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Miq.)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aryopteris incana Miq.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60 no.1, 2017년, pp.61 - 68  

이재은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이은호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김병오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  조영제 (School of Food science & Bio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층꽃나무(Caryopteris incana Miq.)는 항산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 활성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층꽃나무의 생리활성은 고형분 함량보다 첨가된 total phenolic compounds의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이후 모든 실험은 층꽃나무로부터 추출한 물과 80 % ethanol 추출물의 total phenolic compounds 함량을 조절하여 실시하였다. 층꽃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 (P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를 측정하였다. $200{\mu}g/mL$의 농도에서 물과 ethanol 추출물로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각각 84, 92 %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ABTS radical 소거능은 물과 ethanol 추출물 둘 다 약 99 %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PF를 측정한 결과 물과 ethanol 추출물이 각각 1.56, 1.67 PF 값을 나타내었고, TBARs는 각각 62, 82 %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주름개선 및 피부미백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200{\mu}g/mL$의 농도에서 80 % ethanol 추출물이 물 추출물보다 눈에 띄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름개선과 연관된 elastase와 collagenase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에서 각각 58, 89 %로 측정되었다. 피부미백과 연관된 tyrosinase의 저해활성은 ethanol 추출물에서 13 %로 측정되었고, 수렴효과는 50 %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층꽃나무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가 우수하므로 기능성 화장품 원료의 새로운 자원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xtracts from Caryopteris incana Miq. (C. incana) were investigated to assess anti-oxidation, skin-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y.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of C. incana extracts with water and 80 % ethanol showed 7.69 and 12.50 mg/g respectively. Antioxidation activity of 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활용도가 낮은 층꽃나무 전초로부터 total phenolic compounds를 추출하여 항산화효과, 주름개선 및 미백 효과 등 미용 활성을 검정하고, 기능성을 가지는 천연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노화현상은 어떻게 분류될 수 있는가? 삶의 질을 추구하며, 항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천연 항산화 소재 개발에 대한 의미는 높아지고 있으며, 최근 미(美)를 중요하게 여기는 사회적 트렌드에 맞추어 노화를 지연시키거나 주름개선 및 미백효과를 가지는 antiaging 천연 기능성 화장품이 주목을 받고 있다(Shim 등, 2005).피부의 노화현상은 세월이 흘러감에 따라 자연히 발생하는 내인적 노화와 자외선 노출 등 주위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인적 노화로 분류한다.외인적 노화 기전에 중심이 되는 O2는 세포 내 전자전달계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자를 받아 양성자와 반응하여 H2O를 생성하고, 이로 인해 세포호흡이 지속되게 한다.
phytochemicals은 무엇인가? 기존 미용식품 분야에서는 vitamin C, E, β-carotene, polyphenol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 및 미백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BHA, BHT, PG 등의 합성 항산화제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지만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 발암성이나 독성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방안으로 식물체의 2차 대사물질이자 소량으로도 두드러진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산화 물질인 phytochemicals과 같은 안전한 천연 항산화제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Joo 2013).
층꽃나무 꽃의 특징은 무엇인가? 주로 산과 들판에서 자생하며 줄기는 높이가 약 30~60 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긴 타원형의 잎은 약 3~6 cm 정도의 길이로 자란다. 꽃은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7~9월 사이에 개화하고 꽃이 층층으로 배열되여 층꽃 나무라 명명하였다. 어린 새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한약재로 사용되는데, 전초 또는 뿌리를 약용하면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고 독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ndarwulan N, Shetty K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2.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3.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s Enzymol 105: 302-310 

  4. Cho EK, Choi YJ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cklonia cava Kjellman. J Life Sci 20: 1675-1682 

  5. Cho EK, Song HJ, Cho HE, Kim MY, Choi IS, Choi YJ (2009)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s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J Life Sci 19: 1629-1636 

  6. Cho YJ, Chun SS, Lee KH, Kim JH, Kwon HJ, An BJ, Kim MU (2006) Screening of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by extracts from mulberry fruits (Morus albb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5-20 

  7. Choi BW, Lee BH, Kang KJ, Lee ES, Lee N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Pharmacogn 29: 237-242 

  8.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 361-377 

  9. Fellegrini N, Ke R, Yang M, Rice-Evans C (1999) Screening of diet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i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e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Methods Enzymol 299: 379-389 

  10. Folin O, Denis W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cor reagents. J Biol Chem 12: 239-249 

  11. Gao J, Igalashi K, Nukina M (1999)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henylpropanoid glycosides in Caryopteris incana.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983-988 

  12. Gao J, Igarashi K, Nukina M (2000) Three new phenylethanoid glycosides from Caryopteris incana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Chem Pharm Bull 48: 1075-1078 

