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과대학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기반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탐색
Effects of an SSI-based Program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on Character and Value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3, 2020년, pp.3 - 12  

이현옥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an SSI-based program focused on character and values for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fifty-four students enrolled in the program. Data sources includ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Likert-type questionnaire on character and values as well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교수자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된 원자탄의 개발 과정을 맨하튼 프로젝트 및 관련 과학기술자를 통하여 소개하고 윤리적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역사적인 인물들은 어떤 행동을 하였는지를 제시하고. 갈등과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책임감 있는 행동 및 실천을 한 역사적인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 ‘AI 첨단무기’ 수업에서 학생들은 엔지니어로서 인공지능 첨단무기 개발에 참여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교수자가 인공지능킬러드론이라는 첨단무기를 소개하고 학생들에게 엔지니어의 입장에서 무기개발에 참여할 것인지를 묻고 논의하였다. 즉, 도덕적·윤리적 쟁점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엔지니어로서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지 논의하도록 하였다.
  • 환경운동의 효시가 되었던 레이철 카슨의 ‘봄의 침묵’을 통하여 DDT 실패를 구체화하였다. 더욱이 말라리아 방지를 위하여 최근에 제안된 불임모기가 분자생물학적 기술로 개발 중에 있다고 소개하고 이에 대한 학생들의 찬반 의견을 묻는 토론 활동을 하였다.
  • 예를 들어, 공과계열의 다양한 전공을 고려하여 전공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법을 개발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서 변화가 유의하지 않았던 인성과 가치관의 공감 및 감정적 측면을 강조한 교수법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탐색해볼 수도 있다. 또한, 인성 및 윤리에서의 변화를 질적으로 측정하거나 추적할 수 있는 체계적인 검사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기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처치하여 학생들의 인성과 가치관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 본 연구의 결과는 언급된 선행연구와 달리 ‘지속가능한 발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고하였다.
  • 수업 ‘DDT와 불임모기’는 인간과 자연이 복잡하게 연계되어 있다는 내용과 과학기술의 활용에서 장기적인 전망 및 지속적인 발전을 고려해볼 수 있는 논의를 제공하였다.
  • 연구자는 다른 해석의 가능성도 제시하고자 한다. 수업과정에서 수집한 학생들의 질적 데이타를 검토한 결과, 수업에서 활용한 사례 및 내용으로 인해 검사지 문항에 대한 이해에 간섭될 수 있다고 추측하였다.
  • 또한, 자신이 개발하지 않아도 다른 엔지니어가 개발을 할 것이기 때문에 자신의 판단이 결정적이지 않다는 언급도 있었다. 이에 교수자는 제2차 세계대전에서 사용된 원자탄의 개발 과정을 맨하튼 프로젝트 및 관련 과학기술자를 통하여 소개하고 윤리적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역사적인 인물들은 어떤 행동을 하였는지를 제시하고. 갈등과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책임감 있는 행동 및 실천을 한 역사적인 인물들을 소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 수업을 개발하고, 이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2009)은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의 맥락에 따라 학생들의 도덕·윤리적 민감성에 대한 차이가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재 및 맥락을 활용하여 인성과 가치관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 즉, 도덕적·윤리적 쟁점이 예상되는 상황에서 엔지니어로서 어떤 의사결정을 하는지 논의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 수업을 개발하고, 이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양한 첨단과학기술관련 쟁점을 도입하고 엔지니어의 책임에 대한 논의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인성과 가치관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양적 통계자료를 수집할 뿐 아니라 수업 활동 및 학생 과제 등 질적 자료를 함께 수집하여 교육효과를 구체적으로 서술하고자 하였다.
  • 예를 들어, 김가형·이현주(2017)는 민주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의 실천 역량 함양에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중학교 자유학기제를 활용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조하는 미세먼지 쟁점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해당 연구는 자유학기제라는 맥락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고, 중학생들이 실천할 수 있는 활동으로 지역 전문가와의 만남 및 지역주민 설문조사 등을 구성하여 긍정적 교육효과를 보고하였다.

가설 설정

  • I : (불임보기에 대한) 찬반의 비율이 유사하네요.
  • I: 개발 안한다고 결정한 학생들은 어떤 입장인가요?
  • S1: (모기가) 쓸모없다는 단순한 판단 하에 (멸종시키면) 장기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힘듭니다. 그 다음에 있을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해야 합니다.
  • S2: 그 때는 그 경우에 과학기술을 발전시키면 되잖아요.
  • S3: 실제로 우리에게 피해를 입히는 (모기)종은 몇 개 안되고 네이처지에 의하면 모기를 다 없애면 남극에 있는 철새들이 먹을 것이 없어진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그래서 적더라도 어떻게든지 보존해야 (합니다).
  • S4: 모기를 멸종시킬 때 DNA를 연구소에 보관하는 것은 어떨까요? 멸종은 시키되 어느 정도는 보관을 하는 방법이죠.
  • S5: 모기는 인간에게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데 그러한 피해만 줄일 수 있도록 인간의 주거 지역에서만 모기를 없애도록 하고 나머지는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S6: 현재 상황을 봤을 때 다수의 나라가 핵이 있기 때문에 전쟁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이런 것들이 개발된다면 평화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당연히 개발해야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 맞춤아기의 권리는 누구의 권리인가? 태어났는데 맞춤아기였다면 기분이 어땠을까? 당연히 기분이 안 좋을 것이다. 있는 그대로의 그를 원한 것이 아니라는 사실에 분노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고연주.이현주(2017). 과학관련 사회쟁점을 활용한 대학생 인성교육의 효과-개인-집단중심성향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3), 395-405. 

