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해사건 예방을 위한 수술 환자 교육용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의 효과
The Effects of Smartphone Application to Educate Patient on Patient Safety in Hospitalized Surgical Pati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9 no.2, 2017년, pp.154 - 165  

최효진 (선린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a patient safety application in the prevention of adverse event among surgical patients. Seventy three surgical patients with thirty six of them using the patient safety application and the rest (N=37) were provided educational booklet. Further, the inst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수술 환자가 입원기간 중 자신에게 발생 가능한 위해사건을 예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기존 유인물형식의 교육 자료보다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환자안전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 사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위해사건 및 의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환자용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수술 환자에게 적용해 봄으로써,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이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 환자의 위해사건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자의 지식과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환자안전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하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이를 환자에게 적용하는 것이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 및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환자들이 자신들이 궁금했던 내용이나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내용들을 즉시 찾아볼 수 있고,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으며, 시간적 흐름에 따라 환자들이 알고 있어야 할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는 것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환자들이 수술이나 마취로 인해 침상에 누워있는 시간이 많다는 것에 착안하여 누워있는 상태에서도 학습내용에 대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음성지원 기능을 추가하고, 사용되는 용어도 어려운 의학용어보다는 친근한 구어체를 사용하여 환자들이 쉽게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가설 설정

  • • 가설 1: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1: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2: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2: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이 높을 것이다.
  • • 가설 3: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가 높을 것이다.
  • • 가설 3: 환자안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가 높을 것이다.
  • ②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이 향상된다. ③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형성된다.”로 설정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적인 효과를 주는 방법은 무엇인가? 그리고 환자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환자안전 관련 활동으로 이행되도록 하며, 환자안전 사고를 줄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0]. 즉 환자가 경험하게 될 치료나 처지 과정에서 환자가 직접 참여하도록 함으로서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은 환자안전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11]. 그러므로 환자의 알 권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고, 환자가 자신의 안전을 지키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환자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7,11].
의료사고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미국의 Institute of Medicine에서 발간된 보고서 “To Err Is Human”은 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의료사고의 심각성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1]. 의료사고 중 수술 관련 의료사고는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2,3].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수술 건수는 인구 10만 명당 약 3,300건을 넘고 있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술이 이루어지는 나라 중 하나이며[3], 2012년에서 2014년까지 보고된 전체 의료분쟁 조정신청 건수 중 수술과 관련된 분쟁건수가 44.
의료인 중심의 교육과 훈련으로 의료사고를 예방하는 데 한계점을 느끼고. 그에 따른 대책은 무엇인가? 따라서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금까지의 접근 방식인 의료인 중심의 교육과 훈련만으로는 위해사건 및 의료사고를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7,8]. 이에 따라 위해사건 예방을 위해 의료인 중심의 교육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환자교육을 통해 치료 및 진료과정에 환자참여를 적극적으로 강화함으로써 환자안전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미국 등 의료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7-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nstitute of Medicine. Patient safety: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04. p. 1-42. 

  2. Joint Commission Resources. Front line of defense: the role of nurses in preventing sentinel events. Kim JE, Park MH, Park SY, Lee SY. Translator. Seoul: E public; 2008. 

  3. Korea Statical Information Service. Surgical cases per 100,000 population [Internet]. Seoul: Author; 2013 [cited 2014 January 16]. Available from: http://kosis.kr/wnsearch/totalSearch.jsp 

  4. Korea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 Agency. Medical dispute mediation and arbitration-statistical yearbook 2014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5 June 20]. Available from: http://www.k-medi.or.kr 

  5. Kim SK, Lee H, Oh EG. Perceived level and associated factors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health care providers in an operating room.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0;16(2):57-67. 

