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불확실성, 스트레스 및 돌보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regiver's Role Improvement Program on the Uncertainty,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70 - 80  

정은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권인수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a caregiver's role improvement program was developed and tested to identify the effect on uncertainty, stress, and role performance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design of this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상황학습을 기반으로 3세 이전의 단기 입원아동 보호자를 위한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수행하여 보호자의 불확실성, 스트레스 및 돌보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입원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상황학습을 적용한 개별방문교육과 전자책을 활용한 자가반복학습을 병용한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입원아동 보호자의 불확실성, 스트레스와 돌보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입원아동 보호자를 위한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이다.
  •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연구자가 개발한 입원아동 보호자를 위한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것이다. 프로그램의 전 과정은 연구자가 입원아동 병실에서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단기 입원아동 보호자를 대상으로 상황학습을 적용한 개별방문교육과 전자책을 활용한 자가반복학습을 병용한 맞춤형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불확실성, 스트레스 및 돌보기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이러한 선행연구들을 종합하면 입원아동 보호자의 불확실성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올바른 돌보기 수행을 증진시키기위해서는 아동이 가진 질환의 특성과 돌보기 방법에 대한 정보를 필요로 하며 중재전략을 개발할 때는 이를 반영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재전략을 구현하기 위해 보호자가 당면한 상황에 요구되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대상아동이 나타내는 증상과 시행된 검사의 이유 및 결과의 의미, 대상아동이 가진 건강문제의 특성에 부합되는 돌보기 방법을 상황학습을 적용하여 구성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고 이해도를 높이며, 실제 적용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19,20]. 또한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서 개별방문을 통해 핵심내용을 개별적으로 교육하였고, 24시간 아동에게 집중되어 정보를 습득하는데 시간과 공간이 제한적인 보호자들의 상황과 젊은 연령임을 감안하여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자책을 통해 스스로 반복학습 하도록 하였다.

가설 설정

  • “입원아동 보호자의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1) 제1가설: 입원아동 보호자의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불확실성 점수가 낮을 것이다.
  • 2) 제2가설: 입원아동 보호자의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스트레스 점수가 낮을 것이다.
  • 3) 제3가설: 입원아동 보호자의 보호자역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돌보기 수행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입원아동 보호자의 교육에 전자책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이유는? 보호자는 입원상황에서 24시간 동안 아동의 곁에서 아동을 돌봐야하기 때문에 정보를 습득하는데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스마트폰 모바일 메신저를 이용한 전자책은 기존 정보획득 방법과 달리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언제 어디서나 학습이 가능하여 자가학습과 반복 학습을 할 수 있고, 인터넷, 멀티미디어 등의 모든 매체를 실행할 수 있으며, 종이책에 비해 휴대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21]. 따라서 입원아동 보호자의 교육에 전자책을 활용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황학습은 무엇인가? 상황학습(situated learning)은 실제상황에서 실제적인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동기를 유발시키고 학습자에게 학습의 의미 및 목적을 분명하게 해 줄 뿐만 아니라 학습 후 실생활에서의 적용능력도 높여주는 교수학습방법이다[19]. 선행연구에서도 상황학습을 통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이해도가 높아지고 성취도가 높아지면서 실제 생활에서 수행능력이 높아지고,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성과를 나타내었다[20].
아동의 입원상황에서 보호자가 수행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입원상황에서 보호자가 수행하는 역할은 크게 아동을 위해 먹이기, 입히기, 재우기, 놀아주기 등의 일상 돌보기와 약 먹이기, 증상 관찰하기 등의 처치 돌보기가 있다[1]. 입원아동의 보호자는 병원이라는 낯선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이러한 돌보기에는 익숙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돌보기에 오류가 있는 경우 아동의 건강에 위해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돌보기를 수행하는데 부담감을 느끼고[1], 아동을 돌보는 부모역할에 대해 확신이 낮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eong E, Kwon IS. Role and role burden of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5;18(1):28-38. 

  2. Kim MS, Baek KW, Choi SR, Lee SW, Jang HS. The effects of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and belief of parental role for admitted children's mothe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3;9(1):91-101. 

