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mi-Fowler's posi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and Pain for Patients with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412 - 419  

최운정 (원광대학교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하태욱 (원광대학교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강지숙 (원광대학교의과대학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 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향후 복강경 수술환자 간호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도록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비뇨기과 혹은 산부인과 환자를 대상 사전동의 후 진행되었으며,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는 반좌위룰 대조군에게는 기존 앙와위를 수술직후부터 24시간까지 취하게 하였다. 수술후 회복성을 확인하기 위해 회복실저류시간, 장운동 회복기간, 자가배뇨 회복기간, 수술후 병동 체류기간을 측정하였고, 통증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술일부터 수술 2일째 까지 VAS로 통증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수술회복성은 수술 후 회복실 체류시간(t=-0.284, p=.506), 수술 후 최초 가스배출시간(t=-0.837, p=.407), 수술 후 최초 대변배출시간(t=0.665, p=.509), 유치도뇨관 삽입시간(t=1.635, p=.109), 유치도뇨관 제거 후 자가배뇨시간(t=1.427, p=.165), 수술 후 병동체류시간(t=0.290, p=.773)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대상자의 통증은 주효과인 통증에서 실험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F=4.851, p=.032), 세 시점간의 통증의 변화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F=24.200, p=<.001).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는 수술회복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통증에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환자에게 반좌위는 통증을 완화시키고 안위를 개선하는데 유용한 간호중재임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Semi-Fowler's posi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and pain for patients with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Methods: This study utiliz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o validate the effects of theSemi-Fowler's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 회복성과와 통증, 수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을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quasi-experimental design)이다.
  •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 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향후 복강경 수술환자 간호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도록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 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향후 복강경 수술환자 간호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도록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을 이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비뇨기과 혹은 산부인과 환자를 대상 사전동의 후 진행되었으며, 실험처치로 실험군에게는 반좌위룰 대조군에게는 기존 앙와위를 수술직후부터 24시간까지 취하게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전신마취 하에 복강경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반좌위가 수술 회복성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으로 향후 복강경 수술환자 간호에 대한 근거기반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로 사용되도록 시도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를 취한 실험군이 앙와위를 취한 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병동체류기간이 짧을 것이다.
  •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를 취한 실험군이 앙와위를 취한 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자가배뇨 회복기간이 짧을 것이다.
  •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를 취한 실험군이 앙와위를 취한 대조군에 비해 수술 후 장운동 회복기간이 짧을 것이다.
  •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를 취한 실험군이 앙와위를 취한 대조군에 비해 통증이 적을 것이다.
  • 복강경 수술 후 반좌위를 취한 실험군이 앙와위를 취한 대조군에 비해 회복정도가 빠를 것이다.
  • 수술회복성은 환자의 전반적인 신체적 상태와 관련되어 있고, 복강경 수술이 개복수술 환자에 비해 출혈량과 수술 후 입원기간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12] 복강경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전신마취를 필요로 하는 수술이기 때문에 환자의 불편감이나 통증을 유도하게 된다. 환자의 통증은 전반적인 수술회복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복강경 수술환자에게 반좌위 유지를 통한 적절한 폐환기는 수술 후 회복실 체류시간을 짧게 하여 수술 직후 회복성과를 높일 뿐 아니라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주는 통증완화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복강경수술의 장점은?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은 최근 의료기기의 급속한 발달과 외과의사들의 경험축적 등으로 수술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복강경수술은 흉터가 적게 남고 수술 후 통증이 적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과 이로 인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율성이 있어 환자들의 이용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1]. 복강경 수술은 수술 시야확보를 위해 기복(pneumoperitoneum)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스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복강경수술의 기복 형성을 위해 많이 사용되는 것은?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은 최근 의료기기의 급속한 발달과 외과의사들의 경험축적 등으로 수술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으며, 복강경수술은 흉터가 적게 남고 수술 후 통증이 적으며 회복이 빠른 장점과 이로 인한 비용이 절감되는 효율성이 있어 환자들의 이용빈도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1]. 복강경 수술은 수술 시야확보를 위해 기복(pneumoperitoneum)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가스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초기의 복강 경은 비교적 짧고 간단한 시술을 위해 사용되어 왔고 복강 내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과 관련된 여러 검사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2].
시술의 대상이 노인환자에게 까지 확대되는 이유는? 초기의 복강 경은 비교적 짧고 간단한 시술을 위해 사용되어 왔고 복강 내 이산화탄소 가스의 주입과 관련된 여러 검사에서 의미있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2].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복강경 수술이 개발됨에 따라 간단한 시술에서 암환자의 시술까지 시술대상도 확대되고 시술시 간도 점점 길어지게 되어 복강경 수술을 위해 기복시간 또한 길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젊고 건강한 환자 뿐 아니라 심폐질환을 가진 노인환자들도 시술의 대상으로 확대되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M. S. Lee, S. Y. Ryu, S. H. Han, H. J. Kim, Y. D. Kim, H. Y. Kim, "Analysis of the hemodynomic and ventilatory effects of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Korean Journal of Anesthesiology, 17(4), pp. 483-487, 1996. 

