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결핵 입원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모형
Prediction Model fo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Hospitalized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1, 2017년, pp.60 - 70  

장광심 (동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전경숙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among hospitalized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PTB). Methods: Participants were 256 patients with PTB who were 20 years or older and admitted in two national tuber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핵이 우리나라의 주요 감염성질환으로 대두되고 있으나 대상자 접근의 어려움으로 인해 이들의 삶의 질을 포괄적으로 이해하지 못 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결핵환자의 삶의 질 예측모형을 구축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 수준과 예측요인들을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결핵 환자의 빠른 회복, 건강증진 및 삶의 질을 위한 간호 및 보건학적 접근 방법 및 전략을 위한 근거를 제공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개인적 특성은 본 연구대상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 선행연구에서 한 번이라도 유의하다고 제시된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을 모두 포함하여 조사하였다. 따라서 대상자에 대한 모든 인구 사회학적 정보는 결과기술에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 목적인 삶의 질 예측모형의 구축을 위해서는 선행연구 고찰결과에서 일관되게 유의성을 나타낸 교육수준과 주관적 경제 상태만을 개인적 특성으로 포함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Wilson과 Cleary의 삶의 질 수정모형[10]과 선행연구에서 일관성 있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요인을 반영하여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 모형을 포괄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을 명확하면서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중재방법과 정확한 개입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Wilson과 Cleary의 삶의 질 수정모형[10]과 선행연구에서 일관성 있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요인을 반영하여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 모형을 포괄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을 명확하면서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중재방법과 정확한 개입지점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을 예측하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모형의 적합성과 가설을 검증하는 구조모형 구축 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폐결핵 입원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적으로 규명하고 이들 요인들 간의 경로 및 직·간접효과의 크기를 확인함으로써 폐결핵 입원환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간호전략 수립의 근거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폐결핵 입원환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기 위해 Wilson과 Cleary의 삶의 질 수정모형[10]과 선행연구고찰결과를 기초로 포괄적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폐결핵 입원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경로와 직·간접효과의 크기 등을 다각도로 규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효과적 간호중재 및 전략 개발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Wilson과 Cleary의 건강관련 삶의 질 수정모형[10]과 선행연구의 고찰결과에 기초하여 폐결핵환자의 통합적 삶의 질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자료를 활용하여 검정함으로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경로와 직·간접 효과를 규명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폐결핵환자의 기능상태의 측정을 폐기능(FEV1)에 국한하였다는 것이다. FEV1은 호흡기장애를 판정하는 3가지 지표중의 하나로 호흡곤란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 증상완화에 대한 접근이 중요한 이유는? 또한 본 연구는 증상의 잠재변수를 신체적 증상과 우울증상으로 측 정하였기에, 폐결핵환자가 경험하는 신체적 증상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우울과 같은 심리적 증상이 삶의 질의 주요 영향요인임을 확인한 선행연구들의 결과[4,12,14]와도 맥을 같이 한다. 본 연구모형에서 증상은 삶의 질에의 총 효과 및 직·간접효과가 가장 강력할 뿐만 아니라 주관적 경제 상태와 같은 개인적 특성의 간접 영향과 사회적 지지와 낙인 즉, 환경요인의 직접 영향을 받아 폐기능, 건강지각 및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친다. 또한 증상은 낙인의 삶의 질에의 영향을 매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진폐환자의 삶의 질 설명모형연구[15]에서도 증상의 삶의 질에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진폐환자의 삶의 질 설명모형 및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증상의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폐기능 관련 질환자에서의 삶의 질에 있어서는 타 만성질환[28]에 비해 증상이 매우 중요한 개념변수라고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개념에 비해 증상의 영향력이 큰 점뿐만 아니라 증상이 사회적 지지 및 낙인과 같은 환경적 특성의 삶의 질에의 영향을 매개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폐결핵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증상완화에 대한 접근이 중요하다.
2014년 기준 폐결핵환자 발생인구 및 사망인구는? 결핵은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된 질병 중 하나이며 새로운 치료전략과 지속적 감시(surveillance)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전 세계 주요 사망원인이다. 전 세계 인구의 1/3이 폐결핵 감염자로 추정되며 2014년에는 9.6백만 폐결핵환자가 발생하였으며 1.5백만 명이 폐결핵으로 사망하였다[1]. 세계 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2015년까지 결핵 발병율과 사망률을 1990년대의 50.
폐결핵을 포함한 만성질환이 가져오는 변화는? 폐결핵을 포함한 만성질환은 질병 그 자체 및 만성질환으로 인한 장기 치료 등으로 인해 삶의 구조 및 삶의 질에 변화를 가져온다[3]. 특히 폐결핵 환자는 다른 만성질환자에 비해 치료과정에서 경험하는 ‘신체적인 부담’, ‘전염차단을 위한 격리’, ‘항 결핵 약제의 부작용’, ‘불확실한 예후에 대한 두려움’, ‘약제내성으로 인한 치료실패’, ‘약제변경으로 인한 치료연장’ 등의 질병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4]. 최근 연구에서 폐결핵환자가 경험하는 건강관련 삶의 질은 다른 만성질환자에 비해 현저히 낮으며[5], 낮은 삶의 질의 지속기간이 더 긴 것이 확인되었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tuberculosis report 2016. Geneva, CH: Author; 2015. 

