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장표지물질 간이검사의 급성심장사 법의학적 사후진단 유용성에 관한 연구
The Usefulness of Rapid Triple Test for Cardiac Marker in Forensic Paragnosis of Sudden Cardiac Death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KJCLS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v.49 no.2, 2017년, pp.108 - 113  

임채원 (전남지방경찰청 과학수사계) ,  김진각 (광양보건대학교 임상병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성심장사는 돌연 예기치 못한 심장질환에 의해 갑자기 사망하는 것으로, 법의부검 실시 전 초기 변사현장에서 외피 검시 과정 중 육안적으로 법의학적 사인 추정을 위한 명확한 소견 관찰이 어려운 점으로 인해 법의부검에서 심근 조직의 현미경적 변화 관찰을 통한 진단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검사시간, 비용, 편의성 등 변사사건 현장 외표 검시를 통한 사인추정 실무현장에 적용하는데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 병원 진단검사의학에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진단 검사에 이용하는 심장표지물질 간이 검사 키트를 이용하여 사후 혈액에서 심장표지물질 myoglobin, CK-MB, cTn I를 측정하는 간이 검사가 내인성급사인 급성심장사를 사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피 검시 및 간이검사 결과 비외상성 급성심장사로 추정되는 실험군 30예를 법의 부검 결과와 비교한 결과 23예(76.7%)에서 양성, 대조군 10예 중 뇌혈관질환 추정 4예 모두 음성, 알코올 및 약물 중독 1예, 산소결핍 질식사 1예에서 양성을 보였다. 심장표지물질 간이 검사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76.7%, 80.0%의 유의한 결과를 보여 변사사건 현장에서 변시체의 과거병력, 현장상황 및 사후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사후 급성심장사의 의심, 추정 진단에 보조적 방법의 하나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심장표지물질(myoglobin, CK-MB, cTn I)의 개별물질 특성에 의한 혈액 내 최초 발현 및 소멸시간, 시간 경과에 따른 농도 차이 등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를 기초로 사망원인 규명 등 사건 해결에 필요한 사후경과시간 추정을 위한 사후 시간대 별 심장표지물질 농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udden cardiac death (SCD) is defined as an unnatural sudden death caused by heart disease. To determine the cause of death, observation of the microscopic change in cardiac muscle tissue is suggested, rather than visual postmortem examination. However, this suggestion is time consuming to be app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병원 진단검사의학과에서 급성심근경색 진단을 위한 경색된 심장 근육으로부터 유출되는 특이 심장표지물질myoglobin, CK-MB (creatine kinase-MB), cTn I (cardiac troponin I)을 측정하는[9] rapid cardiac triple test kit 간이 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실제 변사사건 현장에서 종합적인 주변 조사를 통하여 급성심장사로 추정되는 변사자 30예에 적용, 법의부검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급성심장사 사후진단의 유용성 판단 및 심근 조직의 형태학적 변화를 통한 진단 방법이 내포하는 한계점을 대체할 변사사건 초기 간단한 사인추정 검사방법 제시로 신속한 변사사건 처리 등 유족에게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경찰 과학수사요원 및 경찰 검시조사관으로 하여금 올바른 초기 수사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그러나 검사시간, 비용, 편의성 등 변사사건 현장 외표 검시를 통한 사인추정 실무현장에 적용하는데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상 병원 진단검사의학에서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진단 검사에 이용하는 심장표지물질 간이 검사 키트를 이용하여 사후 혈액에서 심장표지물질 myoglobin, CK-MB, cTn I를 측정하는 간이 검사가 내인성급사인 급성심장사를 사후 진단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외피 검시 및 간이검사 결과 비외상성 급성심장사로 추정되는 실험군 30예를 법의 부검 결과와 비교한 결과 23예(7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장표지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급성심장사는 건강한 사람이 갑자기 돌연 예기치 못한 심장 관상동맥질환에 의한 급성심근경색이나 허혈성 심장질환에 기인하여 사망하는 것으로 법의부검에서 내인성급사의 약 60%이상을 차지하고 있다[1,2] 급성 심근경색이나 허혈성 심장질환 발한 직후 심장근육 손상에 의한 변성 및 파괴로 혈액 내 노출되는 대표적인 심장표지물질은 myoglobin, CK-MB, cTn I 또는cTn T 등으로 알려져 있다[9,11,20]. 심장표지물질의 경우 첫 발병 직후 초기에 나타나는 심장표지물질 myoglobin, CK-MB와 확정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심장표지물질로 cTn I 또는 cTnT를 동시에 빠른 시간 안에 검사하여야 심근손상을 확인할 수 있다[18,20].
급성심장사란 무엇인가 급성심장사는 건강하게 보이던 사람이 돌연 예기치 못하게 심장성 질환에 의해 사망하는 것으로, 목격자가 있는 경우는 증상 발현 후 6시간, 목격자가 없는 경우는 증상 발현 후 24시간 이내 사망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1]. 급성심장사는 법의부검의 중요한 대상이 되며 우리나라에서도 법의부검에서 내인성급사로 사망한 경우의 약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심근 경색을 포함한 허혈성 심장질환에 기인하고 있다[2].
생화학적 검사를 부검진단에 응용한 방법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이러한 형태학적 진단의 시간 및 비용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임상 환자에게 적용하던 생화학적 검사를 부검 진단에 응용[3,4,12]한 시도의 초기에는 cTn I를 사후 혈액에서 검출하는데 중점을 두어 급성심장사군에서 의미 있게 높았다는 결과를 보고하기도 하였다[12].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원심분리 후 사후 혈액을 고가의 장비를 이용하여분석해야하는 등 시간과 경비 면에서 실제 현장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심근 손상시 혈액으로 유리되어 혈청에서 검출될 경우 심근의 허혈성 손상과 관련되어 있다는 cTn T 경우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은 혈중 cTn T 검사를 통한 심장 질환 환자를 분류하고 위험도를 예측하는데 이용되고 있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Kim HS, Choi Mj, Sung HY, Kim SY, Park SW. Study on postmortem investigation for coronary artery sclerosis (CAS).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2011;5(4):352-359. 