  6. Mehtsun WT, Ibrahim AM, Diener-West M, Pronovost PJ, Makary MA. Surgical never events in the United States. Surgery. 2013;153(4):465-72. https://doi.org/10.1016/j.surg.2012.10.005 

  7. Weingart S, Zhu J, Chiappetta L, Stuver SO, Schneider EC, Epstein AM, et al. Hospitalized patients' participation and its impact on quality of care and patient safet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1;23(3):269-77. https://doi.org/10.1093/intqhc/mzr002 

  8. Groene O. Patient centeredness and quality improvement efforts in hospitals: rationale, measurement, implementation.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1;23(5):531-37. https://doi.org/10.1093/intqhc/mzr058 

  9. Kim MR. Concept analysis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1;41(1):1-8. https://doi.org/10.4040/jkan.2011.41.1.1 

  10. Longtin Y, Sax H, Leape LL, Sheridan SE, Donaldson L, Pittent D. Patient participation: current knowledge and applicability to patient safety. Mayo Clinic Proceedings. 2010;85(1):53-62. https://doi.org/10.4065/mcp.2009.0248 

  11. Ahn SH, Kim YS, Yoo MS, Bang KS. A patient's right to know and self-determination. The Korean Journal of Medical Ethics. 2009;12(2):153-64. 

  12. Ministry of Science. 2015 Internet use survey-summary report (December 31) [Internet]. Seoul: Author; 2015 [cited 2016 May 17]. Available from: http://www.msip.go.kr/cms/www/news/news/report/ 

  13. Pyo MY, Kim JY, Sohn JO, Lee ES, Kim HS, Kim KO, et al. The effects of a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training via smartphone's simulation application on nurses' knowledge and learning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2;18(2):228-38. 

  14. Miller AS, Cafazzo JA, Seto E. A game plan: gamification design principles in mHealth application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Health Informatics Journal. 2016;22(2):184-93. https://doi.org/10.1177/1460458214537511 

  15. Kim MS, Park JH, Park KY.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drug dosage calculation training program using cognitive loading theory based on smartphone appli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689-98. https://doi.org/10.4040/jkan.2012.42.5.689 

  16. Kirwan M, Vandelanotte C, Fenning A, Duncan MJ. Diabetes self-management smartphone application for adults with type 1 diabete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3;15(11):e235. https://doi.org/10.2196/jmir.2588 

  17. Jeon J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phone application for self-care perform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hepatitis B [dissertation]. Seoul: Chung-Ang University; 2015. p. 1-176. 

  18. Molenda M. In search of the elusive ADDIE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2003;42(5):34-6. 

  19.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The 10 questions you should know [Internet]. Rockvill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0 [cited 2014 March 20].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atients-consumers/patient-involvement/ask-your-doctor/10questions.html 

  20.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 tips to help prevent medical errors [Internet]. Rockvill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11 [cited 2014 March 20]. Available from http://www.ahrq.gov/patients-consumers/patient-involvement/ask-your-doctor/tips-and-tools/index.html 

  21. The Joint Commission. Speak up brochures [Internet]. Oakbrook Terrace: The Joint Commission; 2002 [cited 2015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topics/speakup_brochures.aspx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at you need to know before and after surgery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5 [cited 2015 June 7]. Available from: http://www.who.int/patientsafety/patients??for?patient/en/ 

  23. Kim 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4. p. 1-65. 

  24.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Power 3.1: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2007;39(2):175-91. https://doi.org/10.3758/BF03193146 

  25. Flin R, Patey R, Jackson J, Mearns K, Dissanayaka U. Year 1 medical undergraduat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 medical error. Medical Education. 2009;43(12):1147-55. https://doi.org/10.1111/j.1365-2923.2009.03499.x 

  26. Patey R, Flin R, Cuthbertson BH, MacDonald L, Mearns K, Cleland J, et al. Patient safety: helping medical students understand error in healthcare. Quality and Safety in Health Care. 2007;16(4):256-9. 

  27. Park BK, Lee E. Effects of my child's safety web-based program for caregivers of children with cancer in South Korea.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14;30(3):199-208. https://doi.org/10.4258/hir.2014.20.3.199 

  28. Haynes AB, Weiser TG, Berry WR, Lipsitz SR, Breizat A-HS, Dellinger E, et al. Changes in safety attitude and relationship to decreased post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following implementation of a checklist-based surgical safety intervention. BMJ Quality & Safety. 2011;20(1):102-7. https://doi.org/10.1136/bmjqs.2009.040022 

  29. Watts BV, Percarpio K, West P, Mills PD. Use of the safety attitudes questionnaire as a measure in patient safety improvement. Journal of Patient Safety. 2010;6(4):206-9. https://doi.org/10.1097/PTS.0b013e3181fbbe86 

  30. Kim JE, Lee NJ, Jang SM, Kim YM. Healthcare service consum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3;10(2):133-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