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 상사 신뢰, 조직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eaders'communication pattern, followers' trust in lead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18 no.2, 2017년, pp.23 - 43  

신혜영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영학) ,  권상집 (동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mmunication pattern of leader, followers' trust in leade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innovative behavior. In order to analyze hypotheses, the survey was colle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 to 250 workers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각의 논리를 바탕으로 수립한 가설을 토대로 본 연구는 와 같은 연구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증 분석을 통해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정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 선행 연구에서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상사 신뢰는 조직유효성 및 조직성과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기되었다(박준철, 홍순복, 2007). 그러나 본 연구는 상사 신뢰가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연구결과로 제시하고 있다. 선행 연구에서 상사 신뢰가 조직성과와 직무태도, 지식공 유에 항상 정(+)의 영향을 준다는 점을 간주할 때(권상 집, 정지용, 2016; 조현구, 최은수, 2015; Dirks & Ferrin, 2001) 본 연구는 상사 신뢰가 상반된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제기, 기존 연구 대비 차별성을 지닌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을 보다 세분화하여 리더의 다양한 의사소통 유형이 조직 구성원들이 느끼는 상사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상사 신뢰에 따라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 고찰한 주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직 내 리더의 올바른 의사소통 행태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고찰하여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상사 신뢰의 향상을 위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 유도를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전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리더가 조직 구성원과 의사소통할 때의 유형이 실제로 상사 신뢰와 조직몰입, 혁신행동과 상호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학문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지만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한계 역시 보이고 있는 바, 향후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보완이 필요하다.
  • 그러나 기존 연구는 아직 리더가 의사소통을 어떤 유형으로 활용하느냐에 따라 구성원들의 상사 신뢰 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체계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권상집, 2017). 본 연구는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 중 우호적 의사소통과 독단적 의사소통 방식이 구성원들의 상사 신뢰에 서로 상반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에 관한 기존 연구 영역을 새롭게 확장하는 데 기여했다.
  • 본 연구는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이 상사 신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점검하고 이어서 상사 신뢰와 조직 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국내 대구/경북 지역에 있는 중소기업 구성원 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들 변인들 간의 영향 관계와 관련된 연구결과 내용을 간략히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 Reece and Brandt(1984)는 해당 기준을 토대로 독단성과 사교성의 높고 낮은 수준의 상호 결합에 의해 의사소통 유형을 감정형(Emotive style), 지휘형(Directive style), 지원형(Supportive style), 사려형(Reflective style) 등 네 가지 요소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이 도식화했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 유형과 관련된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활용된 이들 유형을 토대로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이 미치는 영향을 보다 깊이 있게 분석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을 보다 세분화하여 리더의 다양한 의사소통 유형이 조직 구성원들이 느끼는 상사 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상사 신뢰에 따라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 고찰한 주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직 내 리더의 올바른 의사소통 행태를 위한 실질적 방안을 고찰하여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상사 신뢰의 향상을 위한 전략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조직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 유도를 모색하기 위한 시사점을 전달하고자 한다.
  •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불거진 리더의 폭언과 억압이 왜 문제인지, 그리고 리더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구성원들이 지각하는 상사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명확히 이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상사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면 구성원들의 조직몰입 및 혁신행동 등을 보다 원활히 유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조직을 구현하기 위해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과 구성원들이 느끼는 상사 신뢰, 그리고 구성원들의 업무와 관련된 대표적 행동인 조직몰입과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보다 상세히 밝히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감정형 의사소통은 상사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 지휘형 의사소통은 상사 신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 지원형 의사소통은 상사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 사려형 의사소통은 상사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상사 신뢰는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상사 신뢰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조직몰입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더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미치는 영향은? 지속가능한 기업 경영의 대전제인 경영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으로부터 기업의 목표 달성에 일조하게 되는 협력의도 및 동기를 이끌어내어 야만 한다. 이 때, 리더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상사에 대한 신뢰를 높이 형성시키고 더 나아가 조직에 대한 열정적인 몰입과 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효과적인 촉매제로 작용될 수 있다(Watson, 2008).
기업에서의 의사소통이란? 일반적으로 기업에서의 의사소통이란 개인 목표를 조직의 목표로 수렴하여 통합시켜가는 하나의 도구로서, 구성원 간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고 조직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원활하게 기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속가능한 기업 경영의 대전제인 경영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으로부터 기업의 목표 달성에 일조하게 되는 협력의도 및 동기를 이끌어내어 야만 한다.
리더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리더의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비단 어제 오늘의 일도 아니고 경력직 구성원들에게만 해당되는 문제도 아니 다. 일례로, 최근 사회적 이슈로 등장한 취업 문제의 실상에도 불구하고 어렵게 취업을 했으면서도 의외로 조직에 적응 내지 몰입하지 못하고 입사 초기에 이직하는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추세이다. 한 가지 눈길을 끄는 사안으로는, 입사한지 1년 이내에 퇴사하는 비율이 대기업의 경우(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권상집(2016),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지식공유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 지식경영연구 (17:1), pp. 91-111. 

