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4, 2017년, pp.663 - 690  

정영옥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감각 중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독일, 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간 방향 요인과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지도 학년과 학년별 내용, 위치, 방향, 좌표, 경로, 거리의 공간 방향 요소와 요소별 내용과 현실 맥락을 중심으로 국가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이론적 고찰과 교과서 비교 분석 결과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교육과정에 공간 방향 내용과 기간 확장 및 고학년의 공간 방향 지도 강화, 공간 방향 내용 요소에 대한 기본적인 경험 제공, 학생들 주변의 친숙하고 현실적인 맥락 활용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meaning and sub-factors of spatial orientation, compare and analyze mathematics curriculums and textbooks of several countries with respect to spatial orientation and offer suggestions to improve teaching spatial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간 방향에 관한 선행 연구는 공간 감각에 관한 선행 연구들에서 일부 찾아볼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공간 감각에 관련된 연구를 크게 학생들의 공간 감각 관련 지도 내용 분석에 대한 연구, 공간 감각 능력 실태 조사에 대한 연구, 공간 감각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연구들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공간 감각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공간 시각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위에서 살펴본 공간 방향을 고려한 연구의 경우에도 구조 감각과 관련된 연구는 있지만, 방향 감각, 좌표 감각, 거리 감각과 관련된 위치, 방향, 좌표, 경로, 거리의 공간 방향 내용 요소에 대해서는 많이 다루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된 위치와 방향을 포함한 공간 방향과 관련해서 다른 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는 어떤 내용들을 포함하여 다루고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앞으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감각과 공간 방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독일, 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또한 미국의 경우 CCSM(CCSSI, 2010)에서는 K학년에 모양 인식과 기술-주변의 대상 들의 상대적 위치를 위, 아래, 옆, 앞, 뒤, 가까이와 같은 용어로 기술, 5학년에 좌표평면에 점 나타내기를 활용한 문제해결, 6학년에 다각형을 좌표평면 위에 표현하기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NCTM(2007) 규준과 비교해 보면, 공간 방향에 대한 내용이 다소 간략해진 듯하나 문제해결이라는 표현이 매우 광범위한 뜻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을 교육과정에서 파악하기는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방향과 관련해서 좀 더 명확하게 기술하고 있고, 분석할 교과서 또한 NCTM을 근거로 만들어진 교과서이기 때문에 NCTM에서 제안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 이는 공간의 대상을 위, 앞, 옆이나 동서남북 등 다양한 위치나 방향에서 바라본 모양을 인식하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영옥(2017)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입체도형의 공간감각, 즉 쌓기나무로 쌓은 모양이나 공간의 대상을 위, 앞, 옆 등 다양한 방향에서 본 모양을 다룰 때 더 필요한 능력이고, 다른 나라 교과서에서는 우리나라의 입체도형의 공간감각과 관련된 단원들에서 다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 방향의 요인 중 구조 감각을 제외하고, 방향 감각, 좌표 감각, 거리 감각을 중심으로 생각하고자 한다. 또한 방향 감각에서는 전후, 좌우, 상하와 관련된 위치, 동서남북의 4방위나 8방위와 관련된 방향, 좌표 감각에서는 지도 체계와 좌표 체계에서의 좌표와 이동 경로, 거리 감각에서는 지도 체계와 좌표 체계에서의 거리와 축척에 초점을 맞추고, 이런 공간 방향 내용 요소를 위치, 방향, 좌표, 경로, 거리로 간략히 표현하여, 이 요소들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미국, 독일 교과서를 분석하고자 한다.
  • 교육과정 비교 분석을 통해 국가별로 공간 방향과 관련된 개략적인 내용을 파악할 수는 있지만, 실제적으로 어느 학년에 어떤 내용을 어떤 활동을 통해 지도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따라서 이 절에서는 국가별 교과서의 공간 방향 관련 지도 학년과 학년별 단원의 공간 방향 관련 내용들을 간략하게 개관하고, 공간 방향 관련 요소들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 ’ 등의 설명과 함께 방위를 알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고, 운동장에 그려진 방위표시를 살펴보고, 그림 장면에 있는 바람, 강, 트럭이 가는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자신들의 학교에 대한 스케치와 방위를 다룬다. 또한 [그림 IV-15]와 같이 NeuSchwanstein성의 평면도와 방위, 여러 방향에서 찍은 사진들을 제시하고 어느 방향에서 찍은 것인지 알아본다.
  • 본 연구는 공간 방향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더불어 실제 외국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의 내용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의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분석 관점으로 첫째, 공간 방향과 관련해서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지도 학년(군)과 학년별 내용을 개관하고, 둘째, 공간 방향 요인과 관련해서 방향 감각, 좌표 감각, 거리 감각 요인의 공간 방향 내용 요소별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고, 셋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 내용 요소를 학습하는 데 사용되는 현실 맥락을 분석한다.
