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과 -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Promot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Based on Idiocentrism and Allocentris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7 no.3, 2017년, pp.395 - 405  

고연주 (이화여자대학교) ,  이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과학관련 사회쟁점(SSI)을 활용한 교육이 과학교과에서 가능한 인성교육의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에 근거하여 SSI 교육이 대학생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이 개인적 성향을 나타내는 심리학적 구인과 관련 있음을 고려하여 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SSI 교육효과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본 연구는 SSI를 주제로 한 교양강의를 수강한 대학생 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업은 학생들이 다섯 가지 주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을 탐색한 후 자신의 의견을 표명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개인주의-집단주의 검사지를 활용하여 성향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학생을 개인중심성향집단과 집단중심성향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수업 전후 과학과 관련된 인성 및 가치관 검사를 실시함으로써 SSI 교육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와 집단 간 인성과 가치관 향상의 차이를 탐색해보았다. 연구결과,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SSI 수업 후 사회 도덕적 공감과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 두 집단 간 향상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집단중심성향은 개인중심성향에 비해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책무성의 사후 평균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결과는 인성과 가치관 함양을 가로막는 역할을 할 수 있는 개개인의 성향의 영향력을 넘어 교육을 통해 인성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과학교과에서 활용할 수 있는 SSI를 통한 인성교육이 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struction on promot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as citizens, and to compare the effects based on the psychological factor - idiocentrism and allocentrism. Thirty-one college students who enrolled in the SSI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x2 검정을 실시한 결과 x2=260.714 (df=188, p<.001)로 모형이 적합하다는 영가설이 기각되었으나, 이는 표본 수에 민감하므로 다른 모형적합도 지수를 통하여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 이때 본 연구에서 초점을 두고자하는 것은 개인중심성향집단과 집단중심성향집단에 나타난 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므로, 성향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중간집단을 제외하고 개인중심성향집단과 집단중심성향집단을 성향의 두 수준으로 두었다. 더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당 검정에서의 효과크기를 함께 보고함으로써 두 집단의 차이가 어느 수준으로 효과적인지에 대한 논의하고자 하였다. Cohen(1988)은 d가 .
  • Kenny(1979)는 하나의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의 개수(지표변수, indicator)와 관련하여, 2문항도 허용할 만하나(fine) 각 요인을 구성하는 지표변수가 3개일 때 더욱 낫고(better), 4개로 구성되는 것이 최선(best)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CVGCA를 구성하는 각 영역을 측정하는 문항이 3개 이상이 되도록 문항을 추가함으로써,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인성 및 가치관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SSI 수업이 대학생의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하고, 해당 효과가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은 SSI 수업 후 과학과 관련된 사회문제가 여러 도덕적, 윤리적 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인식하게 되는 동시에, 문제를 둘러싼 다양한 입장의 사람들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게 되었다.
  • , 2016)를 고려해볼 때, 개인의 성향에 따라 SSI 교육의 효과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성향을 나타내는 심리학적 구인인 개인의 가치지향성, 즉 개인중심성향(idiocentrism)과 집단중심성향(allocentrism)에 초점을 두고, 개인의 성향에 따른 교육적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대학생을 대상으로 SSI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후,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에 따라 SSI 교육을 통한 인성과 가치관의 발달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첫 3주간은 과학⋅기술⋅사회의 상호연관성, 과학의 본성에 대한 강의를 진행함으로써 SSI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2-3주마다 새로운 SSI 주제에 대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성인학습자의 삶과 관련된 SSI 수업을 구성하기 위해 최근에 개봉한 공상과학영화와 관련된 내용이거나 뉴스 등 미디어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SSI 주제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기후변화, 나노기술, 안락사, 맞춤아기, 식품첨가물의 다섯 주제가 선정되었다.