  2. Kelman, G. R., Swapp, G. H., Smith, I., Benzie, R. J., Gordon, N. L. "Cardiac output and arterial blood gas tension during laparoscopy". British. Journal of. Anaesthesia, 44, pp. 1155-62, 1972. DOI: https://doi.org/10.1093/bja/44.11.1155 

  3. MacMahon., A. J., Baxter, I. N., Kenny. G., O'dwyre, P. J. "Ventilatory and blood gas changes during laparoscopic and open cholesystectomy", British Journal of Surgery, 80, pp. 1252-1254, 1993. DOI: https://doi.org/10.1002/bjs.1800801010 

  4. Paul, G. B., Bruce, F. C. Robert, K. S.. Clinical Anesthesia, 2nd ed. Philadelphia: JB Lippincott company, pp. 715-734. 1992. 

  5. K. A. Kim, Y. K. Kim, "The effect of semi-fowler's position on post-operative recovery in recovery room for patients with laparoscopic abdominal surge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4), pp. 566-574, 2004. 

  6. D. S. Kim, Analysis of pulmonary function test. Practice of Respiratory Manage. SEOUL : Haemin Medical Company, 97-118, 1990. 

  7. Townsend, W. C. "Spirometric forced expiratory volumes measured in sitting posture" American Review Respiration Distress, 130, p. 123, 1994. 

  8. The Kore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 Patient's Manage of Recovery Period. Anesthesiology(3rd ed.). pp. 417-27, Seoul: Yeo Moon Gak Publishing Co., 1994. 

  9. H. Y .Lee, J. H. Lee, C. J. Park, C. J. Choi, O. J. Park, Adult nursing. SEOUL: Soomoonsa. 2014. 

  10. H. E. Kim, "Pattern, Management and Related Factors of Postoperative Pain: through EMR Analysi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myung University of Korea, 2012 

  11. Law, W. L., Lee, Y. M., Choi, H. K., Seto, C. L.,Ho, J. W.. Impact of laparoscopic resection for colorectal cancer on operative outcomes and survival. Annals of surgery, 245(1), p. 1-7, 2007. DOI: https://doi.org/10.1097/01.sla.0000218170.41992.23 

  12. S. J. Woo, E. S. Lee, H. R. Kim, "Recovery outcomes following laparoscopic surgery in overweight rectal cancer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3), pp. 17-26. 2009. 

  13. Y. H. Park, S. H. Kim, G. W. Lee, K. S. Seo.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Hepato-Billiary-Pancreac Surgery. Seoul: Eui-hak Publishing & Printing Co, pp. 558-566, 2000. 

  14. Melzack R. "Gate control theory: On the evolution of pain concepts", Pain Forum. 6, pp. 128-138, 1996. DOI: https://doi.org/10.1016/s1082-3174(96)80050-x 

  15. Wewers, M. E., Lowe, N. K. "A critical review of visual analogue scales in the measurement of clinical phenomena",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3, 227-236, 1990. DOI: https://doi.org/10.1002/nur.4770130405 

  16. J. E. Kim, Y. T. Nam, Y. H. Chae, "The Effect of the body position and CO2 gas insufflation on airway pressure and compliance in normal subjects during laparoscopy or pelviscopy" Korean Jpurnal of anesthesiology, 36(5), pp. 802-807. 1999. 

  17. D. I. Lee, "Alpha-2 Adrenergic Agonists for the Management of Surgical Pain Patient" The Korean Journal of Pain, 14(2), pp. 129-135. 2001. 

  18. Y. H. Shin, "A Survey of Hospitalized Post-op Patients' pain Experience in Kyungbook Province Area", Gyemyung nursing science, 4(1), pp. 93-102. 1999. 

  19. N. J. Kim, "A study on patients' and nurses' knowledge about and attitudes towards management of pain after surger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of Korea, 2003. 

  20. H. S. Moon, H. Y. Lee, J. A. Lee, "The Effects of Relaxation Therapy on Pain and Anxiety in Spinal Anesthesia Surgery Patients", The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15(1), 54-62.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