greenery for the landscape specialization and increase of green volume on the streets of Seoul.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6): 35-46. 

  2. Byun, D. P., Y. L. Cho, W. Y. Lee and K. B. Choi(2016) The Strategic Plan for Street Garden Construction. Department of Seoul Green City. 

  3. Cho, Y. H., Y. M. Jung and K. D. Kim(2006) Analysis of street environment in Seoul by introducing index of greenness in streetscap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1): 1-9. 

  4. De Vries, S., S. M. Van Dillen, P. P. Groenewegen and P. Spreeuwenberg (2013) Streetscape greenery and health: Stress, social cohesion and physical activity as mediators. Social Science & Medicine 94: 26-33. 

  5. Forsyth, A., M. Hearst, J. M. Oakes and K. H. Schmitz(2008) Design and destinations: factors influencing walking and total physical activity. Urban Studies 45(9): 1973-1996. 

  6. Hartig, T., F. G. Kaiser and P. A. Bowler(1997) Further development of a measure of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Working Paper No. 5). Gavle, Sweden: Uppsala University, Institute for Housing Research. 

  7. Hartig, T., K. Korpela, G. W. Evans and T. Garling(1996) Validation of a seasure of perceived environmental restorativeness (Goteborg Psychological Reports, 26:7). Goteborg: Department of Psychology, Goteborg University. 

  8. Hartig, T. A., M. Mang, G. W. Evans and T. Garling(1997) A measure of restorative quality in environments. Scandinavian Housing and Planning Research 14(4): 175-194. 

  9. Hartig, T. and H. Staats(2006) The need for psychological restoration as a determinant of environmental prefer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6(3): 215-226. 

  10. Hipp, J. A., and O. A. Ogunseitan(2011) Effect of environmental conditions on perceived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of coastal park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1(4): 421-429. 

  11. Jung, S. W., J. H. Kim J. H. Lee and J. M. Ha(2009) A study on analysis of user behavior in urban central street-On the Dongsung street in Daegu.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11): 299-306. 

  12. Kang, Y. A., J. Y. Lee and S. Lee(2013) Influences of perceived restorative environment toward leisure satisfaction in a waterfront park-Focused on Hangang park.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8(3): 353-373. 

  13. Kang, E. J. and K. H. Kim(2014) A study about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considering historic?culture visiting road-Focused on Jungdong road and Insadong road.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15(4): 5-19. 

  14.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Kaplan, S. (1995) The restorative benefits of nature: Toward an integrative framework.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3): 169-182. 

  16. Kim, D. H.(2004) Psychological character analysis of pavement materials.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5): 43-51. 

  17. Kim, J. I. and K. J. Jang(2004) A study on the directions of design for environmental facilities along avenues via locational marketing -Focusing on Hyehwa-dong campus avenu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7(1): 5-14. 

  18. Kim, D. C. and K. M. Park(2006) The influence of street planting types to the evaluation of sidewalk landscape.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14-23. 

  19. Kim, E. B. and S. H. Lee(2013) A recognition evaluation on the attractive characteristics of a street design for pedestrian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6(4): 75-99. 

  20. Lee, S. H. and M. H. Hyun(2003)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8(2): 229-241. 

  21. Lindal, P. J. and T. Hartig(2015) Effects of urban street vegetation on judgments of restoration likelihood.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14(2): 200-209. 

  22. Ministry of Culture, Tourism and Design(2013) Public Facility Guideline for Seoul. 

  23. Park, H. C. and N. K. Ryu(2001) Post-Implementation Evaluation and Future Direction for Street Improvement Program.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4. Park, S. H.(2009) Bench design development for street environment.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2(6): 45-48. 

  25. Park, S. A. and M. W. Lee(2016) An analysis of the healing effects by types of forest space -Focused on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nd satisfaction.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4(4): 75-85. 

  26. Pasini, M., R. Berto, M. Brondino, R. Hall, and C. Ortner(2014) How to measure the restorative quality of environments: The PRS-11.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9: 293-297. 

  27. Purcell, T., E. Peron, and R. Berto(2001) Why do preferences differ between scene types? Environment and Behavior 33(1): 93-106. 

  28. Ryu, Y. H., P. S. Yeon and W. S. Shin(2013) The comparison of PRS(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on types of urban forest.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7(1): 33-45. 

  29. Sarkar, C., C. Webster, M. Pryor, D. Tang, S. Melbourne X. Zhang, and L. Jianzheng(2015) Exploring associations between urban green, street design and walking: Results from the Greater London Borough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43: 112-125. 

  30. Shin, K. S., Y. H. Park, Y. M. Kwon, and E. K. Ahn(2014) Street is Garden -Basic Design Service Report. Department of Seoul Green City. 

  31. Tak, Y. R., S. A. Kim and I. H, Yun(2009) An analysis on restorative effect of landscape preference- Focused on traditional Korean garden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7(2): 80-88. 

  32. Tyrvainen, L., A. Ojala, K. Korpela, T. Lanki, Y. Tsunetsugu and T. Kagawa(2014) The influence of urban green environments on stress relief measures: A field experi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38: 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