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LMX)의 질 향상을 통한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성 및 업무성과 제고 과정 탐색에 관한 연구
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on Employees'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formation Sharing and Job Involvemen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1, 2017년, pp.363 - 377  

김정식 (성균관대학교) ,  용석현 (성균관대학교) ,  류기동 (성균관대학교) ,  성영목 (성균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LMX)의 질과 구성원들의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의 영향 관계에 있어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이 어떠한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중심으로 경로모형을 탐색해 보았다. 선행연구들에 대한 검토를 통하여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다양한 변수들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이론적 논의를 기초로 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은 정보공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보공유는 구성원들의 직무몰입, 창의성 그리고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공유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과 직무몰입, 창의성 및 업무성과 간의 영향관계에서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몰입 역시 정보공유와 창의성간의 관계 그리고 정보공유와 업무성과간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이 중요한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on employees' creativity, and task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sharing and job involvement.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references, we suggested our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간 교환 관계의 질과 정보공유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정보 공유가 활성화되기 위해서 필요한 요건을 리더와 연관 지어 생각해보았다는 점에서 이론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본 연구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높을수록 리더와 구성원간 정보공유가 더욱 활성화됨을 규명해냄으로써 그 의미를 높여주고 있다.
  •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들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선행요인으로서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을 설정하고 이를 연결해줄 중요한 과정변수로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을 포함시켜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둘째, 실증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원들의 직무몰입과 창의성 제고 및 업무성과 향상을 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들을 제시하고 이론적, 경영상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에서 규명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하여 향후 더 연구되어야 할 영역에 대한 제언과 향후 연구방향을 모색할 것이다.
  • 직원용 설문에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과 정보공유 그리고 직무몰입이 포함되었으며, 리더용 설문에는 구성원들의 창의성과 업무성과를 측정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설문응답자들이 충분히 생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한 시간을 주어 충실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뿐만 아니라 응답한 설문들에 대해서는 보안유지를 위해 연구원들이 직접 설문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데이터 정화작업을 거쳐서 불성실하게 응답하였거나 결측치들이 있는 데이터들은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설문지 387쌍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이 구성원들의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기본적인 연구주제로 삼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설명해줄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세부적인 과정변수로서 정보공유와 직무몰입을 매개변수로서 탐색하고 이를 포함하여 경로모형을 탐색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에 포함되었던 변수들의 기술통 계적 특성과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표 3]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본 연구에 포함되었던 모든 변수들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측정에 있어서 동일방법 사용의 오류와 자존적 편향으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리더-구성원간 교환관계의 질과 정보공유 그리고 직무몰입은 부하직원이 응답을 하도록 하고 창의성과 업무성과에 대해서는 상사가 응답하도록 설계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여러 가지 연구가설 관계에 있어서 동일방법 사용의 오류가 완전히 제거될 수 있지는 않은 상황들이 존재해서 오류의 심각성 여부를 Podsakoff와 Organ[43]이 제시하였던 통계적 사후 해결법 중 Harman의 일원 검증법(one-factor test)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설 설정

  • 리더-구성원간의 교환관계(LMX)이론은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8][9], 리더와 조직 내 구성원들 간에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가정한다[10]. 사회교환 이론은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리더와 구성원들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11], 이는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 발전된다.
  • 주) 요인적재치는 표준화된 요인적재치임.
  • 주) 요인적재치들은 표준화된 측정치임.
  • 주2) Δχ2 값은 경쟁모형의 카이스퀘어값에서 가설화된 모형의 카이스퀘어 값을 뺀 수치임.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더-구성원간의 교환관계이론의 가정은 무엇인가? 리더-구성원간의 교환관계(LMX)이론은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8][9], 리더와 조직 내 구성원들 간에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가정한다[10]. 사회교환 이론은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리더와 구성원들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11], 이는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 발전된다.
사회교환 이론의 바탕이 되는 관계는 무엇인가? 리더-구성원간의 교환관계(LMX)이론은 사회교환이론(social exchange theory)에 바탕을 두고 있으며 [8][9], 리더와 조직 내 구성원들 간에 개별적으로 서로 다른 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을 가정한다[10]. 사회교환 이론은 상대방의 행동에 따라 리더와 구성원들과의 상호의존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11], 이는 리더가 구성원들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을 때 발전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러한 관계는 믿음과 충성스러운 관계로 발전된다.
정보 공유의 3가지 측면에는 무엇이 있는가? 정보공유는 크게 3가지 측면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 대인관계 측면에 서의 정보공유이다. 대인관계 수준의 정보공유는 다른 사람들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동기부여와 접근 그리고 채널 등에 초점을 두고 있다[21]. 정보과학분야에서의 정보습득이나 정보공유에 대한 연구들은 개개인의 정보를 습득하기 위한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Marshall 과 Bly[22]는 정보공유의 가치나 기능에 대해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정보공유를 하는 것은 정보를 주는 사람과 받는 사람과의 상호인식(mutual awareness)을 형성하고 자각하며 더 좋은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하고 있다. 두 번째는 조직 내에서 정보나 지식을 공유하는 것을 말하며, 이는 팀 구성원들을 더욱더 격려하고 구성원들 간의 신뢰를 형성하는 것에 기반한다[23]. 마지막으로 조직 간의 정보공유이다. Pardo 등[24]은 공공부문(Public sector)에서 리더들은 조직 간의 정보공유는 조직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요소라고 제시함으로써 조직 간의 정보공유 역시 서로 간의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수단임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K. Unsworth, "Unpacking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6, No.18, pp.289-297, 2001. 