  • 공간 감각의 요인은 연구자들마다 분류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McGee(1979)는 이전의 공간 감각과 관련된 요인 분석 연구들을 종합하면서, 공간 감각은 공간 방향과 공간 시각화의 서로 다른 두 가지 능력으로 구성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cGee의 관점을 따라 공간 감각을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으로 구분하고, 국내외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공간 방향의 의미와 하위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종합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 감각에서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의 의미와 하위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핀란드, 미국, 독일의 공간 방향 관련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공간 방향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의 관점을 바탕으로 공간 방향을 공간에서 자기 자신과 여러 가지 대상의 상대적 위치와 거리 관계를 이해하고, 공간에서 위치, 방향, 거리를 알고 공간에서 이동해 가는 경로를 아는 능력(조영선·정영옥, 2012; Clements, 1999; McGee, 1979; Tatre, 1990b)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외국의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공간 방향과 관련된 내용을 다루는 학년과 학년별 구체적인 내용 요소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7개 국가를 선정하였다. 동양권에서는 싱가포르, 일본, 중국, 홍콩, 서양권에서는 핀란드, 미국, 독일을 선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연구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공간 방향의 하위 요인을 방향 감각, 좌표 감각, 거리 감각, 구조 감각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구분한 하위 요인별로 여러 연구자들의 요인을 재분류하면 <표 II-1>과 같다.
  • 이 절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전반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국가별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 내용 요소별로 방향 감각의 위치, 방향, 좌표 감각의 좌표와 경로 및 거리 감각의 거리와 관련하여 어떤 내용과 맥락을 다루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좌표 감각과 거리 감각에 해당하는 좌표, 경로, 거리 요소는 교과서에서 한 맥락 내에서 함께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 이 절에서는 앞에서 살펴본 전반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국가별로 다루고 있는 공간 방향 내용 요소별로 방향 감각의 위치, 방향, 좌표 감각의 좌표와 경로 및 거리 감각의 거리와 관련하여 어떤 내용과 맥락을 다루고 있는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 때 좌표 감각과 거리 감각에 해당하는 좌표, 경로, 거리 요소는 교과서에서 한 맥락 내에서 함께 다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함께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 감각은 무엇인가? 공간 감각은 “자기 주위의 상황과 물체에 대한 직관적인 느낌”(NCTM, 1992, p. 75)이라 할 수 있으며, McGee(1979)에 의하면 공간 감각은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으로 구성된다.
공간 감각을 구성하는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은 무엇인가? 75)이라 할 수 있으며, McGee(1979)에 의하면 공간 감각은 공간 시각화와 공간 방향으로 구성된다. 공간 시각화는 공간의 대상, 관계, 변환에 대한 정신적 표상을 구성하고 조작하는 능력(조영선ㆍ정영옥, 2012; Clements, 1999)을 의미하고, 공간 방향은 공간에서의 위치, 방향, 거리나 이동 경로를 아는 능력(조영선ㆍ정영옥, 2012; Clements, 1999)을 의미한다. NCTM(2007)에서는 기하 영역의 기하 규준에서 첫째, 2차원과 3차원 도형의 특징과 성질을 분석하고, 기하 관계에 대해 수학적으로 논쟁할 수 있으며, 둘째, 좌표 기하와 다른 표현 체계를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공간적 관계를 기술할 수 있고, 셋째, 수학적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변환을 적용하고 대칭을 활용할 수 있고, 넷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각화, 공간적 추론, 기하 모델링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공간 감각의 내용을 포함시키고 있다.
기하를 가르칠 때의 두 가지 관점은 무엇인가? 공간 감각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도형 영역의 내용이다. 기하를 가르치는 데는 두 가지 관점이 있는데, 하나는 기하를 공간에 대한 탐색으로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기하를 논리적 체계로 보는 것이다(Hershkowitz, 1990). 논리적 체계는 공간에 대한 탐색을 통해 얻은 결과물이고, 공간에 대한 탐색은 이러한 논리적 체계를 통해 좀 더 깊이 있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두 측면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2)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2. 교육부 (199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8].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3.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4. 교육부 (2017). 수학 2-1. 서울(주): 천재교육. 