  2. Lienhardt C, Espinal M, Pai M, Maher D, Raviglione MC. What research is needed to stop TB? Introducing the TB Research Movement. PLoS Medicine. 2011;8(11):e1001135. http://dx.doi.org/10.1371/journal.pmed.1001135 

  3. Sharma R, Yadav R, Sharma M, Saini V, Koushal V. Quality of life of multi drug resistant tuberculosis patients: A study of north India. Acta Medica Iranica. 2014;52(6):448-453. 

  4. Marra CA, Marra F, Colley L, Moadebi S, Elwood RK, Fitzgerald JM.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rajectories among adults with tuberculosis: Differences between latent and active infection. Chest. 2008;133(2):396-403. http://dx.doi.org/10.1378/chest.07-1494 

  5. Shin S. Pattern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risks among Korean adults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0. 

  6. Bauer M, Leavens A, Schwartzman 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impact of tuberculosi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Quality of Life Research. 2013;22(8):2213- 2235. http://dx.doi.org/10.1007/s11136-012-0329-x 

  7. Wilson IB, Cleary PD.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AMA: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995;273(1):59-65. 

  8. Guo N, Marra F, Marra CA. Measur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uberculosis: A systematic review.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09;7:14. http://dx.doi.org/10.1186/1477-7525-7-14 

  9. Bakas T, McLennon SM, Carpenter JS, Buelow JM, Otte JL, Hanna KM, et al. Systematic review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model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2;10:134. http://dx.doi.org/10.1186/1477-7525-10-134 

  10. Ferrans CE, Zerwic JJ, Wilbur JE, Larson JL. Conceptual model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5;37(4):336-342.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05.00058.x 

  11. Park SJ, An M, So HS. Relationships of stigma, family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tuberculosis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5;15(9):285-294. http://dx.doi.org/10.5392/JKCA.2015.15.09.285 

  12. Song K, Ha C, Kim H.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hospital patients with tuberculosis.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010;17(1):325-348. 

  13. Cho MJ. A predictive model of health promotive behaviors for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dissertation]. Gwangju: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7. 

  14. Atif M, Sulaiman SA, Shafie AA, Asif M, Sarfraz MK, Low HC, et al. Impact of tuberculosis treatment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 follow-up study.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2014;12:19. http://dx.doi.org/10.1186/1477-7525-12-19 

  15. Bae MH. Prediction model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suffering from pneumoconiosis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03. 

  16. Yu JP.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Seoul: Hannare Publishing Co.; 2014. 

  17. Ware JE, Jr., Sherbourne CD.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1992;30(6):473-483. 

  18. Zimet GD, Dahlem NW, Zimet SG, Farley GK.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88;52(1):30-41. http://dx.doi.org/10.1207/s15327752jpa5201_2 

  19. Shin JS, Lee YB.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s on psychosocial well-being of the unemployed.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1999;37(1):241-269. 

  20. Van Rie A, Sengupta S, Pungrassami P, Balthip Q, Choonuan S, Kasetjaroen Y, et al. Measuring stigma associated with tuberculosis and HIV/AIDS in southern Thailan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of two new scales. Tropical Medicine and International Health. 2008;13(1):21-30. http://dx.doi.org/10.1111/j.1365-3156.2007.01971.x 

  21. Park SJ.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With a special reference to bronchial asthma and bronchiecta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2;14(3):470-478. 

  22.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 381-399. 

  23. Lawton MP, Moss M, Fulcomer M, Kleban MH.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1982;37(1):91-99. https://doi.org/10.1093/geronj/37.1.91 

  24. Kim KJ. Prediction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middle-aged men [dissert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2000. 

  25. Kline R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2011. 

  26. Kim GS.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ae Publishing Co.; 2010. 

  27. Wheaton B, Muthe n B, Alwin DF, Summers GF. Assessing reliability and stability in panel models. In: Heise DR, editor. Sociological Methodology. San Francisco, CA: Jossey-Bass, Inc.;1977.p.84-136. 

  28. Oh J, Yi 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with osteoarthrit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1):75-85. http://dx.doi.org/10.4040/jkan.2014.44.1.75 

  29. Bruwer B, Sorsdahl K, Harrison J, Stein DJ, Williams D, Seedat S. Barriers to mental health care and predictors of treatment dropout in the South African stress and health study. Psychiatric Services. 2011;62(7):774-781. http://dx.doi.org/10.1176/ps.62.7.pss6207_0774 

  30. Charles B, Jeyaseelan L, Pandian AK, Sam AE, Thenmozhi M, Jayaseelan V. Association between stigma,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 (PLHA) in South India: A community based cross 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2012;12:463. http://dx.doi.org/10.1186/1471-2458-12-463 

  31. Tasnim S, Rahman A, Hoque FM. Patient'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tuberculosis in an urban setting. Pulmonary Medicine. 2012;2012:352850. http://dx.doi.org/10.1155/2012/352850 

  32. Jeon GS, Jang SN, Park SJ. Social support, social network, and frailty in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iatrics Society. 2012;16(2):84-94. http://dx.doi.org/10.4235/jkgs.2012.16.2.8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