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도서관 OPAC2.0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와 중요도에 관한 연구 - A와 B대학도서관 도서검색결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OPAC2.0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ocusing on Book Search Result of A and B University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8 no.1, 2017년, pp.97 - 119  

이혜영 (동덕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서의 도서검색결과 제공되는 OPAC2.0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대학도서관에서 도서검색결과 제공되는 OPAC2.0 서비스, 서비스의 만족도 중요도,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 그리고 학년과 만족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 및 분석결과, 가장 많이 제공하고 있는 OPAC2.0 서비스는 '포털사이트 연계' 서비스이다. 전반적인 OPAC2.0 서비스 만족도는 평균 2.07로 '매우 불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서비스는 '서비스 항목'이다. 만족도와 중요도 차이는 전반적으로 중요도에 비해 불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여 주고 있다. 학년과 전반적 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도서검색결과 OPAC2.0 서비스 개선을 위해서는 각 서비스에 대한 도서관 홍보 및 이용방법 소개, 다양한 서비스 제공 및 질적 개선, 도서관에서만 제공해 줄 수 있는 정보 제공을 통한 꾸준한 이용자 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vestigated user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OPAC2.0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or book search result. This research analyzed OPAC2.0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ocusing on book search result, user satisfaction with and importance in services, difference in satisfacti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이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정보제공’의 범위는 과거 카드목록 시대에 이루어졌던 단순한 소장정보를 넘어서 OPAC 시대에는 이것을 기본으로 하여 좀 더 다양한 방법으로 다양하고 자세한 정보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OPAC2.0 기능은 ‘검색기능’을 말하는데 그 안에 기능과 각각에 대하여 기술하라. ① 패싯네비게이션(Faceted Navigation)은 출력된 검색 결과를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함을 의미한다. 패싯 분류시스템을 통해 이미 조직된 정보로 접근할 수 있는 기능으로 검색된 결과를 출판년도, 언어, 소장위치, 콘텐츠 유형, 대출횟수, 저자명, 출판사 등과 같이 그 결과를 다양한 측면으로 제한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패싯 검색 또는 패싯 브라우징이라고도 불린다. Sharon and Kurt(2010)는 이용자들이 처음에는 자신이 생각한 키워드로 검색을 하고 검색 결과에서 재구분 된 패싯들을 선택함으로써 검색 결과 범위를 좁혀갈 수 있다. ② 적합성순 정렬(Sort by Relevance)은 검색 결과를 적합성 순위에 따라 출력해줌으로써 가장 적합한 정보가 검색 결과 창의 상단에 위치하도록 한다. 적합성으로 순위화 하는 필터링의 기준은 여러 가지를 고려해 볼 수 있으나2) 도서관에서는 이용자 이용에 기반을 둔 적합성 판단 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검색 결과에서 이용자에 의해 열람, 복사 또는 대출 횟수가 높은 자료가 적합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다. ③ 유사자료추천(Recommendation)은 도서관에서 특정 자료를 대출한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다른 자료를 제시해 주거나 동일 주제 분야에서 대출 순위나 평점이 높은 인기도서 또는 동일 작가가 쓴 다른 책을 추천해 주는 기능이다. 이 분야 신착도서도 이에 포함된다. ④ 클러스터링(Clustering)은 유사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지역적으로 인접해 있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여러 그룹으로 분류하는 기법을 의미한다(문헌정보학 용어사전 2017). OPAC2.0에서는 이 개념에 기초하여 검색된 결과를 몇 개의 그룹으로 범주화하여 제공하는 기능이다. 범주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패싯네비게이션과 같이 검색 결과의 범위를 좁힐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패싯네비게이션과 클러스터링 기능의 차이점은 전자는 이미 축적된 서지정보에 기반을 두어 정해져 있는 패싯으로 검색 결과를 분류하여 제공되는 반면 후자는 검색 결과를 주제별, 검색DB별, 저널명별, 언어별 유사성에 의해 재 범주화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⑤ 링킹사이트(Linking Site)는 웹 자원과 같은 도서관 외부 자원을 도서관 자원과 함께 동시에 검색할 수 있는 기능으로 웹 브리지(Web Bridge)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도서관에서는 특정 학술정보 사이트와 포털사이트와의 연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포털사이트와의 연계 중 구글 북서치 제공도 이에 포함된다. ⑥ 결과내재검색(Search within Results)은검색 결과가 너무 많이 출력된 경우, 검색 결과를 줄이기 위하여 검색 결과 페이지에서 주제 키워드, 서명, 저자명 등을 추가하여 검색을 재실시하는 것이다. ⑦ 시각화(Visualization)는 검색 결과에 이를 적용하여 네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하는 방식을 말한다. 검색 결과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거나 이를 시각화된 맵으로 표시해 줌으로써 맵에 있는 원이나 사각형을 클릭하면 상세설명이 표시된다.
OPAC2.0은 어떤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는 가? 즉, OPAC2.0은 One Stop 서비스 개념을 가지고 있다 할 수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웹진(2011)에서는 OPAC에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참여, 공유, 개방, 소통을 중심으로 하는 Web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구중억, 이응봉. 2006. Open API 기반 OPAC 2.0 서비스 구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315-332. (Gu, Jung-Eok and Eung-Bong Lee. 2006. "A Study on the Practical Use and Service Implementation of the OPAC 2.0 Based Open AP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0(2): 315-332.) 