  2. 고인석(2010). 공학윤리교육의 지향점과 방법. 철학논총, 59, 3-23. 

  3. 김가형.이현주(2017).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11-920. 

  4. 김진하(2016). 제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사회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방안 모색. KISTEPR&DInI,(15), 45-59. 

  5. 송성수.김병윤(2001). 공학윤리의 흐름과 쟁점. 유네스코한국위원회편, 과학연구윤리, 당대, 173-204. 

  6. 이소이 외(2005). 공과대학의 공학윤리 교육과정 운영 실태조사. 공학교육연구, 8(2), 35-51. 

  7. 이재숭(2008). 공학윤리 교육의 필요성 및 교육내용과 방법. 윤리교육연구, 16, 229-244. 

  8. 이재숭(2011). 공학인증과 공학윤리. 윤리교육연구, 26, 277-296. 

  9. 이현옥.이향연(2019). 대학생의 전공계열 및 성별 집단에 따 른 과학기술관련 인성과 가치관에 대한 특성 탐색. 교육과학연구, 50(3), 107-130. 

  10. 이현주.최윤희.고연주(2014). 집단지성 원리를 적용한 과학관련 사회. 윤리적 쟁점 수업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23-534. 

  11. 한경희.허준행.이충용(2009). 공학 윤리 교육: 현황과 쟁점, 그리고 전략. 공학교육연구, 12(1), 31-41. 

  12. 한경희(2014).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 (STS) 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공학교육연구, 17(2), 50-58. 

  13. Amador, J. A., Miles, L. & Peters, C. B.(2007). The practice of problem-based learning. Bolton, MA: Anker Publishing Co. 

  14.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15. Choi, K. et al.(2011).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in South Korea for the 21st centu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6), 670-697. 

  16. Fowler, S. R., Zeidler, D. L., & Sadler, T. D.(2009). Moral sensitivity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in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2), 279-296. 

  17. Gul, M. D., & Akcay, H.(2020). Structuring a new socioscientific issues (SSI) based instruction model: Impacts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PSTs)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and Science, 6(1), 141-159. 

  18. Harris, C. E., Pritchard, M. S., & Rabins, M. J.(2005). Engineering ethics: Concepts and cases. Stamford. CT: Thomson Wadsworth. 

  19. Herkert, J. R.(2001). Future directions in engineering ethics research: Microethics, macroethics and the role of professional societies. Science and Engineering Ethics, 7(3), 403-414. 

  20. Klosterman, M. L., & Sadler, T. D.(2010). Multi­level assessment of scientific content knowledge gains associated with socioscientific issues­based i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8), 1017-1043. 

  21. Levinson, R.(2006). Toward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eaching controversial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0), 1201-1224. 

  22. Lee, H. et al.(2012).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6), 925-953. 

  23. Lee, H. et al.(2013). Socioscientific issues as a vehicle for promot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5(12), 2079-2113. 

  24. Lincoln, Y. S., & Guba, E. G.(1985). Naturalist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6. Presley, M. L. et al.(2013). A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education. Science Educator, 22(1), 26-32. 

  27. Prisecaru, P.(2016). Challenge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ledge Horizons. Economics, 8(1), 57. 

  28. Roberts, D. A., & Bybee, R. W.(2014). Scientific literacy, science literacy, and science education. In N. G. Lederman & S. K. Abell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Vol. 2). Routledge Handbooks Online, 559-572. 

  29. Sadler, T. D., & Zeidler, D. L.(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30. Schwab, K.(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rown Business. 

  31. Topcu, M. S., Sadler, T. D., & Yilmaz­Tuzun, O.(2010).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formal reasoning about socioscientific issues: The influence of issue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8), 2475-2495. 

  32. Vesilind, P. A.(1995). Evolution of the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de of ethics. Journal of Professional Issue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Practice, 121(1), 4-10. 

  33. World Economic Forum(2016). The future of jobs: Employment, skills and workforce strategy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Geneva, Switzerland. 

  34. Yadav, A. et al.(2007). Teaching science with case studies: A national survey of faculty perceptions of the benefits and challenges of using cas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7(1), 34-38. 

  35. Zeidler, D. L., et al.(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3), 357-377. 

  36. Zeidler, D. L. et al.(2009). Advancing reflective judgment through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1), 74-101. 

  37. Zeidler, D. L.(2014). Socioscientific issues as a curriculum emphasi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In N. G. Lederman & S. K. Abell (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Vol. 2). New York, NY: Routledge, 697-726. 

  38. Zo'bi, A. S.(2014). The effect of us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roach in teaching environmental issues on improving the students' ability of making appropriate decisions towards these issues. International Education Studies, 7(8), 113-123. 

  39. Zohar, A., & Nemet, F.(2002). Fostering students' knowledge and argumentation skills through dilemmas in human genet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1), 35-6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