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목가구 평상(平床) 연구 I
A Study on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PyeongSang I 원문보기

한국가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urniture society, v.28 no.2, 2017년, pp.126 - 134  

김민경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  문선옥 (경상대학교 환경산림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PyeongSang, a piece of traditional Korean furniture, in order to make people know the details about what the piece is in the first paper. And based on the paper, PyeongSang will be developed as moulded multi-useful beds and sofas adapting the joint and ornament from the structu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늘날 각 나라의 전통문화를 알리는 시대에 한국전통목가구의 다양한 접근으로서 입식화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할 수 있는 전통평상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평상은 지금까지 문헌이나 대중매체로부터 듣고 본 정보에 비하면 좀 더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 오늘날 전통문화를 부활, 재소개, 재해석하는 시대로써 한국전통목가구가 현대 생활에 적합하도록 개발하기 위하여 전통평상(平床)으로부터 형태, 짜임 및 문양의 연구에 초점을 맞추면서 현대화에 적용할 수 있는 요소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분석된 평상의 형태, 짜임 및 문양을 모듈화 하여 현재 일상생활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파 겸용 다용도 침대 개발에 관하여 다음 편에서 연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널평상은 무엇인가? 평상은 일반적으로 살평상과 널평상으로 분류하는데, 살평상은 정방형 또는 장방형의 틀에 좁은 나무 살로 사이를 일정한 간격으로 띄워서 끼워 넣기를 하여 만든 평상으로, 보통 누마루에 놓아두고 의자의 용도로 사용하기도 하고 두 짝을 맞붙여 침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널평상은 네 개의 다리 위에 널빤지로 바닥을 깐 일종의 이동식 마루이다. 이와 다른 견해로 신영훈(1993)은 평상을방 안에 놓고 주로 잠을 자는데 사용하는 침상(寢床) (Fig.
평상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평상(平床)은 형태에 따라 크게 살평상과 널평상, 용도에 따라 실내에서 사용하는 평상과 야외 가구인 뜰마루로 분류할 수 있다. 평상이라는 용어에 대하여 살펴보면, 「실용가구용어사전」에서는 “낮잠을 자거나 책을 읽을 때, 또는 바둑을 둘 때사용하는 침상(寢床)의 일종으로 흔히 대청이나 누마루 등에 놓고 사용하는 것”이라고 하였고(문 외 2014), 「한국전통가구」에서는 “평상은 일명 와상 또는 장탑이라고도 불리며 옛 삼국시대부터 널리 사용된 기록이 있으며, 조선의 궁중과 사찰, 상류 층의 침상으로 쓰였으며 사랑과 내실용으로 사용 한다.
우리나라 평상의 가장 오래된 역사적 기록을 찾을 수 있는 고분벽화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평상의 가장 오래된 역사적 기록은 고구려시대에 축조된 고분의 벽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감신총, 덕흥리고분, 약수리무덤, 무용총, 각저총, 쌍영총 등의 고분벽화를 보면 고구려의 귀족들이 탁자를 가운데 두고 의자에 앉은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그 당시 고구려 상류층의 생활양식이 입식생활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신 198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곽대웅. 1990. 디자인공예대사전. 미술공론사: 788쪽. 

  2. 김정호, 강호양. 2013. 조선조 가구의 풍혈을 활용한 PE 휀스 디자인 연구. 한국가구학회지. 24(2): 151쪽. 

  3. 김병수. 2015. 김병수 인터뷰. 

  4. 김병수. 2016. 평상/침상에 관한 인터뷰. 한송공방. 

  5. 남경숙, 김자경, 박경애, 이한나. 2008. 한국전통가구. 한양대학교 출판부: 72쪽. 

  6. 문선옥. 2010. 전통가구의 다리와 발 스타일 용어 연구 - 한국 및 서구 중심으로. 한국가구학회지 21(1): 85쪽. 

  7. 문선옥, 조숙경. 2014. 실용가구용어사전. 경상대학교 출판부: 59쪽. 

  8. 박영규, 이건우. 2005. 한국 미의 재발견10-목칠공예. 솔 출판사: 81-82쪽. 

  9. 산림청. 2006. 전통목공예(가구) 기술의 현대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 및 마케팅 방안 연구.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11쪽. 

  10. 신영훈. 1983. 한국의 살림집. 열화당: 86쪽. 

  11. 이윤정. 1999. 한국 전통 조형 양식을 응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12쪽. 

  12. 이종석. 1996. 한국의 목공예 上. 열화당: 90쪽. 

  13. 정권희. 2016. 평상/침상에 관한 인터뷰. 의천공방. 

  14. 진홍섭. 1974. 한국(韓國)의 안상(眼象)무늬.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4권0호: 248쪽. 

  15. 조남주. 2003. 모듈요소(Modular Elements)와 가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구학회지. 14(1): 82쪽.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