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review aims to assess the effect of Wuqinxi exercise for osteoporosis. Methods : We searched 9 electronic databases(Pubmed, EMBASE, Cochrane Library, CAJ, Oasis, KISS, NDSL, KMBASE, KISTI) and related 2 journals until November 2017. W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국내에 골다공증과 오금희 도인운동에 대한 임상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저자들은 골다공증의 오금희 도인운동에 관해 기존에 발표된 임상연구를 체계적 고찰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 근거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이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골질의 변화로 인해 뼈의 미세구조가 파괴되고 사소한 외력에 의해 취약골절이 발생하는 질환2)으로, 크게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원발성 골다공증은 1형과 2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형 골다공증은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칼슘의 축적이 저하됨으로써 나타나는 골밀도의 감소가 원인이며, 연골의 감소와 척추골의 압박 골절이 특징이다.
원발성 골다공증 중 제1형의 특징은 무엇인가? 골다공증은 골량의 감소와 골질의 변화로 인해 뼈의 미세구조가 파괴되고 사소한 외력에 의해 취약골절이 발생하는 질환2)으로, 크게 원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원발성 골다공증은 1형과 2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제1형 골다공증은 폐경 이후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칼슘의 축적이 저하됨으로써 나타나는 골밀도의 감소가 원인이며, 연골의 감소와 척추골의 압박 골절이 특징이다. 제 2형 골다공증은 주로 70세 이상의 남녀에서 나타나는 노인성 골다공증을 의미하며, 속발성 골다공증은 다른 질환 또는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골다공증을 말한다3).
한의학에서 골다공증의 치료법은 무엇인가? 한의학에서 골다공증은 최근 문헌을 제외하고 문헌에 표기된 골다공증이라는 병명은 없으나, 한의학에서 골다공증은 骨 骨痺의 범주에 포함되는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4) 주된 병인병기는 腎虛로 보고 치료법은 주로 補腎의 치법을 활용하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oon SJ, Kim KY, Kim GY, Nam KW, Sim KC, Kim EJ, Chung HW, Kim HW, Kim GD.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and Treadmill Exercise on the Osteoporosis of Rats Caused by Glucocorticoid Induction. Korean J.Oriental Physiology&Pathology 2008;22(4):884-890 

  2. Yu1 SJ, Ahn HB, Kim JY, Lee DN. A Comparative Study of BMD between Osteoporosis Patients Taking Fosamax and Taking Fosamax and Samgieumgamibang. 2012;25(1):11-9 

  3. Shin HK, Cho KH.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performanc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women. J Kor Soc Phys Ther, 2009;21:37-42. 

  4. Kim HJ, Lee TK. A Documentational Study on the Developmet of Postmenopausal Osteoporosis. Joural of oriental gynecology. 1998;11(1):131-48. 

  5. Kang SK, Park YB, Ahn HS. A Documentational Study on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Treatment for Osteoporosis.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1995;15(2):171-89. 

  6.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Korean Rehabilitation Medicine 4th. Koonja Publishing INC. 2015;404 

  7. Sun YQ. Effect of Wu Qin Xi Exercise Therapy on Community Primary Osteoporosis. Chinese Rural Health Service Administration. 2015;35(10):1300-1 

  8. Shim KS, Lee JH, Lee JH, Ma JY. Effect of Ssangwha-tang Fermented by Lactobacillus fermentum on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porosis of Ovariectomized Rats. Korean Journal of Oriental medicine. 2010;16(1):149-153 

  9. Moon SJ, Lee EG, Ko YS, Song YS, Lee JH. A Case Report on Pelvic Fracture Accompanied with Osteoporosis Impro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 Nerves. 2010;5(1):49-56 

  10. Jang G, Cho TY, Cho HC, Song YK, Lim HH, The Case Report about Osteoporotic Compression Fracture Treated with Band Training. The Journal of Korea CHUNA Manual Medicine 2005;6(1):147-56 

  11. Lee EN. Effects of a 12-Week Tai Chi on the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c Markers in Postmenopausal Women. J Muscle Joint Health. 2011;18(1): 73-82 

  12. Kim, H, Lim, J. Effect of 6 month tai chi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health,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 risk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In th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ai chi for health, Seoul, South Korea, 2006:70. 

  13. Lee MS, Pittler MH, Shin BC, Ernst E. Tai chi for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8;19:139-46. 

  14. Woo J, Hong A, Lau E, LynnH.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ai Chi and resistance exercise on bone health, muscle strength and balance in community-living elderly people. Age Ageing. 2007;36:262-8. 

  15. Shen MR, Feng YJi, Wei WW, Wang T, Zhou X, Gao F, Li J. Effect of HUA Tuo's frolics of fi ve animals on the patients with senile osteoporosis. Chinese Archive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4;29(3):895-6 

  16. Li JW, Pan DQ, He KH, Shi XL. Understanding of clinical application of modified five-bird gam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rimary type I osteoporosis. Chin J Osteoporos. 2014;20(8):920-1 

  17. Shen MR, Feng YJ, Wang TA. Effect of Hua Tuo's frolics of five animals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vertebrae in senile patients with osteoporosis. Chin J Osteoporos. 2013;19(3):271-2 

  18. Chen MK. Effect of Health Qigong Wu Qin Xi Exercise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in Middle Aged and Old Patients with Osteoporosis. Shand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2009:245-6 

  19. Chen H. Exercise Therapy has the influence of bone mineral density and biochemical index for patients of postmenopausal with osteoporosis. Nan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Nanjing, China. 2015 

  20. Shen MR, Feng YJ, Wang T, Wang PY, Zhou X. Effect of Huatuo Fiveanimal Exercises on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s in postmenopausal women. Modern Journal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2013;22(8):804-5, 820 

  21. Wu L, Liu K, Shi XL, Huang JJ, Cheng H, Wang D, Ni L. Research on Intervention Methods of TCM for Bone Sub-health Status of Low Back Pain in the Early Stage of the Osteoporosis. Chinese J Trad Fed Traum & Orthop. 2014;22(5):15-7 

  22. Chen C, Wang SM, Qian CM, Effect of Health Education and Exercise Therapy on Quality of Life in Older Male OP Patients. China Prac Med, 2015;10(31):276-7 

  23. Shi ZY, Liu Z, Chen WL, Mao YF, Zhang JF, Li CW, Liu K, Wu LU, Shi XL, A multicenter clinical study of complex therapy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ostmenopausal osteopenia. J Trad Chin Orthop Trauma, 2017;29(4):241-7 

  24. Miao FS, Wang M. Research of Fitness Qigong on Menopause Female's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Journal of Jilin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2012;28(3):107-9 

  25. Luo JL, Chen C, Liu CY. Wuqinxi exercise intervention for patientswith senile osteoporosis, World Health J. Med. 2012;9(40):53-4. 

  26. Feng YJ, Effect of Wuqinxi exercise on the bone metabolism in senile patientswith osteoporosis, Nanning Guangxi Univ. Chin. Med. 2013:1-39. 

  27. Wei X, Xu A, Yin Y, Zhang RX. The potential effect of Wuqinxi exercise for primary osteoporo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aturitas. 2015:346-354 

  28. Min YK. Pharmacologic treatment of osteoporosis. J Korean Med Assoc. 2016;59(11):847-56. 

  29. Na SH. The effects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Bone Mineral Density(BMD) and Cognitive Functions in Elderly Wome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6;25(2):102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