  2. 권상집(2017), "리더의 의사소통 유형이 직무성과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8:1), pp. 25-47. 

  3. 권상집, 정지용(2016), "진성 리더십, 상사 신뢰, 심리적 웰빙, 지식공유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지식경영연구 (17:4), pp. 1-26. 

  4. 권정언, 권상집(2015), "임파워링 리더십과 혁신 행위 간에 미치는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기업교육연구 (17:1), pp. 83-103. 

  5. 권정언, 우형록(2015), "팀의 양면적 활동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탐색, 활용의 균형과 조합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44:2), pp. 431-458. 

  6. 권정언, 우형록(2016), "창의적 성과를 제고하는 조직 양면성 구현양식에 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17:2), pp. 51-73. 

  7. 김성은(2010). 리더의 감성지능, 조직공정성 신뢰와 조직유효성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신뢰의 인지적, 정서적 접근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박준철, 홍순복(2007), "세무공무원의 의사결정 참여, 상사신뢰, 성과 피드백이 조직몰입과 직무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인적자원관리연구 (14:4), pp. 171-183. 

  9. 백승우(2012), "지역농협 종사자의 커뮤니케이션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관계 연구", 농업경영정책연구 (39:4), pp. 663-690. 

  10. 송병식(2006), "카리스마 리더십과 도전적 직무 동기 및 혁신행동 간의 관계와 리더신뢰와 혁신 분위기의 조절효과", 경영사학 (41), pp. 187-210. 

  11. 송운석, 김진해(2009), "조직/상사 신뢰와 혁신 행동의 관계: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와 동료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587-603. 

  12. 송정수, 이규용(2008), "상사 신뢰와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조직몰입, 서비스 품질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9:4), pp. 35-60. 

  13. 윤대균, 장병주(2005),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리더 효과에 미치는 영향: 호텔기업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20:1), pp. 137-153. 

  14. 이전희, 문형구, 김경민(2011), "군 조직에서 리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부하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4), pp. 739-758. 

  15. 여영숙, 정성채(2010), "직속상사와의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환경이 호텔 종사원의 정서조절 행위에 미치는 영향", 관광학연구 (34:2), pp. 143-166. 

  16. 조현구, 최은수(2015), "평생교육기관 경영자의 서번트 리더십, 상사신뢰, 구성원의 직무태도, 조직성과 간의 구조적 관계", 기업교육연구 (17:2), pp. 31-57. 

  17. 탁진국, 이동하, 박지현, 김현해, 정병석(2008), "신입사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환경 변수에 관한 연구", 응용통계연구 (21:3), pp. 469-484. 

  18. 허명숙, 천면중(2016), "구성원의 지식 심리적 주인의식과 지식공유 거부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구성원의 동기요인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7:2), pp. 103-130. 

  19. Bagozzi, R. P., and Yi, Y.(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Marketing Science (7), pp. 74-94. 

  20. Brewer, E. W., and Clippard, L. F.(2002),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student support services personnel",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 (13), pp. 169-186. 

  21. Brower, H. H., Lester, S. W., Korsgaard, M. A., and Dineen, B. R.(2009), "A cluster loot at trust between managers and subordinates: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both trusting and being trusted on subordinate outcomes", Journal of Management (35), pp. 327-347. 

  22. Browne, M. W., and Cudeck, R.(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A, Long J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age, Newbury Park, pp.136-162. 

  23. Deluga, R. J.(1995), "The relation between trust in the supervisor and subordinat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ilitary Psychology (7), pp. 1-16. 

  24. Dirks, K. T., and Ferrin, D L.(2001), "The role of trust in organizational setting", Organization Science (12), pp. 45-467. 

  25. Dirks, K. T., and Ferrin, D. L.(2002), "Trust in leadership: Meta-analytic findings and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7), pp. 611-628. 

  26. Fornell, C., and Larc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pp. 39-50. 

  27. Foss, N. J., Minbaeva, D. B., Pedersen, T., and Reinholt, M.(2009), "Encouraging knowledge sharing among employees: How job design matters", Human Resource Management (48), pp. 871-893. 