  2. M, D. Mumford, G. M. Scott, B. Gaddis, and J. M. Strange, "Leading Creative people: Orchestrating Expertise and Relationship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3, No.6, pp.705-750, 2002. 

  3. P. Tierney,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In J. Zhou, and C. E. Shalley (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New York, Erlbaum, pp.95-123, 2008. 

  4. K. Rosing, M. Frese, and A. Baisch, "Explaining the Heterogeneity of Leadership-Innovation Relationship: Ambidextrous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Vol.22, No.16, pp.956-974, 2011. 

  5. S. Chowdhury, "The Role of Affect and Cognition based Trust in Complex Knowledge Sharing," Journal of Managerial Issues, Vol.17, No.3, pp.310-326, 2005. 

  6.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pp.692-724, 1990. 

  7. A. Pierro, A. W. Kruglanski, and E. T. Higgins, "Progress Takes Work: Effects of the Locomotion Dimension on Job Involvement, Effort Investment, and Task Performance in Organization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36, No.7, pp.1723-1743, 2006. 

  8. P. M. Blau,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New York: Wiley, 1964. 

  9. A. W. Gouldner, "The Norm of Reciprocity,"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25, pp.165-167, 1960. 

  10. G. Graen and M. Uhl-Bien, "Relationship Based Approach to Leadership: Development of Leader-Member Exchange(LMX) Theory of Leadership over 25 Year-Applying: A Multi-Level, Multi-Domain Perspective," Leadership Quarterly, Vol.6, No.2, pp.219-247, 1995. 

  11. R. Cropanzano and M. S. Mitchell, "Social Exchange Theory: An Interdisciplinary Review," Journal of Management, Vol.31, No.6, pp.874-900, 2005. 

  12. R. C. Liden and J. M. Maslyn, "Multidimensionafity of Leader-Member Exchange: An Empirical Assessment through Scale Development," Journal of Management, Vol.24, No.1, pp.43-72, 1998. 

  13. N. M. Ashkanasy and C. O'connor, "Value Congruence in Leader-Member Exchange,"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137, No.5, pp.647-662, 1997. 

  14. V. Bruk-Lee and P. E. Spector, "The Social Stressors-Counterproductive Work Behaviors Link: Are Conflicts with Supervisors and Coworkers the Same?,"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11, No.2, pp.145-156, 2006. 

  15. B. J. Avolio, W. L. Gardner, F. O. Walumbwa, F. Luthans, and D. R. May,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15, No.6, pp.801-823, 2004. 

  16. L. Shetzer,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of Employee Participation," Organization Science, Vol.4, No.2, pp.252-268, 1993. 

  17. J. C. Wallace, P. D. Johnson, K. Mathe, and J. Paul, "Structural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Climates,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Shared felt Accountability: A Manageria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6, No.4, pp.840-850, 2011. 

  18. W. Mischel, "Toward a Cognitive Social Learning Reconceptualization of Personality," Psychological Review, Vol.80, No.4, pp.252-283, 1973. 

  19. C. Connelly and K. Kolloway, "Predictors of Employees Perceptions of Knowledge Sharing Culture,"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24, No.10, pp.294-301, 2003. 

  20. J. A. Arnold, S. Arad, J. A. Rhoades, and F. Drasgow,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No.3, pp.249-269, 2000. 