  2. 구중억, 곽승진. 2007. 차세대 OPAC의 인터페이스와 기능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8(2): 61-88. (Gu, Jung-Eok and Seung-Jin Kwak. 2007. "A Study on Next Generation OPAC's Interface and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18(2): 61-88.) 

  3. 김예린. 2012. 대학도서관의 OPAC 2.0 기능의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석사학위논문. 동의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Kim, Yae-rin. 2012. Development of Evaluation Checklist for OPAC2.0 Features of University Libraries. M.A. thesis. Dong Eui University, Dep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 도서관연구소(KRILI) 웹진 [online]. [cited 2017.1.11]. . 

  5. 도태현, 정영미. 2013. 대학도서관의 차세대 OPAC 기능 채택과 확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197-215. (Doh, Tae-Hyeon and Young-Mi Jung. 2013. "A Study on the Next Generation OPAC Functionalities Diffusion Status and Adoption by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2): 197-215.) 

  6. 문헌정보학 용어사전 [online]. [cited 2017.1.11]. . 

  7. 심경. 2008. 차세대 도서관 목록. 도서관문화, 49(9): 22-28. (Sim, Gyung. 2008.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KLA Journal, 49(9): 22-28.) 

  8. 이혜영. 2012. 대학도서관의 OPAC 2.0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인식 조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2): 179-201. (Rhee, Hey-Young. 2012. "A Survey of User Perceptions of OPAC 2.0 Service in Academic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179-201.) 

  9. 이혜영. 2015. 대학도서관의 이용자참여형 서평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6(2): 155-172. (Rhee, Hey-Young. 2015. "User-Participation Book Review Service on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of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6(2): 155-172.) 

  10. Breeding, Marshall. 2007. "Next-Generation Library Catalogs." Library Technology Reports, 43(4): 5-14. 

  11. Casey, Michael. 2007. Library 2.0 and Beyond: Innovative Technologies and Tomorrow's User: Chap2. Looking Toward Catalog 2.0. Libraries Unlimited. 

  12. Chalon, Patrice X., Emmanuel Di Pretoro, and Laurence Kohn. 2008. "OPAC 2.0: Opportunities, Development and Analysis." In Proceedings of the 11th European Conference of Medical and Health Libraries, 1-11. 

  13. Hotchkiss, Gord. 2006. Eye Tracking Report: Google, MSN and Yahoo! Compared [online]. [cited 2017.1.11]. . 

  14. IFLA. 2008. Statement of 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 [online]. [cited 2017.1.11]. . 

  15. Marcin, Susan and Peter Morris. 2008. "OPAC: The Next Generation Placing an Encore Front End onto a SirsiDynix ILS." Computers in Libraries, 28(5): 6-9. 

  16. Patten, David. 2007. "Are you happy with your Opac?" Library & Information Update, 6(10): 32-34. 

  17. Tam, Winnie, Andrew M. Cox, and Andy Bussey. 2009. "Student user preferences for eatures of next-generation OPACs: A case study of University of Sheffield international students." Program: Electronic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s, 43(4): 349-374. 

  18. Willson, Katie. 2007. "OPAC 2.0: Next generation online library catalogues ride the Web 2.0 wave!" Online Currents, 21(10): 406-413. 

  19. Yang, Sharon Q. and Kurt Wagner. 2010. "Evaluating and comparing discovery tools: how close are we towards next generation catalog?" Library Hi Tech, 28(4): 697-709. 

  20. Yang, Sharon Q. and Melissa A. Hofmann. 2011. "Next generation or current generation: A study of the OPACs of 260 academic libraries in the USA and Canada." Library Hi Tech, 29(2): 266-3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