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T-기반의 임신성 당뇨병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Needs for Development of IT-based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2 no.3, 2017년, pp.207 - 217  

한찬정 (가톨릭대학교 유헬스케어사업단) ,  임선영 (가톨릭대학교 유헬스케어사업단) ,  오은숙 (미즈메디병원 내분비내과) ,  최윤희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  윤건호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  이진희 (가톨릭대학교 유헬스케어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elf-management status, nutritional knowledge, barrier factors in dietary management and needs of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Methods: A total of 100 women with GDM were recruited from secondary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의 영양관리 현황, 영양 지식, 영양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임신성 당뇨병 영양관리를 위한 IT-기반의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대상으로 하여 대상자들의 자가관리 및 식습관 현황과 영양지식, 식생활 관리 시의 장애요인들을 파악하고, 영양정보 컨텐츠와 영양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조사 수행 결과 대상자들은 식사 및 운동요법, 영양교육 등 질병에 대한 관리를 실천하고 있었고, 이와 관련된 영양지식 정도도 높은 편이었으나 실제 식생활관리 시에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올바른 질병관리를 위해 다양한 영양정보 컨텐츠 및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를 위한 IT-기반의 영양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울 소재의 2차 병원과 3차 병원에 내원하는 임신성 당뇨병 임부 100명을 대상으로 대상자들의 자가관리 및 식습관 현황과 영양지식, 식생활 관리 시의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영양정보 컨텐츠와 영양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성 당뇨병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은? 임신성 당뇨병(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 중에 처음 발견되었거나, 발생한 내당능장애로 정의하고 있으며, 산모에게는 자간전증, 양수과다증, 분만 외상, 제왕절개술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태아에게는 거대아와 그로 인한 분만 손상, 견갑 난산 등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2]. 또한 임신성 당뇨병에 이환된 산모는 분만 이후 제 2 형 당뇨병 발생 및 임신성 당뇨병 재발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현실적으로 임신성 당뇨병 임부들이 식사요법으로 당뇨병을 관리하기 어려운 이유는? 식사요법은 임신성 당뇨병 관리의 기본으로[8], 임신성 당뇨병을 동반한 산모에서 산모와 태아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고혈당이나 과다한 체중증가 없이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공급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사의 섭취가 매우 중요하다[9-11]. 그러나 이러한 영양관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임신성 당뇨병 산모의 질병 관련 지식 정도는 매우 낮은 편이고[12], 일반 당뇨병과는 달리 분만 시 까지 3~4 개월의 집중적인 관리를 위해 짧은 시간 안에 모든 당뇨병 관리 내용을 숙지해야 한다는 부담감과 불안감 등을 느끼게 된다 [13, 14]. 또한 질병관리에 대한 실질적인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며[15], 가장 흔히 접하는 온라인 상의 정보 역시 비전문가에 의한 잘못된 지식 전달일 수 있고, 영양관리의 기본적인 개념이 배제된 특정 이슈에 대한 편향된 정보 전달이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 임신성 당뇨병에 대한 치료나 교육이 체계적, 지속적이지 않아 관리에 한계가 있으며[16] 특히, 단체 교육이나 1 회성 상담 이외에 전문가를 통한 지속적인 영양 관리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임신성 당뇨병의 정의는? 임신성 당뇨병(GDM;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은 임신 중에 처음 발견되었거나, 발생한 내당능장애로 정의하고 있으며, 산모에게는 자간전증, 양수과다증, 분만 외상, 제왕절개술의 빈도를 증가시키고, 태아에게는 거대아와 그로 인한 분만 손상, 견갑 난산 등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2]. 또한 임신성 당뇨병에 이환된 산모는 분만 이후 제 2 형 당뇨병 발생 및 임신성 당뇨병 재발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Metzger BE. Summary and recommendations of the third international workshop-conference on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1991; 40(S2): 197-201. 

  2. Paek YC, Oh MJ. Update in management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Korean J Perinatol 2009; 20(1): 6-16. 

  3. Jang HC. Gestational diabetes in Korea: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diabetes in women with previous gestational diabetes. Diabetes Metab J 2011; 35(1): 1-7. 

  4. Jang H, Jung K, Cho N, Metzger B.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 Korea: is universal screening necessary? Korean J Obstet Gynecol 1996; 39(39): 519-530. 

  5. Jang HC, Cho YM, Park KS, Kim SY, Lee HK, Kim MY et al. Pregnancy outcome in Korean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gnosed by the Carpenter-Coustan criteria. J Korean Diabetes Assoc 2004; 28(2): 122-130. 