  3. Bae JJ, Lee YE. Effect of 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ren on state anxiety and belief on parental role of mot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1;5(1):71-82. 

  4. Kim MY, Koo HY, Kwon IS, Kim JS, Kim TL, Song IS. Fundamental pediatric nursing. Seoul: Koonja; 2011. p. 214-249. 

  5. Choi MY. Parent participation in care of hospitalized children: Concept analysi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4;20(2):105-112. http://dx.doi.org/10.4094/chnr.2014.20.2.105 

  6. Koo HY. Uncertainty and anxiety in families of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2002;8(1):67-76. 

  7. Kim EJ, Kim YH, Son HM. Uncertainty and coping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in an orthopedics war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15;19(2):201-211. 

  8. Kim HJ, Kim MH, Kim YK, Yu MB, Oh JN. A study on mother's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nursing need concerning child's hospitalizatio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7;10(2):136-146. 

  9. Oh JA. A study on perception of uncertainty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p. 1-85. 

  10. Moon YS. A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effort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07;10(2):147-157. 

  11. Park IS, Oh JW, Kim YS. Effect of perceived nurse's communication style on admitted children mother's stress and cop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4;12(6):365-373. http://dx.doi.org/10.14400/JDC.2014.12.6.365 

  12. Sung MH, Lee SH, Tak KC. Stress and coping patterns in mothers of hospitalized chi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2003;7(2):217-231. 

  13. Mishel MH. Parents' perception of uncertainty concerning their hospitalized child. Nursing Research. 1983;32(6):324-330. 

  14. Mishel MH. Uncertainty in illness.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988;20(4):225-232. http://doi.dx.org/ 10.1111/j.1547-5069.1988.tb00082.x 

  15. Kim SG, Choe MA, Kwon WK, Park SH, Ahn HY, Kim YK. Effect of informational interventions on coping of mother's stress in unplanned childhood hospitalization. The Seoul Journal of Nursing. 1999;13(1):23-38. 

  16. Moon YS. Effects of providing nursing information on the stress and uncertainty perception of hospitalized children's moth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8;6:97-97. 

  17. Kwon IS, Seo YM, Kim JY. Trends in research on caregivers hospitalized children in Korea - focus on knowledge typ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12;18(3):101-108. http://dx.doi.org/10.4094/jkachn.2012.18.3.101 

  18. Kim MK. Stress of caregivers in a systematic study on the effects of nursing information: Unplanned inpatient based guardian [master's thesis]. Asan: Soonchunhyang National University; 2011. p. 1-53. 

  19. Moon YH, Shin JS. Study on improvement of business management education efficiency in Korean universities: Based o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The Review of Eurasian Studies. 2010;7(3):275-294. 

  20. Kang HJ, Lee KA. Applicable plans and the effect of situated learning theory on practical art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004;17(3):91-109. 

  21. Lee YJ, Kim WJ, Choi HH, Choi JP. E-book bigbang. Seoul: Kstudy Koreanstudies Information; 2010. p. 70-94. 

  22.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p. 226-260. 

  23. Koo MJ, Kim MH, Hwang SK. The effects of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on the knowledge, anxiety, and coping behavior of mothers with young child undergoing cardiac surge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09;21(6):628-638. 

  24. Yoo ON. A study on the stress of cleft-lip and cleft-palate children's mothers and their coping efforts [master's thesis]. Seoul: Hanyang National University; 1998. p. 1-98. 

  25. Kwon IS, Seo YM. Knowledge and practice on infection prevention of caregivers of hospitalized children.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2010;13(2):102-109. 

  26. Seels BB, Richey RC.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Kim YS, Han JS, translator. Seoul: Kyoyookbook; 1995. p. 18-92. 

  27. Jeong E, Kwon IS. Nursing needs and nursing performance as perceived by caregivers with hospitalized children.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5;21(3):244-252. http://dx.doi.org/10.4094/chnr.2015.21.3.244 

  28. Jeong KS, Park JO. The effects of the pre-oper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on the anxiety and uncertainty of mothers with a pre-school child of tonsillectomy and their satisfaction with post-operation nursing.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6;16(1):158-166. http://dx.doi.org/10.5392/JKCA.2016.16.01.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