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아의 죽음을 경험한 중환자실 간호사를 위한 자기성찰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elf-Reflection Program for Intensive Care Unit Nurses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Pediatric Pati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3, 2017년, pp.392 - 405  

강현주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lf-reflection program for nurses who have experienced the death of pediatric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nd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self-reflec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means of the following four steps: establishment of the go...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에서는 간호사들이 환자의 임종 경험에 대해 그 실존적 의미와 경험을 이해하고 공론화 할 수 있는 어떤 기회가 있는가? 그러나 간호사들이 환자의 임종 경험에 대해 그 실존적 의미와 경험을 이해하고 공론화 할 수 있는 기회는 전혀 제공되지 못하는 상황이다. 드물기는 하지만 국외 일부 연구에서는 비애를 경험하는 의료진들을 위한 워크샵, 소아병동과 중환자실 의료진들을 위한 스트레스 중재 프로그램, 신생아중환자실 의료진을 위한 비애와 상실 프로그램,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의료진을 위한 애도 디브리핑 프로그램 등 죽음을 앞둔 환자를 돌보거나 환자의 죽음을 경험한 의료진의 정서적 스트레스를 다루고 지지하는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며,의료인들이 자신의 감정을 다루고 환자의 죽음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이끌어 내는 데 효과적임이 보고되고 있다[14-17]. 국내에서도 환아의 죽음을 경험한 간호사들의 심리적 충격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자신들의 경험을 함께 나눌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이나 자조 그룹을 운영할 것을 제안한 바 있으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거나 운영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중환자실은 어떤 곳인가? 중환자실은 중증 환자의 생명 유지와 회복을 위한 치료가 행해지는 곳으로,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전력을 다함에도 불구하고 불가피하게 환자의 죽음을 경험하기도 한다. 입원 환자의 죽음은 질병 치료와 상태 회복이라는 치료와 간호 목표에 반하는 현상이므로[1] 대부분의 의료인들은 환자의 죽음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여기지 않으며 슬픔과 같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권리가 있다고 인식하지 않고[2] 오히려 자신의 감정을 드러낼 경우 비전문적이라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3].
중환자실에서 말기 환자를 돌보는 부담감은 성인보다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더 큰 이유는? 중환자실에서 말기 환자를 돌보는 부담감은 성인보다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더 큰데[5], 이는 성인의 죽음과는 달리 아동의 죽음은 더욱 받아들이기 어려운 사건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6]. 중환자실에서 중증 환아를 돌보는 간호사들은 업무적 스트레스 뿐 아니라 치료의 지속여부에 대해 윤리․ 도덕적 갈등을 경험하기도 하며, 막상 환아가 사망했을 때는 슬픔과 비애, 상실감과 허무함, 죄책감, 후회스러움,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 분노 등 다양하고 복잡한 심리 정서적인 상태에 놓이게 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un SY. Death in modern society: Its meaning and sociological implications. Paju: Nanam Publishing House; 2012. p. 242-273. 

  2. Wakefield A. Nurses'responses to death and dying: A need for relentless self-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2000;6(5):245-251. http://dx.doi.org/10.12968/ijpn.2000.6.5.8926 

  3. Wilson J, Kirshbaum M. Effects of patient death on nursing staff: a literature review. British Journal of Nursing. 2011;20(9):559-563. http://dx.doi.org/10.12968/bjon.2011.20.9.559 

  4. Doka KJ. Living with grief: Loss in later life. Washington, D.C.: The Hospice Foundation of America. 2002. p. 159-168. 

  5. Solomon MZ., Sellers DE, Heller KS, Dokken DL, Levetown M, Rushton C, et al. New and lingering controversies in pediatric end-of-life care. Pediatrics. 2005;116(4):872-883. http://dx.doi.org/10.1542/peds.2004-0905 

  6. Meyer RL. Caring for children who die unexpectedly: patterns that emerge out of chao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2014;29(1):23-28. http://dx.doi.org/10.1016/j.pedn.2013.03.008 

  7. Costello J, Trinder-Brook A. Children's nurses'experiences of caring for dying children in hospital. Pediatric Nursing. 2000;12(6):28-32. https://doi.org/10.7748/paed2000.07.12.6.28.c674 

  8. Kain VJ. An exploration of the grief experiences of neonatal nurses: A focus group study. Journal of Neonatal Nursing. 2013;19(2):80-88. http://dx.doi.org/10.1016/j.jnn.2012.04.001 

  9. Bush NJ. Boyle DA. Self-healing through reflection: A workbook for nurses. Pittsburgh, PA: Hygeia Media; 2012. p. 57-76. 

