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증강현실 기반의 수술간호 실습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평가
Augmented Reality-based Surgical Nursing Practice Application Development and Evaluation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2, 2021년, pp.47 - 56  

고정연 (삼성서울병원) ,  정애리 (부천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수술간호 실습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로서, 연구과정은 ADDIE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구현, 평가의 5단계로 구성되었다. 요구도 분석 결과 나온 세부 항목 중 전문가 집단과 간호대학생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수술 기구 항목이었다. 요구도를 기반으로 수술실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하며 진료과에 구분 없이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7가지 분류의 51개의 수술기구를 선정하여 AR Book으로 제작하였다. 증강현실기반 애플리케이션은 Unity 3D 엔진을 기반으로 제작하였으며, Android OS로 애플리케이션을 빌드하여 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전체 평균은 73.4±4.3으로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 만족도 조사 결과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제작된 증강현실 기반 수술간호 콘텐츠는 이전의 다른 학습 방법과는 달리 현실성과 휴대성, 접근성, 간편함을 갖춘 새로운 방식의 수술 기구 학습 애플리케이션을 처음으로 개발한 부분에 그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augmented reality-based surgic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application. The research proceeded in ADDIE order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ages. In the analysis phase, we analyzed the surgical nursing learning need...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임상 실습의 질을 향상시키고, 현실감과 몰입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수술간호 실습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학 실습 교육 중 특수 분야로 학생들의 접근이 쉽지 않은 수술 간호 실습 콘텐츠의한 분야인 수술 기구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한 연구이다. 제작된 증강현실 기반 수술 간호콘텐츠는 이전의 다른 학습 방법과는 달리 휴대성, 접근성, 간편성, 실제를 보는듯한 현실성을 갖추었으며, 새로운 방식의 수술 기구 학습도구를 처음으로 개발한 부분에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연구의 목적과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를 희망한 대상자에 한하여 온라인을 통해 동의가 진행되었다. 연구자들은 연구윤리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였고, 동의서에 연구의 목적, 예상되는 이득과 위험, 자료 관리, 비밀 보장, 자발적 동의 철회 및 연구 비참여시 어떠한 불이익을 받지 않음을 설명하는 글을 명시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를 얻은 경우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응답시 소정의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수술간호 실습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에 국한하지 않고 모든 장소에서 학습이 가능하며 휴대하기 편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도구 개발을 진행하였다. 수술기구의 이미지나 용도에 대해서 쉽게 학습할 수 있으면서 실제 모습과 작동 방법 등을 현실감 있게 3차원으로 학습할 수 있는새로운 교육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학습 매체로 AR Book을 이용하였다[23].
  • 본 연구에서는 이런 현실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수술 간호 실습 콘텐츠를 개발하게 되었고, 생소하고 난해한 수술 간호에 대한 학생들의 학습 욕구를 증가시키고 자율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현재까지 증강현실 분야의 간호학 학습 콘텐츠를 살펴보면 상처관리, 정맥 주사 시뮬레이션, 임상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손씻기, 의사소통, 해부 생리학, 수술 과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콘텐츠가 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27].
  • 본 연구에서는 증강현실 기술을 모바일 기기에 적용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인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여 종이책이 가진 2차원 이미지 정보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종이책이 가진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객체로 보여질 수 있도록 기본 수술기구 51종을 3ds Max(Autodesk, 2019)를 이용하여 3차원 모델링을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위한 수술간호 실습 교육 콘텐츠를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개발하고, 적용 후 실습 만족도를 비교함으로써 실습 교육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 교육 콘텐츠로 활용하는 것이다.
  • 연구자들은 연구윤리 관련 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하였고, 동의서에 연구의 목적, 예상되는 이득과 위험, 자료 관리, 비밀 보장, 자발적 동의 철회 및 연구 비참여시 어떠한 불이익을 받지 않음을 설명하는 글을 명시하였으며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를 얻은 경우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응답시 소정의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는 무기명으로 처리하였으며 윤리적 관점에서 연구 대상자를 충실히 보호하고자 하였다.
  • 특히 실습 분야에서 직접 제작된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를 통한 교육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실습의 질을 향상시키고, 현실감과 몰입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강현실을 기반으로 한 수술 간호 실습 교육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20, January 1). Guideline for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of the first half year 2020. (Online). http://www.kabone.or.kr/ 

  2. N. S. Ha & M. S. Cho.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Self-esteem, Satisfaction of Clin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1), 13-21. 

  3. Y. K. Kang et al. (2006). Analysis of Anesthesia and Recovery Room Nurses's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2(1), 63-75. 

  4. E. H. Park & S. Y. Hwang. (2011). Effects of a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Operating Room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9), 384-394. 

