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제세동기(AED) 가상훈련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Training System f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1 no.7, 2017년, pp.1379 - 1385  

송은지 (Dept. of Computer Science, Namseou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상훈련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 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써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수많은 재난 사고로 인명 피해가 끊이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안전교육이 매우 필요하므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난대응 훈련 시뮬레이션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심장충격기인 자동제세동기(AED) 훈련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자동제세동기는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구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의료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아 국내에서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한 사례는 매우 미미하다. 제안하는 AED 가상훈련 시스템은 실제와 같은 상황에서 몰입감이 있고 체험적인 훈련이 가능하며 저렴한 비용으로 훈련이 가능하여 매우 유용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rtual training is a kind of training that proceeds as if it were a real situation.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demand for experiencing a situation in which a virtual reality technology has not been experienced directly in the real world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심장 충격기인 자동제세동기(AED: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훈련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한다. 자동 제세동기는 심장정지 환자를 구출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의료 기기임에도 불구하고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아 국내에서 자동제세동기를 사용하여 환자의 생명을 구한 사례는 매우 미미하다.
  • 본 연구에서는 급성심장정지 상황에서 필요한 심장 충격기인 자동제세동기(AED)를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훈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우리나라 응급 의료법이나 건축법 등에서 많은 개정안들이 나와 AED 의무 설치기관은 급격하게 늘어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법을 숙지하고 있는 경우는 매우 미미하다.

가설 설정

  • 또한 정확한 세계의 위치정보를 표현하기 위한 X, Y, Z축과 yaw, pitch, roll의 회전축이 결합된 6자유도 (DOF: degrees of freedom)가 가능해져 보다 몰입감 있는 가상세계 표현이 가능하다. 셋째, 컴퓨팅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이다. 가상현실(VR)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초당 60~120 프레임을 재생해야 하는 데 이와 같은 영상을 안정적으로 재생하기 위해서는 높은 처리 속도의 CPU와 그래픽 기술 등이 요구되며, 기가급 이상의 인터넷과 5G 이상의 모바일 네트워크가 필수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훈련은 무엇인가? 가상훈련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 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써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특히,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수많은 재난 사고로 인명 피해가 끊이지 않는 우리나라에서는 안전교육이 매우 필요하므로 가상현실을 이용한 재난대응 훈련 시뮬레이션이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우리나라에 필요한 가상훈련(Virtual Training) 콘텐츠는 무엇인가? 고위험, 고 비용의 산업훈련을 대체하는 장비실습에 대한 체험형, 실습형 가상훈련(Virtual Training) 콘텐츠 요구가 증대 되고 있다. 특히, 예기치 못한 재난이나 사고에 대비한 훈련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재난대응 가상훈련 시스템이 매우 필요하다[9].
가상훈련 시스템을 활용하면 교육적 성취를 높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가상훈련은 특정한 훈련을 목적으로 훈련에 필요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구현하여 실제 상황처럼 진행하는 교육 훈련으로써 최근에는 가상현실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해 현실세계에서 직접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을 실감적으로 체험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더욱 증대하고 있다. 가상훈련 시스템은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몰입감과 상호작용 제공을 통한 학습 효과가 높기 때문에, 체험 교육 분야에 적용하여 재미와 더불어 몰입 경험을 주어 학습 몰입도 및 흥미도 증가하여 교육적 성취를 높일 수 있다. 안전 불감증으로 인해 수많은 재난 사고로 인명 피해가 끊이지 않는 우리나라 에서는 안전교육이 매우 필요하므로 재난대응이나 안전교육 훈련 시뮬레이션이 어느 때 보다 시급하다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Y. Jung, "Virtual Reality Ecosystem and Implications,"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vol.27, no.7 pp.1-23, Apr. 2016. 

  2. D. Y. An and H. K. Park,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se of Technical Training Contents using Virtual Realit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vol. 5, no. 2, pp. 117-122, Dec. 2013. 

  3. E.J.Song and S.H.Lee, "A Study on NCS-based Virtual Training Cont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21, no. 3 pp. 651-656, Mar. 2017. 

  4. J. W. Lee, S. W. Son and D.S.Jung, "A Study on Usability of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AED) for Public Area,"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14 no.1, pp.19-32, Feb. 2015. 

  5. M.S. Se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Journal of Korean Multimedia, vol.20, no.4, pp9-13, Dec. 2016. 

  6. M. J. Lee, "A Study on Game Production Education through Recent Trend Analysis of 3D Game Engine,"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4, no.1, pp.15-20, Mar. 2013. 

  7. The method of use for AED [Internet]. Available : http://www.kacpr.org/popup/file/2016_guidelines_1_0331. pdf. 

  8. Ministry of Education [Internet] Available : http://www.schoolsafe.kr/main5/search_view/1/?seq145. 

  9. E.J.Song, "A Study on Training System for Fire Preven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17, no. 3, pp.189-195, Jun. 2016. 

  10. I. S. Park, Y. M. Kim and S. H. Kang, "Predictors of Survival from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by Four Levels,"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2, pp.484-513, Jun. 2014. 

  11. N. H. Ham, J. J. Kim and Karen Yuh,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Urban Future at Hanyang Cyber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3, pp. 694-711, Mar.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