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통환경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 연구
Analysis Method for Ai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Transport and Environment Policy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5 no.1, 2017년, pp.37 - 49  

이건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 ,  한진석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동오염원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교통환경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으며, 해당 방법론은 정책 추진에 따른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변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과 이로 인한 노출인구의 건강영향을 순차적으로 고려한다. 특히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 변화는 정책 효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대기질 개선효과 분석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모형 기반의 상향식 방법을 적용하여 기존 하향식 방법 대비 정책 추진에 따른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를 상세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정책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론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가 예상되는 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 분석은 본 연구의 분석 방법론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s an analysis methodology for ai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transport and environment policy that are used for mobile pollution sources. The methodology considers the changes of traffic of road transport sources and air pollutant emission, the changes of atmospheric disper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교통수요모형 기반의 상향식(BUA: Bottom-UP Approach) 배출량 산정을 바탕으로 교통환경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며, 해당 방법론은 정책 추진에 따른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과 이로 인한 노출인구의 건강영향을 순차적으로 고려한다.

가설 설정

  • 5톤 이상 경유차 중 승합차와 화물차로 한정하였다. 대상차량 중 대전광역시 등록 차량은 모두 저공해조치(DPF: Diesel Particulate Filter)를 이행하여 대전광역시 운행제한 대상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대전광역시 이외 지역의 등록 차량7)은 대전광역시 운행이 제한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은 CALPUFF의 분석 단위인 단위시간당 면적당 발생량(g/h/㎡)으로 변환하여 입력하였으며, 교통수요모형에서 추정된 배출량은 연평균 일교통량을 기반으로 산정되었기 때문에 CALPUFF에서 시간당 배출량 발생량은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질 분석의 시간적 범위를 분기별(1월, 4월, 7월, 10월)로 구분하였으며, 분석 결과인 대기오염물질의 농도는 각 분기의 1-3일에 발생하는 평균치를 활용하였다.
  • 국립환경과학원의 배출계수는 속도(km/h)에 따른 배출량(g/km)을 산출하는 함수이며, 차량의 차종(승용차, RV, 승합차, 버스, 화물차)과 차급(경형, 소형, 중형, 대형), 연료유형(휘발유, 경유, LPG, CNG)과 연식에 따라 별도의 함수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도로망을 통행하는 차량의 차종과 차급, 연료유형과 연식의 비율은 교통안전공단에서 제공하는 2014년 기준 자동차 등록대수 통계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도로구간 및 위계에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통환경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는 무엇에 영향을 받는가? 교통환경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는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에 영향을 받으며, 해당 배출량은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통행량은 대상지역의 도로인프라 수준, 통행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는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대기질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지역의 공간적 특성(도로인프라 수준, 대중교통 접근성, 연령대별 비중 등), 통행자의 통행행태(통행발생률, 통행수단, 평균 통행거리 등) 등을 고려하여 정책 시행 전·후의 통행량 변화를 추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교통환경정책의 대기질 개선효과는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에 영향을 받으며, 해당 배출량은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통행량은 대상지역의 도로인프라 수준, 통행자의 사회경제적 특성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정책 시행에 따른 효과는 지역별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질 개선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대상지역의 공간적 특성(도로인프라 수준, 대중교통 접근성, 연령대별 비중 등), 통행자의 통행행태(통행발생률, 통행수단, 평균 통행거리 등) 등을 고려하여 정책 시행 전·후의 통행량 변화를 추정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교통환경정책의 효과척도로 대기질 개선효과를 검토해야 하는 이유는? 국내의 경우 교통 부문이 대기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으며1) 도로이동오염원인 자동차는 2030년 기준 약 2,500만대까지 증가하고(한국교통연구원, 2012), 자동차 중에서도 사회적 비용이 높은 미세먼지(PM10)와 질소산화물(NOX)2)의 배출 기여도가 높은 경유차의 비중이 최근 10년간 40% 수준을 유지한다는 점3) 등을 감안하면 교통환경정책의 효과척도로 대기질 개선효과를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Batterman S., Ganguly R., Isakov V., Burke J., Arunachalam S., Snyder M., Robins T., Lewis T. (2014), Dispersion Modelling of Traffic-Related Air Pollutant Exposures and Health Effects Among Children With Asthma in Detroit, Michigan, Transp Res Rec, 2452, 105-112. 

