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BIM기반의 어셈블링 협업이 설계자 간의 의사교환과 사회심리학적 기제에 미치는 효과와 한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ablers and Barriers of BIM-based Assembling Collaboration for Designers' Communication and Socio-Psychological Mechanisms 원문보기

Journal of KIBIM = 한국BIM학회논문집, v.7 no.1, 2017년, pp.36 - 44  

홍승완 (인하대학교 건축학과) ,  정용욱 (세종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previous studies argue that BIM-based assembling collaboration promotes the communication and process management among participants in architectural design projects, it is still unknown which communication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are more and less activated in use of BIM-based collabo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최근 BIM 관련연구는 협업시스템 제안과 기술적 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반면, BIM 기반의 협업이 참여자 간의 사회심리학적 기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BIM기반의 어셈블링 유형의 협업이 설계자들의 설계의사교환, 상호적인 설계관리, 상호보완성과 같은 기제에 어떠한 효과와 한계를 가지는지를 규명하고자 하며, 이를 통해 BIM의 건축설계협업 적용범위를 고찰하고,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기술적인 방향과 요건(roadmap)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BIM협업도구의 사용이 분업설계를 진행하는 참가자간에 의사교환, 상호설계관리, 상호보완성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BIM협업에서 상기한 세 가지의 지표 중 어떤 지표가 다른 지표들에 비하여 유의하고 높고 낮은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BIM 협업의 효과와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BIM협업도구의 사용이 분업설계를 진행하는 참가자간에 의사교환, 상호설계관리, 상호보완성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실증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BIM협업에서 상기한 세 가지의 지표 중 어떤 지표가 다른 지표들에 비하여 유의하고 높고 낮은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BIM 협업의 효과와 한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BIM기반의 어셈블링 협업이 건축설계협업의 사회심리학적인 기제인 설계의사교환, 상호설계과정관리, 상호보완성 등에 미치는 효과와 한계를 실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새로운 사실은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가설1: BIM기반의 어셈블링 협업에서 협업자간의 의사교환지표, 상호설계관리지표, 상호보완성지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2: BIM기반의 어셈블링 협업에서 의사교환지표 중 설계과정인지, 설계의도의 이해, 의견제시와 수렴에 관한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3: BIM기반의 어셈블링 협업에서 의사교환지표 중 설계과정인지와 상호설계관리지표인 설계과정관리, 협업일정관리에 관한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 가설4: BIM기반의 어셈블링 협업에서 의사교환지표 중 설계과정인지와 상호보완성지표인 협업자의 전문성이해, 상호신뢰성 형성에 관한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IM기반의 협업은 어디에 주로 적용되는가? 특히, BIM기반의 협업은 분업결과물을 하나의 통합 설계안으로 조합하는 이른바 ‘어셈블링 (assembling)’유형으로, 기술적인의미에서는 중앙파일 (central data approach)을 기반으로 분업결과물을 취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방식은 지식범위와 책임이 분명한 다전공간의 협업에 주로 적용되며, 기존연구에서도 BIM의 활용이 다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복잡한 설계프로젝트 관리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Lee, Kim, & Kim, 2012; Won, & Lee, 2016).
BIM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이유는? 이러한 건축설계협업 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줄이고, 설계과정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참여자들은 3차원으로 시각화된 형태(properties of physical forms)와 그 형태에 부여된 건축적 의미(semantics)를 동시에 공유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에서 설계안을 조합하고 수정할 수 있다.
BIM기반의 협업이 어셈블링 유형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또한 설계자는 설비기술자의 수정을 검토하여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특히, BIM기반의 협업은 분업결과물을 하나의 통합 설계안으로 조합하는 이른바 ‘어셈블링 (assembling)’유형으로, 기술적인의미에서는 중앙파일 (central data approach)을 기반으로 분업결과물을 취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방식은 지식범위와 책임이 분명한 다전공간의 협업에 주로 적용되며, 기존연구에서도 BIM의 활용이 다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복잡한 설계프로젝트 관리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Lee, Kim, & Kim, 2012; Won, & Lee,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uff, D. (1992). Architecture: The Story of a Practice, The MIT Press. 

  2.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Liston, K. (2011). BIM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Managers, Designers, Engineers and Contractors, 2nd Edition, Wiley., Sons, Inc.. 

  3. Fernie, J. (2006). Two Minds: Artists and Architects in Collaboration Black Dog Publishing. 

  4. Hong, S. W., Jeong, Y. W., Kalay, Y. E., Jung, S. W., Lee, J. W. (2015). Enablers and Barriers of the Multi-User Virtual Environment for Exploratory Creativity in Architectural Design Collaboration. CoDesign: International Journal of CoCreation in Design and Arts, Online published, pp.1-20. 

  5. Isikdag, U., Underwood, J. (2010). Two design patterns for facilit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based synchronous collabor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9, pp. 544-553. 

  6. John, Steiner. V. (2000). Creative Collabor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7. Jung, J. H., Kim, J. M., Kim, S. A. (2015). A Basic Study on the Extension of Design Information to Improve Interoperability in BIM-based Collaborative Design Process. KIBIM Magazine, Vol. 5, No. 1, pp. 25-34. 

  8. Kalay, Y. E. (2004). Architecture's New Media: Principles, Theories, and Methods of Computer-aided Design, Cambridge, MA: MIT Press. 

  9. Kalay, Y. E. (2001). Enhancing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through semantically rich represent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0, pp. 741-755. 

  10. Kalay, Y. E. (1997). P3: An Integrated Environment to Support Design Collaboration. ACADIA' 97, pp. 191-205. 

  11. Lee, G. H., Kim, J. H., Kim, J. J. (2012). A Study of Collaboration in BIM based Architecture Schematic Design Process. KIBIM Conference 2012, pp.83-84. 

  12. Miettinen, R., Paavola, S. (2014). Beyond the BIM utopia: Approaches to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43, pp. 84-91. 

  13. Neff, G., Fiore, Silfvast. B., Dossick, C. S. (2010). A case study of the failure of digital communication to cross knowledge boudaries in virtual construction, Inf. Commun. Soc., Vol. 13 No. 4, pp. 556-573. 

  14. Oh, M. H., Lee, J. W., Hong, S. W., Jeong, Y. W. (2015). Integrated System for BIM-based Collaborative Design. Journal 44 of KIBIM Vol.7, No.1 (2017). 

  15.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58, pp. 196-206. 

  16. Paulus, P. B., Brown, V., Ortega, A. H. (1999). Group Creativity. In R.E. Purser. A. Montuori.(Eds.), Social Creativity Volume II (pp. 151-173). New York: Hampton Press. 

  17. Schrage M. (1995). No More Teams! Mastering The Dynamics of Creative Collaboration, Doubleday, NY. 

  18. Singh, V., Gu, N., Wang X. (2011). A theoretical framework of a BIM-based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platform.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20, pp. 134-144. 

  19. Won, J., Lee, G. (2016). How to tell if a BIM project is successful: A goal-driven approach.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69, pp. 34-4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