  13. Han CJ, Kang SM (2008) The effect of collagen supplementation from pork skin on serum collagen, serum sex steroid hormone, serum lipid and skin crack in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3: 912-921 

  14. Han HM (2009) Chan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wheat flour dough with the addition of phenolic compounds at the different baking process.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15. Ha SH, Ha ES, Oh YS, Jeong MH, Kim Seoul, Seo HM (2014) A composition for antioxidating, whitening and improving wrinkle comprising extracts of nursery spiraea. KOR Patent 1020140187919 

  16. Hearing VJ Jr (1987) Mammalian monophenol monooxygenase(Tyrosinase): purification, properties, and reactions catalyzed. Methods Enzymol 142: 154-165 

  17. Iwata M, Corn T, Iwata S, Everett MA, Fuller BB (1990) The relationship between tyrosinase activity and skin color in human foreskins. J Invest Dermatol 95: 9-15 

  18. James AEK, Timothy DWC, Gorden L (1996) Inhibition of human leukocyte and porcine pancreatic elastase by homologues of bovine pancreatic trypsin inhibitor. Biochem J 35: 9090-9096 

  19. Jeon KS, Xu YL, Park SI (2015) Antioxidant activity of chinese mung bean. Korean J Culinary Research 21: 41-51 

  20. Joo SY (2013) Antioxidant activ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512-519 

  21. Kim JH, Lee SY, Park JM, Park JH, Kwon OJ, Lee JY (2014)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Juniperus rigida Sieb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1: 396-403 

  22. Kim JS, Lee JY, Park KT, An BJ, Lee SH, Cho YJ (2013) The biological activity from Prumella vulgari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20: 234-241 

  23. Kim MH (2012)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and its cosmetic application. Dissertation, University of Nambu 

  24. Kim SM (2008a) Composition and Cell Cytotoxicity of Essential Oil from Caryopteris incana Miq. in Kor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238-244 

  25. Kim SS (2008b)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 and Maejakgwa made with sea tangle powd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kpo 

  26. Kligman D (2000) Cosmeveuticals. Am J Clin Dermatol 18: 609-615 

  27. Lee DH, Ha HY, Lee PJ (2016) Antioxidant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f Fallopia sachalinensis rhizome ethanol extract. J Invest Cosmetol 12: 15-20 

  28. Lee JT, Jeong YS, An BJ (2002)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ean J Herbology 17: 51-60 

  29. Lee YS, Kim BO, Kim NW (2014) Anti-wrinkle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 of Albizzia julibrissin leaves. J Invest Cosmetol 10: 317-326 

  30. Min EG, Kim YH, Kum SI, Han YH (2004) Inhibition of growth and collagenase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against microorganisms causing periodontal diseases. Korean J Microbiol 40: 111-114 

  31. Moure A, Cruz JM, Franco D, Dominguez JM, Sineiro J, Dominguez H, Nunez JM, Parajo JC (2001) Natural antioxidants from residual sources. Food Chem 72: 145-171 

  32. Nam JH (2004)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Zizypus jujuba. Dissertation, University of Keimyung 

  33. Pyo YH, Yoon MY, Son JH, Choe TB (2008) The effect of Celosia cristata L. ethanol extract on anti-oxidant & anti-aging.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431-438 

  34. Que F, Mao L, Zhu C, Xie G (2006) Antioxidant properties of Chineses yellow wine, its concentrate and volatiles. LWT Food Sci Technol 39: 111-117 

  35. Roberts EA, Sarma SN (1940) Tannins as hydrogen carriers in biological oxidation. Biochem J 34: 1517-1523 

  36. Seo SY, Sharma VK, Sharma N (2003) Mushroom tyrosinase: Recent prospects. J Agric Food Chem 51: 2837-2853 

  37. Shim JS, Kim SD, Kim TS, Kim KN (2005) Biological activities of flavonoid glycosides isolated from Angelica keiskei. Korean J Food Sci Techol 37: 78-83 

  38. Tsuji N, S Moriwaki, Y Suzuki, Y Takema, G Imokawa (2001) The role of elastase secreted by fibroblasts in wrinkle formation: Implication through selective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Photochem Photobiol 74: 283-290 

  39. Wunsch E, Heidrich HG (1963) Zur quantitativen bestimmung der kollagenase. Hoppe-Seyler's Z Physiol chem 333: 149-151 

  40. Yoon SJ, Kim JH, Lee KH, Kwon HJ, Chun SS, Cho YJ (2005) Antimicrobial effect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Baek-bu-ja (Aconiti koreani Rhizoma) by extraction solvent ratio.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258-262 

  41. Yu HS (2013)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Rosa rugosa Thunb. on hypopigmenta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Dissertation, University of Wonkwan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