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 지역 대학생의 교양 교과 연계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of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through the Linkages between Subjects of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 원문보기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21 no.2, 2020년, pp.73 - 86  

윤경순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  조숙희 (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ffects of education program of smoking prevention and cessation through the linkages between subjects on smoking knowledge, grit,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in some area. Method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w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교양 교과 연계 흡연예방 및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흡연지식, 그릿,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 후 설계의 유사실험설계(Quasi-experimental design)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일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보건 및 사회복지계열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교양 교과 연계 흡연 예방 및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흡연 지식, 그릿,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 결과, 교양 교과 연계 흡연 예방 및 금연교육 프로그램은 흡연 지식, 그릿, 건강 증진 행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 교과 연계 흡연 예방 및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일 지역 대학생의 흡연 지식과 그릿,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양 교과 연계 흡연 예방 및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대학생의 흡연 지식, 그릿,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함이다.
  • 대학의 교양 교과 수업과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한 연구를 살펴보면, 문제 중심의 학습 적용, 기본인명구조 교육과정, 인문학 북 콘서트, 인문학 독서 원정대 등의 비교과와 교과 연계를 통해 소통역량, 창의적 사고, 자기 주도역량 변화의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한(김현우와 강선영, 2018; 김현주, 2017) 연구가 있었으나 흡연 예방 및 금연교육을 교양 교과와 연계하여 적용한 사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 이에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시기인 1학년 재학생을 대상으로 흡연 예방 및 금연교육을 교양교과와 연계하여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 담배의 증기 속에는 어떤 유해성분이 포함되어 있는가? 전자담배를 포함한 일반 담배의 증기 속에는 니코틴, 일산화탄소, 극미세 입자들 등의 유해성분이 존재하며, 이는 주변 환경에 니코틴을 축적 시키고(Goniewicz & Lee, 2015) 실내 대기 중 발암물질의 농도를 증가시켜(Schober et al., 2014) 직ㆍ간접적으로 흡입하는 사람들의 심폐 기능의 저하 등 전신적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Auer et al.
건강증진행위란? 건강증진행위는 개인의 안녕 수준, 자아실현, 만족감을 유지하고 강화하는 자기 주도적인 다차원의 행동 패턴을 말하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형성하고 유지하여 건강관리를 예방하는 차원을 의미한다(S. Walker & Hill-Polerecky, 1996).
우리나라에서 진행한 대학생들을 위한 흡연 예방 및 금연정책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 2004)에서 대학 내 흡연자를 대상으로 행동목표 설정, 변화 단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금연 의식을 높이고, 금연에 대한 효과를 보고하고 있어 대학은 금연과 흡연율 감소를 위해서도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요구되는 곳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나라는 2013년부터 전국 17개 금연지원센터를 통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내 흡연예방 및 금연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으나(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2019), 대학 내 금연운동은 흡연 구역 지정, 금연선포식 등의 이벤트성 행사에 그치는 수준으로만 진행되고 있고, 대학내 금연정책을 도입하거나 금연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대학은 매우 제한적이다. 금연 캠퍼스와 흡연 허용 캠퍼스에서 재학하고 있는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캠퍼스 내, 외 금연정책 수용성 변화를 탐색한 연구(신성례와 김윤희, 2017)에서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을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고 금연 캠퍼스에 재학하는 신입생들에서는 정부의 공공시설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이 변화되지 않았으나 흡연을 허용하는 캠퍼스에 재학하는 신입생에서는 정부의 공공시설 금연정책에 대한 수용성 정도가 낮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김미옥 외 5명. (2013). 대학생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우울인지와 건강증진행위.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0(3), 35-46. 

  2. 김은경, 송미령. (2013). 흡연대학생의 제 특성과 금연프로그램 선호도 분석. 기초간호자연과학회지, 15(4), 184-192. 

  3. 김희경. (2006). Pender 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건강증진해위와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2(2), 132-141. 

  4. 김현우, 강선영. (2018).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 교양교과목의 수업효과 분석. 교양교육연구, 12(3), 39-61. 