  6. Koo YJ, Ryu HM, Yang JH, Lim JH, Lee JE, Kim MY et al. Pregnancy outcomes according to increasing maternal age. Taiwan J Obstet Gynecol 2012; 51(1): 60-65. 

  7. Di Cianni G, Volpe L, Lencioni C, Miccoli R, Cuccuru I, Ghio A et al.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gestational diabetes assessed by universal screening. Diabetes Res Clin Pract 2003; 62(2): 131-137. 

  8. Korean Diabetes Association. 2015 Treatment Guidelines for Diabetes. 1st ed. Seoul: Goldgihoek; 2015. p. 31-37. 

  9. Franz MJ, Bantle J, Beebe C, Brunzell J, Chiasson J, Garg A et al. Nutrition principles and recommendations in diabetes. Diabetes care 2004; 27(S1): S36-S46. 

  10. Gunderson EP. Gestational diabetes and nutritional recommendations. Curr Diabetes Rep 2004; 4(5): 377-386. 

  11. Petry CJ. Gestational diabetes: risk factors and recent advances in its genetics and treatment. Br J Nutr 2010; 104(6): 775-787. 

  12. Choi ES, Oh JA, Hur MH, Lee IS, Choi SY. The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about gestational diabetes in pregnant women. J Korean Acad Womens Health Nurs 2000; 6(1): 96-108. 

  13. Park JE. Effective education strategies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 Korean Diabetes 2012; 13(3): 148-151. 

  14. Daniells S, Grenyer BF, Davis WS, Coleman KJ, Burgess JAP, Moses RG.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003; 26(2): 385-389. 

  15. Hjelm K, Berntorp K, Frid A, Aberg A, Apelqvist J. Beliefs about health and illness in women managed for gestational diabetes in two organisations. Midwifery 2008; 24(2): 168-182. 

  16. Kim H.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integrated selfmanagement program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3; 17(1): 1-14. 

  17. Park SY, Yang YJ, Kim Y.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using a ubiquitous healthcare (u-Health) service on metabolic syndrome in male workers. Korean J Nutr 2011; 44(3): 231-242. 

  18. Nes AA, van Dulmen S, Eide E, Finset A, Kristjansdottir OB, Steen IS et al. The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a web-based intervention with diaries and situational feedback via smartphone to support self-management in patients with diabetes type 2. Diabetes Res Clin Pract 2012; 97(3): 385-393. 

  19. Han JS, Jeong JH. A web-based internet program for nutritional counseling and diet management of patient with diabetes mellitu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1): 114-122. 

  20. Park SY, Han JS. Effects of web-based nutrition counseling on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of type II diabetic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4): 430-439. 

  21. Kim YJ, Rhee SY, Byun JK, Park SY, Hong SM, Chin SO et al. A smartphone application significantly improved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with high user satisfaction. Diabetes Metab J 2015; 39(3): 207-217. 

  22. Park SY.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iabetes patients' knowledge, self-care behavior and the educational demand [master's thesis]. Sahmyook University; 2012. 

  23. Ahn Y, Bae J, Youn JE, Kim HS. Needs assessment for webbased self-management program by the nutrition knowledge levels of diabetic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1; 16(1): 155-168. 

  24. Choi KI.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diabetes, barrier and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of diabetic patients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0. 

  25. Gastrich MD, Peck S, Janevic T, Bachmann G, Lotwala N, Siyam A.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An educational opportunity. J Diabetes Nurs 2013; 17(6): 220-224. 

  26. Jun JE. A study on barriers and problem solving related to dietary therapy in diabetics mellitus patients [master's thesis]. Kyungwon University; 2008. 

  27. Ko JM, Lee JK. Effects of a coaching program on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for women with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Nurs 2014; 44(6): 672-681. 

  28. Lim HS, Chyun JH, Kim YS, Nam MS.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diabetic management in diabetic patients. Korean J Nutr 2001; 34(1): 69-78. 

  29. Park OJ. Effect of individual patient teaching through home visiting on compliance with sick role behavior in diabetic patients and duration of the effect of the teaching. J Nurs Acad Soc 1990; 20(2): 174-184. 

  30. Kim JH, Chang SA. Effect of diabetes education program on glycemic control and self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Korean Diabetes J 2009; 33(6): 518-525. 

  31. Bi Y, Zhu D, Cheng J, Zhu Y, Xu N, Cui S et al. The status of glycemic control: a cross-sectional study of out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cross primary,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s in the Jiangsu province of China. Clin Ther 2010; 32(5): 973-983. 

  32. Lim DJ, Kwon HS, Kim HS, Lee JH, Ko SH, Lee JM et al.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abetic patients managed at the different medic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Korean J Med 2006; 71(2): 173-18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