  • 개인중심성향집단과 집단중심성향집단 각각에서 SSI 수업을 통해 향상된 인성과 가치관 요인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탐색하고자 대응 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이는 집단 간 향상 양상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봄으로써 각 성향집단에서 특히 향상된 부분을 파악하여 추후 수업에서 강조해야할 부분을 마련하고자 함이었다. 개인중심성향의 경우, 사회⋅도덕적 공감 영역과 전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있었다(p<.
  • 이들은 문화권의 비교에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의 용어를, 개인 간의 성향비교에는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의 용어를 이용할 것을 권장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를 개인적 성향을 이해하는 틀로서 사용하고자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의 용어를 이용하고자 한다.
  • 교수자는 과학교육학 박사를 취득한 후 해당 대학에서 SSI를 소재로 한 교양수업을 진행해왔으며, 현직 중학교 교사로서 중학교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SSI 수업을 다년 간 진행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해당 수업과 관련하여 소집단을 구성하는 것부터 수업을 설계하고 운영하는 것까지 교수자와 긴밀하게 협의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 이후 구조방정식 방법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를 실시함으로써 문항을 추가한 검사도구의 적합성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소재 A대학교에 재학 중인 1-3학년 대학생 204명을 대상으로 AMOS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성향을 나타내는 심리학적 구인인 개인의 가치지향성, 즉 개인중심성향(idiocentrism)과 집단중심성향(allocentrism)에 초점을 두고, 개인의 성향에 따른 교육적 효과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즉, 대학생을 대상으로 SSI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를 탐색한 후,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에 따라 SSI 교육을 통한 인성과 가치관의 발달의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첫째, SSI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인성 및 가치관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 해당 교양강의는 실생활과 관련된 과학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탐색하고 타당한 결론 또는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으며, 특히 논리적인 사고력만을 추구하기 보다는 도덕적 양심이나 사회적 책임감과 같은 인성에 기초한 사고력을 기르는 데 초점을 두었다. 본격적인 수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학생들의 인성과 가치관을 파악하고자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검사지(Lee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의 개인중심성향과 집단중심성향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개인중심성향이 강한 사람은 자신을 독립적인 존재로 인식하기 때문에 집단의 목표보다는 개인의 목표에 초점을 두는 반면, 집단중심성향이 강한 사람은 자신을 집단 내에 위치한 존재로 인식하여 개인의 목표보다 집단의 목표를 우선시한다(Triandis, 1995). 또한 개인 중심성향의 사람은 집단으로부터 떨어져 나오려는 전략을 활용하기 때문에 개인이 갖는 책임감과 선택의 자유, 본인만의 독특한 의견, 안락한 생활과 기쁨 등에 관심이 많고, 이에 반해 집단중심성향의 사람은 집단구성원에 의존하여 유대감이나 일체감을 느끼고자 하는 경우가 많으며, 규범에 가치를 부여함으로써 소속집단을 위해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려는 경우가 많다(Chiou, 2001; Hui, 1988; Singelis, 1994).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의 장, 단점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은 인류에게 편리함과 이익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과학과 관련된 사회쟁점에 관심을 갖고 합리적으로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개인의 이익뿐만 아니라 내가 속한 지역사회, 나아가 전 세계의 안정을 위해 작은 행동이라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시민으로서의 인성(character) 함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겸비한 창의적 인재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제안하고 있는 이유는? 현대 사회에서 과학기술은 인류에게 편리함과 이익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윤리적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과학과 관련된 사회쟁점에 관심을 갖고 합리적으로 가치를 판단할 수 있는 능력, 개인의 이익뿐만 아니라 내가 속한 지역사회, 나아가 전 세계의 안정을 위해 작은 행동이라도 실천에 옮길 수 있는 시민으로서의 인성(character) 함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올바른 인성과 도덕적 판단력을 겸비한 창의적 인재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제안하고 있으며(Ministry of Education, 2015;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2011), 고등학교 인성교육의 목표를 ‘국가 공동체에 대한 책임감을 바탕으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며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자질과 태도를 함양하는 것’(Ministry of Education, 2015, 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rnocky, S., Stroink, M., & DeCicco, T. (2007). Self-construal predicts environmental concern, cooperation, and conserv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7(4), 255-264. 