  5. 김현주. (2017). 인문교양 수업의 비교과 프로그램운영 사례에 대한 연구: 팀 기반 독서토론 활동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1(1), 761-790. 

  6. 김희정 외 6명. (2013). 일개 대학생 흡연자의 금연 생각과 금연의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우울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4(4), 1830-1840. 

  7. 박주영, 우정희, 김주은. (2018).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그릿 (Grit) 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165-175. 

  8.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2019). 담배로부터 안전한 대한민국 만들어간다. https://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1&CONT_SEQ349504 

  9. 서은희. (2018). 경남지역 일부 남자대학생의 흡연여부에 따른 식생활습관 및 흡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식품영양학회지, 31(5), 604-615. 

  10. 송미숙, 부선주. (2017). 간호대학생을 위한 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학교. 지역보건교육학회지, 18(3), 107-121. 

  11. 신성례, 김윤희. (2017). 캠퍼스 금연정책이 대학생들의 캠퍼스 내.외 금연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9), 363-374. 

  12. 양남영, 문선영. (2013). 간호대학생의 지각된 건강상태, 건강증진행위 및 사회적 문제해결 능력이 대학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9(1), 33-42. 

  13. 윤순녕, 김정희. (1999). 제조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증진행위 관련 요인 분석. 한국산업간호학회지, 8(2), 130-140. 

  14. 이승주, 박주영. (2018). 간호대학생의 그릿(Grit) 과 스트레스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6(2), 269-276. 

  15. 이은혜. (2019). 대학생을 위한 캠퍼스 금연교육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0), 442-451. 

  16. 전상남, 송현종. (2018). 보건학 전공 대학생 대상 금연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학교. 지역보건교육학회지, 19(3), 79-93. 

  17. 정미현, 신미아. (2006). 흡연대학생의 흡연지식과 태도와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1), 69-78. 

  18. 정혜선, 문지현. (2013). 한국 대학생과 중국인 유학생 흡연자의 금연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남자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6(2), 93-103. 

  19. 조숙희, 윤경순, 정신. (2018). 뇌종양 환자의 자기효능감, 그릿, 증상클러스터가 자가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종양간호학회지, 18(4), 188-197. 

  20. 진종임, 김남초. (2017). 간호대학생의 투지(Grit), 학업탄력성 및 심리적 안녕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2), 175-183. 

  21. 한석영. (2018).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관련요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8), 781-801. 

  22. Auer, R., Concha-Lozano, N., Jacot-Sadowski, I., Cornuz, J., & Berthet, A. (2017). Heat-not-burn tobacco cigarettes: smoke by any other name. JAMA internal medicine, 177(7), 1050-1052. 

  23.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 Pers Soc Psychol, 92(6), 1087-1101. doi: 10.1037/0022-3514.92.6.1087 

  24. Escoffery, C., McCormick, L., & Bateman, K. (2004). Development and process evaluation of a web-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for college smokers: innovative tool for education.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53(2), 217-225. 

  25. Goniewicz, M. L., & Lee, L. (2015). Electronic cigarettes are a source of thirdhand exposure to nicotine. Nicotine & Tobacco Research, 17(2), 256-258. 

  26. Lanza, S. T., & Vasilenko, S. A. (2015). New methods shed light on age of onset as a risk factor for nicotine dependence. Addictive behaviors, 50, 161-164. 

  27. Lupton, J. R., & Townsend, J. L. (2015).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accep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university smoke-free policie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63(4), 238-247. 

  28. Parsons, M. A., Pender, N. J., & Murdaugh, C. L. (2011).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Six ed.): Pearson Health Science. 

  29. Schober, W et al. (2014). Use of electronic cigarettes (e-cigarettes) impairs indoor air quality and increases FeNO levels of e-cigarette consumers. International journal of hygiene and environmental health, 217(6), 628-637. 

  30. Walker, S., & Hill-Polerecky, D. (1996).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20-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