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3 no.2, 2017년, pp.165 - 174
조계화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박애란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 최수정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 유은영 (대구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원)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nd to evaluate an integrative palliative care scale for cancer patients. Methods: The process included construction of a conceptual framework, generation of initial items, ver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selection of secondary items, preliminary study, and ...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완화의료란 무엇인가? | 완화의료란 말기 질환을 가진 환자와 가족을 대상으로 통증 및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의료를 말하는 것으로(NCC, 2000) 통합적 완화 돌봄은 완화의료가 통합적, 즉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영역을 모두 통합하여 전인적으로 이루어지는 돌봄을 말한다. 다시 말해 통합적 완화 돌봄은 인간을 전인격체로 인식하고,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인 측면을 따로 돌보는 것이 아닌 통합하여 돌봄을 제공하여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돌봄을 말한다(Dunwoody, Smyth, & Davidson, 2002). | |
암환자들은 어떤 증상을 호소할 수 있는가? | 암환자들은 통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호흡곤란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신체적 증상을 호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신체 증상은 암이 완치가 된 경우라도 일부에서 영구적으로 호소할 수 있다(Cella, Davis, Breitbart, & Curt, 2001). 또한 암의 예후나 사후세계에 대한 불확실성, 상실에 대한 불안, 두려움, 고립감, 절망감 등의 정신적 증상과 더불어 스트레스로 인해 극심한 정서적 혼란을 겪고 영적인 장애를 동반하게 되며(Tae, 1995), 사회 구성원과의 연결망이 위축되어 사회적 활동이 감소되며, 나아가서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만큼 문제가 커지게 된다. | |
Kolcaba의 안위이론 내용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 Kolcaba (1991)는 신체적, 심리영적, 사회적, 환경적 영역의 네 가지 영역에 대한 인간의 기본 욕구가 완화(relief), 편안함(ease), 초월(transcendence)의 형태로 충족되면 편안한 상태가 되는데 이는 단순히 불편함이 없는 상태보다 더 적극적인 상태라 하였다. Kolcaba (1991)는 간호의 본질을 환자의 안위증진으로 보았고, 안위증진은 환자의 수면 장애, 통증 같은 신체적 문제, 불안, 걱정, 스트레스, 우울 등의 심리영적 문제 및 사회적 문제 모두를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이런 Kolcaba (1991)의 안위이론은 통합적 완화 돌봄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Kolcaba (1991)의 안위 이론을 바탕으로 통합적 완화 돌봄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며, 암환자에게 제공되는 간호가 암환자들에게 얼마나 유용한지 파악하기 위해 각각의 영역별로 해당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아닌, 통합된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한 번에 파악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
Bausewein, C., Simon, S. T., Pralong, A., Radbruch, L., Nauck, F., & Voltz, R. (2015). Palliative care of adult patients with cancer. Deutsches AArzteblatt International, 112(50), 863-870.
Cella, D., Davis, K., Breitbart, W., Curt, G. (2001). Cancer-related fatigue: Prevalence of proposed diagnostic criteria in a United States sample of cancer survivors.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14), 3385-3391.
Cella, D. F., Tulsky, D. S., Gray, G., Sarafian, B., Linn, E., Bonomi, A., et al. (1993).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1(3), 570-579.
Dunwoody, L., Smyth, A., & Davidson, R. (2002). Cancer patients' experiences and evaluations of aromathrtapy massage in palliative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8(10), 497-504.
Frenkel, M., & Cohen, L. (2014). Effective communication about the use of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medicine in cancer care. The Journal of Alternative & Complementary medicine, 20(1), 12-18.
Hsiao, S. M., Gau, M. L., Ingleton, C., Ryan, T., & Shih, F. J. (2011). An exploration of spiritual needs of Taiwanese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during the therapeutic proces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7-8), 950-959.
Jang, S. J. (2013). Effects of meditation program on power,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2(3), 205-215.
Kim, E. H., Kwon, I. G., Kim, J. H., Sul, M. E., Jun, M. H., Ham, Y. H., et al. (Eds.). (2011). Cancer symptom management. Seoul: Hyunmoonsa.
Kolcaba, K. Y. (1991). A taxonomic structure for the concept comfort.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3(4), 237-240.
Kolcaba, K. Y. (1992). Holistic comfort: Operationalizing the construct as a nurse-sensitive outcom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5(1), 1-10.
Kwon, I. G., Hwang, M. S., & Kwon, K. M. (2008). Quality of life of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receiving home care nursing.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4(2), 103-114.
Lee, E. O., Im, N. Y., & Park, H. A. (Eds). (1998). Nursing/medical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Seoul: Soomoonsa.
Lee, M. L. (2003). Concept analysis of spirituality in cancer patients: focusing on christianity, buddhism, atheism and agnosticism.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5(4), 551-562.
Lee, M. S., Lee, W. H., Kim, K. S., Tae, Y. S., Suh, S. R., So, H. S., et al (Eds.). (2007). Psychosocial nursing and research for cancer patients. Seoul: Soomoonsa.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6), 382-385.
National Cancer Center. (2000, March). Hospice care and palliative care manual. Retrieved January 10, 2013, from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eb site: http://hospice. cancer.go.kr/hospice/front/boardView.do?keykind&keyword&page_now3&returl/hospice/front/boardList.do&listurl/hospice/front/boardList.do&brd_mgrno181&menu_no442&brd_no8799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2). All cancer status. Retrieved December 1, 2015, from Looking at statistics Web site: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101000000
Paloutzian, R. F., & E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eplau, & D. Perman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John wiley & Sons.
Park, C. H., Shin, D. W., Choi, J. Y., Kang, J., Baek, Y. J., Mo, H. N., et al. (2012). Determinants of the burden and positivity of family caregivers of terminally ill cancer patients in Korea. Psychooncology, 21(3), 282-290.
Ryu, C. S. (2006). SPSS 14.0 for Windows (5th ed). Seoul: Elite.
Singh, H., Kaur, K., Banipal, R. P., Singh, S., & Bala, R. (2014).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in a tertiary care center in malwa region of punjab. Indi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2), 116-122.
Tae, Y. S. (1995). Hope phenomenon of Korean cancer patient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Yi, M. S., Kim, J. H., Park, E. Y., Kim, J. N., & Yu, E. S. (2010). Focus group study on psychosocial distress of cancer patien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2(1), 19-30.
Zigmond, A. S., & Snaith, R. P. (1983).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cta Psyciatrica Scandinavica, 67(6), 361-370.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