  5. 교육 인적 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 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8]. 

  6. 구자옥.김성숙.이혜원.조성민.박혜영 (2016).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5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6-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 김경희.시기라.김미영.옥현진.임해미.김선희.정종.정지영.박희재 (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PISA 2009)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 2010-4-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김수진.박지현.김현경.진의남.이명진.김지영.안윤경.서지희 (2012).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1 결과보고서. 연구보고 RRE-2012-4-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김양원 (2016).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쌓기나무 학습이 공간감각, 성취도,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광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유경.방정숙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공간감각과 공간추론능력 실태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9(3), 353-373. 

  11. 김현수 (2010). 한국 교과서와 네덜란드 교과서의 공간감각 영역 비교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류현아 (2008). 중등 기하문제 해결에서 시각화와 추론과정.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상경아.곽영순.박지현.박상욱 (2016).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TIMSS 2015 결과 분석. 연구보고 RRE 2016-15-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송미영.임해미.최혁준.박혜영.손수경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연구보고 RRE-2013-6-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5. 윤명숙 (2006).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 쌓기나무 활동 지도를 통한 공간감각 신장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미경.조지민.박선화.김경희.시기자.최성연.최길찬 (2005). PISA 2003 결과 심층 분석 연수-문제해결 소양과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학교 효과를 중심으로-. RRE 2005-2-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7. 이종영 (2005). 초등학교에서 지도하는 공간 감각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7(3), 269-286. 

  18. 장혜원 (2016). 2015 개정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의 변화 내용에 대한 종적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215-238. 

  19. 정영옥 (2004). 초등학교 쌓기나무 단원 지도 방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7(2), 75-101. 

  20. 정영옥 (2017). 입체도형의 공간 감각 지도에 대한 논의.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1(1), 161-194. 

  21. 조영선.정영옥 (2012). 초등학생들의 공간 감각 실태 조사-4, 5, 6학년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3), 359-388. 

  22. 최경숙.백석윤 (2004). 공간 감각 관련 지도내용 계열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8(1), 63-87. 

  23. 태혜경 (2001). 큐브(쌓기나무)를 활용한 학습이 중학생의 공간시각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한기완 (2002). 초등학교 수학에서 공간 감각 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盧江楊剛外. (2015a). 數學一年級上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26. 盧江楊剛外. (2015b). 數學三年級下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27. 盧江楊剛外. (2015c). 數學四年級下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28. 盧江楊剛外. (2015d). 數學五年級下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29. 盧江楊剛外. (2015e). 數學六年級上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30. 盧江楊剛外. (2015f). 數學六年級下冊. 北京: 人民敎育出版社. 

  31. 文部科學省 (2008). 小學校學習指導要領解說- 數學編. 文部科學省. http://ncic.kice.re.kr. 

  32. 藤井?亮?飯高外. (2011a). あたらしいさんすう1. 東京: 東京書籍. 

  33. 藤井?亮?飯高外. (2011b). 新しい算數3上. 東京: 東京書籍. 

  34. 藤井?亮?飯高外. (2011c). 新しい算數4下. 東京: 東京書籍. 

  35. 中化人民共和國?育部 (2011). 義務?育數學課程?准. 北京: 北京師范大學出版杜. http://edu.qq.com/a/20120202/000094.htm. 

  36. Affolter, W., Amstad, H., Doebeli, M., & Wieland, G. (2008). Das Mathematikbuch 5. Stuttgart: Ernst Klett Verlag GmbH. 

  37. Bell, M., Dillard, A., Pitvorec, K., Bell, J., Hartfield, R., Saecker, P., & Bretzlauf, J., Isaacs, A., Dairyko, M. E., McBride, J. (2007a). Everyday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Mathematics Project. Student Math Journal Volume 2 Grade 3. Chicago: Wright Group/McGraw-Hill. 

  38. Bell, M., Isaacs, A., Balfanz, R., Bretzlauf, J., McBride, J., Carroll, W., Dillard, A., Pitvorec, K., Sconiers, S., Hartfield, R., Saecker, P. (2007b). Everyday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Mathematics Project. Student Math Journal Volume 1 Grade 4. Chicago: Wright Group/McGraw-Hill. 

  39. Bell, M., Isaacs, A., Balfanz, R., Bretzlauf, J., McBride, J., Carroll, W., Dillard, A., Pitvorec, K., Sconiers, S., Hartfield, R., Saecker, P. (2007c). Everyday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Mathematics Project. Student Math Journal Volume 2 Grade 4. Chicago: Wright Group/McGraw-Hill. 

  40.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McBride, J., Pitvorec, K., Saecker, P., Winningham, N., Balfanz, R., & Carroll, W. (2007d). Everyday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Mathematics Project. Student Math Journal Volume 2 Grade 5. Chicago: Wright Group/McGraw-Hill. 

  41. Bell, M., Bretzlauf, J., Dillard, A., Hartfield, R., Isaacs, A., McBride, J., McCarty, A., Pitvorec, K., Saecker, P., Balfanz, R., & Carroll, W. (2007e). Everyday Mathematics. The University of Chicago School Mathematics Project. Student Math Journal Volume 1 Grade 6. Chicago: Wright Group/McGraw-Hill. 