  2. Bamberg, S., & Schmidt, P. (2003). Incentives, morality, or habit? Predicting students’ car use for university routes with the models of Ajzen, Schwartz, and Triandis. Environment and behavior, 35(2), 264-285. 

  3. Barab, S. A., Sadler, T. D., Heiselt, C., Hickey, D. T., & Zuiker, S. (2007). Relating narrative, inquiry, and inscriptions: Supporting consequential play.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6(1), 59-82. 

  4. Bencze, J. L,, Carter, L., Chiu, M.-H., Duit, R., Martin, S., Siry, C., Krajcik, J., Shin, N., Choi, K., Lee, H., & Kim, S.-W. (2013). Globalization and science education. COSMOS, 8(2), 139-152. 

  5. Berkowitz, M. W., & Simmons, P. E. (2003). Integrating science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117-138). The Netherlands: Springer. 

  6.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 136-162). Newbury Park, CA: Sage. 

  7. Cha, J., & Cheong, J. (1993). Collectivism in modern Korean society.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7(1), 150-163. 

  8.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2015). No. 26403. 

  9. Chiou, J. S. (2001). Horizontal and vertical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mong college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Taiwan, and Argentina.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1(5), 667-678. 

  10. Cho, G. (1996). Culture and person perceptio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15(1), 104-139. 

  11. Cho, G., & Kim, E. (2001). Cultural dispositions and conformity to peers.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5(1), 139-165. 

  12. Cho, G., & Kim, S. (1998). Preference for the modesty-biased attributer in Korean cultur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2(1), 169-189. 

  13. Choi, K., Lee, H., Shin, N., Kim, S. W., & Krajcik, J. (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1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5. Fowler, S. R., Zeidler, D. L., & Sadler, T. D. (2009). Mor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2), 279-296. 

  16. Han, D., Kang, H., & Park, H. (2010). Analyses of fan motivation and individualism-collectivism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5(2), 225-238. 

  17. Han, G., & Oh, J. (1993). An analysis of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Kor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7(1), 185-197. 

  18. Hofstede, G. (1983). National cultures in four dimensions: A research-based theory of cultural differences among nations. International Studies of Management & Organization, 13(1-2), 46-74. 

  19. Hu, L., T.,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 1-55. 

  20. Hui, C. H. (1988). Measuremen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Journal for Research in Personality 2(2), 17-36. 

  21. Hunecke, M., Blobaum, A., Matthies, E., & Hoger, R. (2001).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 ecological norm orientation and external factors in the domain of travel mode choice behavior. Environment and Behavior, 33(6), 830-852. 

  22. Jang, J., Mun, J., Ryu, H., Choi, K., Krajcik, J., & Kim, S.-W. (2013).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7), 1124-1139. 

  23. Jang, S., Cha, H., Park, H., & Park, C. (2016). Effectiveness of decision-making skills in ssi class based on debate by utilizing sns in terms of students’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5), 757-768. 

  24. Jeong, Y. (2015). Environmental welfare, for a safe and healthy life. Retrieved March 14, 2017, from http://www.g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1833 

  25. Kenny, D. A. (1979). Correlation and causality. New York, NY: Wiley. 

  26. Kim, H., Yang, J., & Woo, A. (2015) Effect of socio-scientific issues classes on the decision-making and the character and value.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9(4), 983-1003. 

  27. Kim, J. (2015). The impact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moral norm on intention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proenvironmental consump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price sensitivity.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6(3), 519-539. 

  28. Kim, J., Ko, Y., & Lee, H. (2016).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as a global citize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3), 1-25. 

  29. Kim, M. (2006). Lohas economics: A new lifestyle for sustainable world. Seoul: Miraebook. 

  30. Kim, S. (2016). Basic and advanc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Mplus examples. Seoul: Hakjisa. 

  31.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rd ed.). New York, NY: The Guilford Press. 