  2. Borrego C., Tchepel O., Barros N., Miranda A. I. (2000), Impact of Road Traffic Emissions on Air Quality of the Lisbon Region, Atmospheric Environment, 34, 4683-4690. 

  3. Borrego C., Tchepel O., Costa A. M., Amorim J. H., Miranda A. I. (2003),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ling of Lisbon air quality at local scale, Atmospheric Environment, 37, 5197-5205. 

  4. Choi K. C., Lee K. J., Ahn S. C. (2009), An Improvement of Bottom Up Approach for Estimating the Mobile Emission Level, J. Korean Soc. Transp., 27(4),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183-193. 

  5. Cook R., Isakov V., Touma J. S., Benjey W., Thurman J., Kinnee E., Ensley D. (2008), Resolving Local-Scale Emissions for Modeling Air Quality near Roadways,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8(3), 451-461. 

  6. EPA (2004a), AERMOD, Description of Model Formulation. 

  7. EPA (2004b), User's Guide for the AMS/EPA Regulatory Model-AERMOD. 

  8. EPA (2008), Emission and Air Quality Modeling Tools for Near-Roadway Applications. 

  9. EPA (2015), BenMAP-CE User's Manual. 

  10. Hatzopoulou M., Miller E. J. (2010), Linking an Activity-based Travel Demand Model With Traffic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s: Transport's Contribution to Air Pollution in Toronto,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5, 315-325. 

  11. Hu H. J., Barlow T., Lee Y. H., Cho H. J., Kim M. G. (2013), Developing a Roadside Air Quality Assessment Methodology Using Seoul Air Quality Monitoring Data, Seoul Studies, 14(2), 115-129. 

  12. James P., Ito K., Buonocore J. J., Levy J. I., Arcaya M. C. (2014), A Health Impact Assessment of Proposed Public Transit Service Cuts and Fare Increases in Boston Massachusetts,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1(8), 8010-8024. 

  13. Lee K. J., Choi K. C., Ryu S. K., Baek S. K. (2012), Development of O/D Based Mobile Emission Estimat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2(2D), 103-110. 

  14. Liu H., Chen X., Wang Y., Han S. (2013), Vehicle Emission and Near-Road Air Quality Modeling for Shanghai, China(Based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 From Taxis and Revised MOVES Emission Inventory),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340,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of the National Academies, Washington, D.C. 38-48. 

  15. Park J. H., Ko J. H. (2014), Comparing Methods for Apportioning Transport CO2 Emissions to Sub-Regional Areas in Seoul, Seoul City Research, 15(4), 65-78. 

  16. Park S. J., Kim H. G., Ju J. H. (2012), A Study of Long-Term Car Ownership in Korea,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17. Rader M. (2009), Health Impact Assessment on Policies Reducing Vehicle Miles Traveled in Oregon Metropolitan Areas, Upstream Public Health. 

  18. Ryu B. Y., Bae S. H. (2012),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in the Urban Area by Using Advanced Traffic Management Systems: Case study of Daejeon, Journal of Transport Research, 19(3), 119-134. 

  19. Yang C. H., Koo Y. S., Kim I. S., Sung J. G. (2013), Studies on the Methodology of a Hybrid Model for Emission Dispersion Analysis, J. Korean Soc. Transp., 31(2),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69-79. 

  20. Yang C. H., Yang I. C., Yoon C. J., Sung J. G. (2013), Impact Analysis of Air Quality Mobile Sources Using Microscopic Emission and Dispersio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oad Engineers, 15(4), 167-1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