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CS기반 가상훈련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A A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3, 2017년, pp.651 - 656  

송은지 (Dept. of Computer Science, Namseoul University) ,  이석희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Namseou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교육 분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제안한다. 향후, 제안한 가상훈련 콘텐츠들이 개발되어 NCS 교육과정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폴리텍 대학등 대학 교육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rtual Training generates virtual situation or environment with specific goals in order to instruct trainees as if they are in the real-world. Recently, the demand of experiencing certain incident, which we are not able to experience in real life, has been increased along with the fast developing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이렇게 가상훈련 시스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온라인 평생교육원에서는 이미 2007년부터 현재까지 가상훈련 시스템을 개발하고 보급하고 있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3].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개발하고 보급하기 위해 최근 우리나라 교육의 패러다임인 NCS에 기반한 교육 내용을 분석하여 가상훈련 시스템으로 교육이 가능한 콘텐츠를 제안한다. 향후, 제안한 콘텐츠들은 한기대 온라인 평생교육원에 제공하여 NCS 교육내용을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폴리텍 대학 등의 기관에 보급하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 가상훈련 시스템의 특성상 뛰어난 학습효과로 인해 교육에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대학교육의 패러다임인 NCS 교과내용 중에 가상훈련으로 하면 효과적인 학습모듈을 개발하고자한다. NCS의 교육 분류에 해당하는 NCS 분류 체계 기 본 정보 그림2와 같다.
  •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증대함에 따라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 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훈련인 가상훈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교육의 수요를 반영한 국가직무능력표준 NCS에 기반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분석하고 가상현실로 교육이 가능한 분야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NCS가상훈련 적용분야의 단위 요소를 추출하고 개발해야 될 콘텐츠의 기술적인 가능성 여부를 검토하여 분류하였고, 제어/조작/작동형 콘텐츠를 높은 우선순위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훈련 시스템의 장점은?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요를 반영한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을 위해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인 국가직무능력표준 NCS (National Competency) 교육 분야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가상훈련 콘텐츠를 제안한다.
가상현실 기술의 발전으로 가상훈련에 대한 요구가 더 커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 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이는 기술변화에 부응하는 첨단기술 장비의 교체수명이 짧아 지속적인 재원 투입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가상훈련 시스템이 매우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고위험, 고비용의 산업훈련을 대체하는 장비실습에 대한 체험형, 실습형 가상훈련(Virtual Training) 콘텐츠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가상훈련이란? 가상훈련(Virtual Training)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서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아 직접 관찰이 어렵거나 텍스트와 2D 자료로 설명하기에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어려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시험 등의 교육 분야에 매우 효과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J. S. Han and K. S. Lee, "A Theoretical Review on Designing Virtual Reality i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17, no. 3, pp. 133-163, Sep. 2001. 

  2. D. Y. An and H. K. Park,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Technical Train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5, no. 2, pp. 117-122, Dec. 2013. 

  3. D. M. Lim, O. Y. Kweon, D. Y. Ahn and I. H. Song, "Case of Engineering Education used Virtual Training,"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pp.1-13, 2015. 

  4. J. E. Bae, S. I. Kim, "A Development Plan of Serious Game Based on Virtual Reality Through the Trend Analysis on Internal/External Game Industry," Journal of Korea Digital Design Council. vol. 14, no. 3, pp.737-748, Jun. 2014. 

  5. Y. H. Lee, "The Influences of Educational Programs Design Us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on Education Results of the IT sec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osite Materials, vol. 4, no. 2, pp.25-30, Jul. 2016. 

  6. W. I. Son,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al Satisfaction NCS Course and Non NCS Course," Tax Accounting Research, vol. 49, pp. 79-93, Sep. 2016. 

  7. N. H. Ham, J. J. Kim and Karen Yuh,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Urban Future at Hanyang Cyber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3, pp. 694-711, Mar. 2016. 

  8. C. W. Park, J. K. Jung and H. S. Yang, "VR-simulated Sailor Training Platform for Emergency,"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pp. 175-178, 2015. 

  9. H. J. Yoo, Y. K. Lee, M. S. Lee, J. H. Hong and J. H. Choi, "A Study on Development of Virtual MCR Collaboration Training System,"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pp. 124-127, 2001. 

  10. B. I. Choi, S. H. Han, M. H. Cha, "Development of the Fire Simulator Based on Virtual Reality," in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pp. 195-198,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