  28. Gong, Y., Hua ng, J. C., and Farh , J. L.(2009), "Employee learning orien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e self-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 pp. 765-778. 

  29. Hamel, G.(2009), "Moon shots for management", Harvard Business Review (87), pp. 91-98. 

  30. Holbert, R. L., and Stephenson, M. T.(200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the communication sciences 1995-2000",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28), pp. 531-551. 

  31. Kanter, R. M.(1988),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i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 B. M. Staw & L. L. Cummings (eds.), 169-211, Greenwich, CT: JAI Press. 

  32. Konovsky, M. A., and Pugh, S. D.(1994), "Citizenship behavior and social exchang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pp. 656-669. 

  33. Kottler, J. A.(2010), On being a therapist, Sanfrancisco, CA: John Wiley & Sons. 

  34. Kwon, S. J., Park, E., and Kim, K. J.(2014), "What drives successful social networking services? A comparative analysis of user acceptance of Facebook and Twitter", The Social Science Journal (51), pp. 534-544. 

  35. Kwon, S. J., Park, E., Ohm, J., and Yoo, K.(2015),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creation of new employment: An empirical assessment of South Korea's manufacturing industry", Social Science Information (54), pp. 354-368. 

  36. Lewicki, R. J., and Bunker, B. B.(1995), Trust in relationships: A model of development and decline, In B. B. Bunker & J. Z. Rubin (eds.), Conflict, cooperation, and justice: Essays inspired by the work of morton Deutsch, San Francisco: Jossey-Bass. 

  37. Luthans, F., Norman, S. M., Avolio, B. J., and Avey, J. B.(2008),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upportive organizational climate, employee performance relation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9), pp. 219-238. 

  38. Maslach, C., and Leiter, M. P.(2008), "Early predictors of job burnout and engagemen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3), pp. 498-512. 

  39. Mayer, R. C., Davis, J. H., and Schoorman, F. D.(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pp. 709-734. 

  40. Mayer, R. C., and Gavin, M. B.(2005), "Trust in management and performance: Who minds the shop while the employees watch the bos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 pp. 874-888. 

  41. Mishra, A. K.(1996), Organization responses to crisis: The centrality of trust, in Kramer, R. M., & Tyler, T. R. Trust in organizations, Sage Publications. 

  42. Mowday, R. T., Porter, L. W., and Steers, R , M.(1982), Employee - 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Y: Academic Press. 

  43. Mueller, B. K., and Lee, J.(2002), "Leadermember ex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in multiple contexts", Journal of Business Communication (39), pp. 220-244. 

  44. Norton, R. W.(1978), "Foundation of a communication style construc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 pp. 99-112. 

  45. Nunnally, J. C., and Bernstein, I. H.(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ition, New York: McGraw-Hill. 

  46. Nyhan, R. C.(2007), "Changing the paradigm: Trust and its role in public sector an organizations", American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30), pp. 87-109. 

  47. Oh, I. S., Kim, S., and Van Iddekinge, C. H.(2015), "Taking it to another level: Do personality-based human capital resources matter to firm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100), pp. 935-947. 

  48. Oldham, G. R., and Cummings, A.(1996),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 pp. 607-634. 

  49.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and Fetter, R.(1990),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Leadership Quarterly (1), pp. 107-142. 

  50. Reece, B. L., and Brandt, R.(1984), Effective human relations in organizations,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51. Russell, R. F.(2001), "The role of values in ser vant leadership", Leadership &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22), pp. 76-83. 

  52. Scott, S. G., and Bruce, R. A.(1994), "Determinants of innovative behaviors: A path model of individual innovation in the workpla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7), pp. 580-607. 

  53. Street, R. L. Jr.(1988), Communication style: Considerations for measuring consistency, reciprocity, and compensation, In C. H. Tardy (Ed.), A handbook for the study of human communication: Methods and instruments for observing, measuring, and assessing communication process,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Norwood, 139-161. 

  54. Van de Ven, A.(1986), "Central problems in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Management Science (32), pp. 590-607. 

  55. Wagner, S. L., and Rush, M. C.(2000), "A ltruistic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text, disposition, and ag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 pp. 379-391. 

  56. Watson, T.(2008), Secrets of top performers: How companies with highly effective employee communication differentiate themselves, Communication ROI Study Washington, DC. 

  57. West, A., and Farr, J. L.(1989), Innovation at work, West, M. A. & Farr, J. L. (eds.), Innovati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New York, John Wiley & Sons, 3-13. 

  58. Williams, K. C., and Spiro, R. L.(1985), "Communication style in the salespersoncustomer dyad",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2), pp. 434-44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