  10. Sarwar SR, Mangewala V, Baron R. Helping the angels: a review of understanding and helping dying children. Innovations in Clinical Neuroscience. 2013;10(3):31-34. 

  11. Stein-Parbury, J. Patient and person: Interpersonal skills in nursing. 5th ed. Sydney, AU: Elsevier Australia; 2014. p. 53-89. 

  12. Taubman-Ben-Ari O, Weintroub A. Meaning in life and personal growth among pediatric physicians and nurses. Death Studies. 2008;32(7):621-645. http://dx.doi.org/10.1080/07481180802215627 

  13. Chinn PL, Kramer MK. Integrated theory and knowledge development in nursing. 8th ed. St. Louise, MO: Mosby; 2011. p. 109-124. 

  14. Jenko M, Seymour MJ, Stone E. Broken hearts-Healing hearts: The development and facilitation of a grief support workshop for hospital employees. Journal of Hospice & Palliative Nursing. 2011;13(6):387-393. http://dx.doi.org/10.1097/NJH.0b013e3182271f6e 

  15. Keene EA, Hutton N, Hall B, Rushton C. Bereavement debriefing sessions: An intervention to support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managing their grief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Pediatric Nursing. 2010;36(4):185-189. 

  16. Meadors P, Lamson A. Compassion fatigue and secondary traumatization: provider self-care on intensive care units for children.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08;22(1):24-34. http://dx.doi.org/10.1016/j.pedhc.2007.01.006 

  17. Rushton CH, Reder E, Hall B, Comello K, Sellers DE, Hutton N.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s to improve pediatric palliative care and reduce health care professional suffering.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2006;9(4):922-933. https://doi.org/10.1089/jpm.2006.9.922 

  18. Jordan JR, Neimeyer RA. Does grief counseling work?. Death Studies. 2003;27(9):765-786. http://dx.doi.org/10.1080/713842360 

  19.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dx.doi.org/10.1007/BF02103658 

  20.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1.012 

  21. Figley CR, editor.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he traumatized. New York, NY: Brunner/Mazel Publishers; 1995. p. 1-20. 

  22. Stamm BH. The concise ProQOL manual [Internet]. Pocatello, ID: The ProQOL.org; 2010 [cited 2013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proqol.org/uploads/ProQOL_Concise_2ndEd_12-2010.pdf. 

  23. Kim CD, Kim HS, Shin E, Lee SH, Choi HN.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for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education. Seoul: Hakjisa Corp.; 2011. p. 17-61. 

  24. Downe-Wamboldt BD.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3):313-321. http://dx.doi.org/10.1080/07399339209516006 

  25.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N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26. van Wyk BE, Pillay-Van Wyk V. Preventive staff-support interventions for health worker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2010;3:CD003541. http://dx.doi.org/10.1002/14651858.CD003541.pub2 

  27. Anderson KA, Gaugler JE. The grief experiences of certified nursing assistants: personal growth and complicated grief. Omega. 2007;54(4):301-318. http://dx.doi.org/10.2190/T14N-W223-7612-0224 

  28. Arnold D, Calhoun LG, Tedeschi R, Cann A. Vicarious posttraumatic growth in psychotherapy.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2005;45(2):239-263. http://dx.doi.org/10.1177/0022167805274729 

  29. Gorter RC, Eijkman MA, Hoogstraten J. A.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dentists: effects on burnout.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2001;43(1):23-30. http://dx.doi.org/10.1016/S0738-3991(00)00141-5 

  30. Jones SH. A self-care plan for hospice workers. Th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005;22(2):125-128. http://dx.doi.org/10.1177/104990910502200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