  21. S. L. Jarvenpaa and D. S. Staples, "The Use of Collaborative Electronic Media for Information Sharing: An Exploratory Study of Determinants," Journal of Strategic Information Systems, Vol.9, No.4, pp.129-154, 2000. 

  22. C. C. Marshall and S. Bly, "Sharing Encountered Information: Digital Libraries get a Social Life," In Digital Libraries, Proceedings of the 2004 Joint ACM/IEEE Conference on IEEE, pp. 218-227, 2004. 

  23. J. Zhang, S. S Dawes, and J. Sarkis, "Exploring Stakeholders' Expectations of the Benefits and Barriers of E-Government Knowledge Sharing," Journal of Enterprise Information Management, Vol.18, No.5, pp.548-567, 2005. 

  24. T. A. Pardo, A. M. Cresswell, S. S. Dawes, and G. B. Burke, "Modeling the Social & Technical Processes of Interorganizational Information Integration," In System Sciences, Proceedings of the 37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2004. 

  25. Y. F. Chen, and D. Tjosvold, "Participative Leadership by American and Chinese Managers in China: The Role of Relationships,"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43, No.8, pp.1727-1752, 2006. 

  26. T. M. Yang and T. A. Maxwell, "Information-Sharing in Public Organizations: A Literature Review of Interpersonal, Intra-Organizational and Inter-Organizational Success Factors,"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28, No.2, pp.164-175, 2011. 

  27. M. D. Mumford, M. I. Mobley, R. Reiter Palmon, C, E. Uhlman, and L. M. Doares, "Process Analytic Models of Creative Capaciti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Vol.4, No.2, pp.91-122, 1991. 

  28. A. Carmeli, R. Gelbard, and R. Reiter-palmon, "Leadership, Creative Problem-Solving Capacity, Creative Performance: The Importance of Knowledge Shar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52, No.1, pp.95-122, 2013. 

  29. F. Damanpour, "Organizational Innovation: A Meta-Analysis of Effects of Determinants and Moderator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4, No.3, pp.555-590, 1991. 

  30. U. R. Hulsheger, N. Anderson, and J. F. Salgado, "Team-Level Predictors of Innovation at Work: A Comprehensive Meta-Analysis Spanning Three Decades of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4, No.5, p.1128-1145, 2009. 

  31. R. C. Ford and M. D. Fottler, "Empowerment: A Matter of Degree," The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Vol.9, No.3, pp.21-29, 1995. 

  32. E. L. Deci and R. M. Ryan,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ew York: Plenum Press, 1985. 

  33. M. R. Frone, M. Russell, and M. L. Cooper, "Job Stressors, Job Involvement and Employee Health: A Test of Identity Theory,"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68, No.1, pp.1-11, 1995. 

  34. J. M. Diefendorff, D. J. Brown, A, M. Kamin, and R. C. Lord, "Examining the Roles of Job Involvement and Work Centrality in Predi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3, No.1, pp.93-108, 2002. 

  35. R. Kanfer, "Motivation Theory and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 No.2, pp.75-130, 1990. 

  36. C. E. Shalley, "Effects of Coaction, Expected Evaluation, and Goal Setting on Creativity and Produc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 No.2, pp.483-503, 1995. 

  37. C, E, Shalley, L. L. Gilson, and T. C. Blum, "Matching Creativity Requirements and the Work Environment: Effects on Satisfaction and Intentions to Leav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3, No.2, pp.215-223, 2000. 

  38. W. C. Borman and S. J. Motowidlo,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In N. Schmitt & W. C Borman (Eds.),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 pp.71-98, San Francisco: Jossey-Bass. 1993. 

  39. J. P. Campbell, "Modeling the Performance Prediction Problem in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In M. Dunnette & L, M.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 psychology, Vol.1, (2nd ed.): pp.687-732.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1990. 

  40. R. N. Kanungo, "Measurement of Job and Work Involv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pp.341-349, 1982. 

  41. J. Zhou and J. M. George, "When Job Dissatisfaction leads to Creativity: Encouraging the Expression of Vo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No.4, pp.682-696, 2001. 

  42. L. J. Williams and S. E. Anders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 No.3, pp.601-617, 1991. 

  43. P. M. Podsakoff and D. W. Organ, "Self-Repor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Problems and Prospects," Journal of Management, Vol.12, No.4, pp.531-544,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