  32. Ko, M., & Kwon, M. (2015).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junior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1), 1-20. 

  33. Kolsto, S. D. (2001). Scientific literacy for citizenship: Tools for dealing with the science dimension of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Science Education, 85(3), 291-310. 

  34. Lee, H., & Choi, T. (2004). Influence of attachment style on college adjustment: The role of idiocentrism-allocentrism and sex. Korea Journal of Counseling, 5(1), 79-94. 

  35. Lee, H., Choi, Y., & Ko, Y. (2014). Designing collective intelligence-based instructional models for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6), 523-534. 

  36. Lee, H., Chang, H., Choi, K., Kim, S., & Zeidler, D. L. (2012).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6), 925-953. 

  37. Lee, H., Yoo, J., Choi, K., Kim, S. W., Krajcik, J., Herman, B. C., & Zeidler, D. L. (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38. Ministry of Education (2015). Korea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2015-74).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39.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MEST). (2011). Korea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2011-361). Seoul: MEST. 

  40. Olofsson, A., & Ohman, S. (2006). General beliefs and environmental concern transatlantic comparisons. Environment and Behavior, 38(6), 768-790. 

  41. Park, D., & Park, J. (2016a).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the NABI program to realize the 'practice centered mechanism of manifesting character'.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6), 947-957. 

  42. Park, D., & Park, J. (2016b). Directions for character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nature-study in terms of charact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6(4), 581-589. 

  43. Park, E. (2012).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7), 497-509. 

  44. Park, J. (2014). Humanity education and teaching school subjects: Is it possible and necessary to teach the humanity? The Journal of Moral Education, 26(1), 177-194. 

  45. Peckham, P. D. (1970, March). The robustness of the analysis of covariance to heterogeneous regression slopes. In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Minneapolis. 

  46. Sadler, T. D. (2004). Moral sensitivity and its contribution to the resolution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Moral Education, 33(3), 339-358. 

  47. Sadler, T. D., & Zeidler, D. L. (2004). The morality of socioscientific issues: Construal and resolution of genetic engineering dilemmas. Science Education, 88(1), 4-27. 

  48. Seo, Y., & Ko, M. (2013). A case study on character education applying project bas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7(1), 49-77. 

  49. Singelis, T. M. (1994). The measurement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0(5), 580-591. 

  50. Singelis, T. M., Triandis, H. C., Bhawuk, D. P. S., & Gelfand, M. J. (1995). Horizontal and vertical dimension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A theoretical and measurement refinement. Cross-Cultural Research, 29(3), 240-275. 

  51. Triandis, H. C., Leung, K., Villareal, M. J., & Clark, F. L. (1985). Allocentric versus idiocentric tendencie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9(4), 395-415. 

  52.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53. Vikan, A., Camino, C., Biaggio, A., & Nordvik, H. (2007). Endorsement of the new ecological paradigm a comparison of two Brazilian samples and one Norwegian sample. Environment and Behavior, 39(2), 217-228. 

  54. Wagner, J. A., III. (1995). Studies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Effects on cooperation in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152-172. 

  55. Yi, J. (2000).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s: Collectivist and moving toward individualist.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 6(3), 201-219. 

  56. Zeidler, D. L., Berkowitz, M. W., & Bennett, K. (2014). Thinking (scientifically) responsibly: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in a global science education community. In M. P. Muller, D. J. Tippins & A. J. Stewart (Eds.), Assessing schools for generation R (Responsibility) (pp. 83-99). The Netherlands: Springer. 

  57. Zeidler, D. L., & Keefer, M. (2003). The role of moral reasoning and the statu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science education. In D. L. Zeidler (Ed.), The role of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and discourse in science education (pp. 7-38). The Netherlands: Springer. 

  58. Zeidler, D. L., & Nichols, B. H. (2009). Socioscientific issues: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1(2), 49-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