  2. Huh GY, Ahn YW, Kim YJ, Kim SJ, Oh SP, Kim KH, et al. A statistic analysis on forensic autopsy in Busan area in 2006: The Institute of Forensic Medicine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Kor J Leg Med. 2007;31(1):1-9. 

  3. Cina SJ, Thompson WC, Fischer JR Jr, Brown DK, Titus JM, Smialek JE. A study of various morphologic variables and troponin I in pericardial fluid as possible discriminators of sudden death. Am J Forensic Med Pathol. 1999;20(4):333-337. 

  4. Osuna E, Perez-Carceles MD, Alvarez MV, Noguera J, Luna Al. Cardiac troponin I (cTn I) and the postmortem diagnosis of myocardial infarction. Int J Leg Med. 1998;111(4):173-176. 

  5. Lee SD, Lee TS. An analysis of 69 sudden cardiac death. Kor J Leg Med. 1996;20(1):82-88. 

  6. Kang SM, Lee WT, Lee HY, Seo JS, Choi YS, Kwon IH, et al. An analysis on the normal and normal hearts in adult sudden cardiac death. Kor J Leg Med. 2000;24(2):37-44. 

  7. Katus HA, Remppis A, Looster S, Hallermeier K, Scheffold T, Kubler W. Enzyme-linked immunoassay of cardiac troponin T for the detection of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J Mol Cell Cardiol. 1989;21(4):1349-1353. 

  8. Kim YJ, Ahn YW, Jo GR, Lee SY, Kim KH, Huh GY. Usefulness of rapid test for cardiac troponin T in postmortem diagnosis of sudden cardiac death. Kor J Leg Med. 2008;32(1):6-12. 

  9. Choi WS, Kim SC, Choo SK. Effectiveness of cardiac markers and blood chemistry analysis in detecting acute myocardial infarction. Kor J Clin Lab Sci. 2003;35(1):22-28. 

  10. Cina SJ, Brown DK, Smialek JE, Collins KA. A rapid postmortem cardiac troponin T assay. Am J Forensic Med Pathol. 2001;22(1):173-176. 

  11. Kratz A, Januzzi JL, Lewandrowski KB, Lewandrowski EL.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a point of care testing strategy on first-draw specimens for the emergency department-based detection of acute coronary syndromes. Arch Pathol Lab Med. 2002;126(12):1487-1493. 

  12. Cina SJ, Li DJ, Chan DW, Boitnott JK, Hruban RH, Smialek JE. Serum concentrations of cardiac troponin I in sudden death: a pilot study. Am J Forensic Med Pathol. 1998;19(4):324-328. 

  13. Ravkilde J, Nissen H, Horder M, Thygesen K. Independent prognostic value of serum creatine kinase isoenzyme MB mass, cardiac troponin T and myosin light chain levels in suspected acute myocardial infarction: analysis of 28 months of follow-up in 196 patients. J AM Coll Cardiol. 1995;25(3):574-581. 

  14. Wu AH, Abbas SA, Green S, Pearsall L, Dhakam S, Azar R, et al. Prognostic value of cardiac troponin T in unstable angina pectoris. AM J Cardiol. 1995;76(12):970-972. 

  15. Muller-Bardorff M, Freitag H, Scheffold T, Remppis A, Kubler W, Katus HA.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a rapid assay for bedside determinations of cardiac troponin T. Circulation. 1995;92(10):2869-2875. 

  16. Christian WH, Britta UG, Christopher H, Georg K, Jurgen B, Thomas M. Emergency room triage of patients with acute chest pain by means of rapid testing for cardiac Troponin T or Troponin I. N Engl J Med 1997;337(23):1648-1653. 

  17. Park JH, Kim YJ, Ham SH, Yeom SR, Ahn R, Ha HI. Forensic analysis of the cause of death and death on arrival of patients at the emergency room. Kor J Leg Med. 2013;37(1):14-18. 

  18. Kim KD. Tests for Acute Coronary Syndrome. Yeongnam Univ J Med. 2001;18(1):13-29. 

  19. Jaffe AS, Babuin L, Apple FS. Biomarkers in acute cardiac disease: the present and the future. J AM Coll Cardiol. 2006;48(1):1-11. 

  20. Apple FS, Christenson RH, Valdes R, Andriak AJ, Berg A, Duh SH, et al. Simultaneous rapid measurement of whole blood myoglobin, creatine kinase MB, and cardiac troponin I by the triage cardiac panel for detection of myocardial infarction. Clin chem. 1999;45(2):199-2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