  5. M. S. Song & K. M. Park. (2020). Practice Experience of Nursing Student in Operating Room.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2), 357-367. 

  6. I. S. Kwon & Y. M. Seo. (2012). Nursing Students' Needs for Clinical Nurs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25-33. 

  7. S. J. Shin, E. B. Yang, E. H. Hwang, K. H. Lim, Y. J. Lim & D. Y. Jung.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Nursing Education for Clinical. Korean Medical Education Review, 19(2), 76-82. 

  8. S. Y. Jeong et al. (2014). Actual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ontrol in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7damentals of Nursing, 21(4), 392-402. DOI : 10.7739/jkafn.2014.21.4.392 

  9. J. Y. Kang. (2020). Simulated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the Ontact Age: A Mixed Methods Case Stud.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 937-957. 

  10. M. Y. Jho. (2010). An Analysis of Research on Nursing Practice Education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2), 239-248. DOI : 10.5977/jkasne.2010.16.2.239 

  11. H. S. Jo, E. Y. Park & J. S. Choi. (2013). Effects of Self Directed Learning Applying Basic Nursing Practice Contents of e-Learning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Sel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504-514. DOI : 10.5392/JKCA.2013.13.09.504 

  12. M. S. Lee, & S. W. Hahn. (2011).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 on Clinical Performance and Problem Solving Process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2), 226-234. DOI : 10.5977/jkasne.2011.17.2.226 

  13. M. R. Nam. (2005).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in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focusing on Asepsis technique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290-297. 

  14. H. S. So et al. (2008). Development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the Critical Care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through Inter-College Collaborat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5), 778-790. 

  15. K. H. Noh, H. K. Jee & S. H. Lim. (2010). Effect of Augmented Reality Contents Based Instruction on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 and Flow of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0(2), 1-13. 

  16. R. T. Azuma. (1997). A Survey of Augmented Reality. Presence (Cambridge, Mass.), 6(4), 355-385. 

  17. P. Milgram, P & F. Kishino. (1994). A taxonomy of mixed reality visual displays. IEICE TRANSACTIONS on Information and Systems, 77(12), 1321-1329. 

  18. P. Chen, X. Liu, W. Cheng, & R. Huang. (2017). A review of using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from 2011 to 2016. Innovations in smart learning, 13-18. 

  19. J. I. Lee & J. S. Choi. (2011). Making Contents of the Science Education for the Element Schoolchildren based on the AR(Augmented Rea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11), 514-520. 

  20. E. H. Park & J. W. Jeon. (2013). Developing Korean learning contents using augmented realit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4), 459-468. 

  21. I. S. Lim. (2019, June). Current Virtual/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in Nursing and Medical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 S. R. Park & J. M. Lee. (2020). Domestic Research Trends on Augmented Reality in Education from 2015 to 2019.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 1-23. 

  23. J. Ferrer-Torregrosa, J. Torralba, M. A. Jimenez, S. Garcia & J. M. Barcia. (2015). ARBOOK: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a tool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anatom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4(1), 119-124. 

  24. M. R. Kim. (2014).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health care smart phone application evaluation tool.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5. M. S. Yoo. (2001). Development of standardized patient managed instruction for a fundamentals of nursing course.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6. S. B. Kwon, K, S, Cho, Y. S., Park, D. O. Kim, Y. J., Lee & E. H. Lee. (2008). An Analysis of Nursing Work of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4(1), 72-84. 

  27. Wuller et al. (2019). A scoping review of augmented reality in nursing. BMC Nursing, 18(1), 19. DOI : 10.1186/s12912-019-0342-2 

  28. B. Dalgarno. (2008). Spatial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s: An exploration of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3D virtual environments and the contribu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to spatial learning. VDM Verlag Dr. Muller. 

  29. S. L. Han & C. I. Lim. (2019). Developmental Study on Augmented Reality Base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5, 455-489. 

  30. S. Yoshida et al. (2015). A Novel Approach to Surgical Instructions for Scrub Nurses by Using See-Through-Type Head-Mounted Display. Computers, Informatics, Nursing, 33(8), 335-338. DOI : 10.1097/cin.0000000000000153 

  31. J. Kopetz, D. Wessel, K. Balzer & N. Jochems. (2018). Smart glasses as supportive tool in nursing skills training. Zukunft der Pflege: Tagungsband der, 1, 137-141. 

  32. Marschollek et al. (2016). Smart Glasses in Nursing Training - Redundant Gadget or Precious Tool? A Pilot Study. Studies in Health Technology and Informatics, 225, 377-381. 

  33. G. E. Ju et al. (2020). Awareness, Current Educational State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of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24(2), 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