  42. Bishop, A. J. (1980). Spatial abilities and mathematics education-a review.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1, 257-269. 

  43. Clements, D. H. (1999). Geometric and spatial thinking in young children. In V. C. Juanita(Ed.), Mathematics in the early years (pp. 66-79).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44. Clements, D. H. & Battista, M. B. (1992). Geometry and spatial reasoning. In A. G. Dougla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420-464).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45. Common Core State Standards Initiative(2010). Common Core Standards for Mathematics. http://www.corestandards.org/wp-content/uploads/Math_Standards.pdf. 

  46. Curriculum Development Council (2002). Mathematics Education. Key Learning Area Curriculum Guide (Primary 1-Secondary 3). Hong Kong. http://www/edb.gov.hk/en/curriculumdevelopment/kla/ma/curr/basic-education-2002.html. 

  47. Del Grande, J. J. (1990). Spatial sense. Arithmetic Teacher, 37, 14-20. 

  48. Finnish National Agency for Education(FNAE) (2004). National core curriculum 2004. http://www.oph.fi/download/47672_core_curricula _basic_education_3.pdf. 

  49. Fong, H. K., Gan, K. S., & Chelvi, R. (2016). My pals are here! Maths 4A. Singapore: Marshall Cavendish Education. 

  50. Gutierrez, A. (1996). Children's ability for using different plane representations of space figures. New Directions in Geometry Education, 33-42. 

  51. Hershkowitz, R. (1990). Psychological aspect of learning geometry. In P. Nesher, & J. Kilpatrick (Eds.), Mathematics and cognition (pp. 70-95). Cambridge, UK: University Press. 

  52. Kennedy, L. M., Tipps, S., & Johnson, A. (2004). Guiding children's learning of mathematics. Belmont: Wadsworth. 

  53. Lee, M. K., Sohn, W. S., & No, Y. K. (2008). The Results from PISA 2006. Research Paper RRE 2008-10.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54.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918. 

  55. Ministerium fur Schule und Weiterbildungdes Landes Nordrhein-Westfalen(2007). Kernlehrplan fur das Gymnasium-Sekundarstufe 1(G8) in Nordrhein-Westfalen Mathematik. https://www.schulentwicklung.nrw.de/lehrplaene/. 

  56. Ministerium fur Schule und Weiterbildungdes Landes Nordrhein-Westfalen(2012). Richtlinien und Lehrplane fur die Grundschule in Nordrhein-Westfalen. https://www.schulentwicklung.nrw.de/lehrplaene/. 

  57. Ministry of Education SINGAPORE (2007). Mathematics Primary Syllabus. https://www.moe.gov.sg/docs/default-source/document/education/syllabuses/sciences/files/2007-mathematics-(primary)-syllabus.pdf. 

  58.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2). 수학교육과정과 평가의 새로운 방향. (구광조, 오병승, 류희찬,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1989년 출판). 

  5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0년 출판). 

  60. Pan Lloyds Publishers(2012). Effective Steps to Mathematics. Tsuen Wan, N. T.: Pan Lloyds Publishers. 

  61. Tartre, L. A. (1990a). Spatial orientation skill and mathematics problem solv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1(3), 216-229. 

  62. Tatre, L. A. (1990b). Spatial skills, gender, and mathematics. In Fennema, E. & Leder, G. (Eds.), Mathematics and gender: Influences on teachers and students (pp. 27-59).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63. Wittmann, E. Ch, & Muller, G. N. (2014a). Das Zahlenbuch 1. Stuttgart: Ernst Klett Verlag GmbH. 

  64. Wittmann, E. Ch, & Muller, G. N. (2014b). Das Zahlenbuch 2. Stuttgart: Ernst Klett Verlag GmbH. 

  65. Wittmann, E. Ch, & Muller, G. N. (2014c). Das Zahlenbuch 3. Stuttgart: Ernst Klett Verlag GmbH. 

  66. Wittmann, E. Ch, & Muller, G. N. (2014d). Das Zahlenbuch 4. Stuttgart: Ernst Klett Verlag GmbH. 

  67. WSOY(2012a).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2-2. 황윤희.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68. WSOY(2012b).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4-1. 양재욱.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69. WSOY(2012c).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4-2. 양재욱.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70. WSOY(2012d).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5-1. 문보람.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71. WSOY(2012e).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5-2. 문보람.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72. WSOY(2012f). 핀란드 초등 수학교과서 Laskutaito 6-2. 이영석.도영 역. 서울: 솔빛길출판사.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