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HMR 가정식 대체 식품은 왜 성장하는가?
Why Home Meal Replacement Has Been Developed? 원문보기

식품산업과 영양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v.22 no.1, 2017년, pp.8 - 12  

김연정 (대상(주) 연구기술본부 편의연구실) ,  변명희 (대상(주) 연구기술본부 편의연구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양하고 맛있는 외식에서의 경험은 집에서도 조리해서 먹고 싶어 하는 내식화 욕구가 있다. 그러나 집에서 잘 구현하기 어렵고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에 실패 확률이 적고 상대적으로 저렴한 상품화된 HMR 제품들을 구매하여 집에서 간편하게 조리해서 먹고자 한다. 새로운 식문화의 유입으로 HMR 시장은 새로운 시장을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sta 등에 의한 가정식 대체식품의 정의는 무엇인가?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식 대체식품의 정의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데, Costa 등(1)이 정의한 것처럼, 가정에서 직접 만드는 것과 같은 식사인 주요리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단백질, 탄수화물, 채소 급원, 단일 혹은 다수가 1인분 용기에 담겨 제공되는 주요리 혹은 사전에 조합된 주요리라고 정의하고, 조리시간과 과정을 기준으로 Ready To Eat, Ready To Heat, Ready To end-Cook, Ready To Cook으로 분류하였다. 반면에 식품공전에 따른 HMR 상품은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또는 단순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가공・포장한 것으로 신선편의식품(RTP: Ready To Prepared & RTC: Ready To Cook), 즉석조리식품(RTH: Ready To Heat), 즉석섭취식품(RTE: Ready To Eat)으로 분류하고 있다(그림 1)(2).
HMR은 조리시간과 과정을 기준으로 어떻게 분류되는가? HMR(Home meal replacement), 가정식 대체식품의 정의에 대한 의견이 다양한데, Costa 등(1)이 정의한 것처럼, 가정에서 직접 만드는 것과 같은 식사인 주요리를 완전하고 신속하게 대체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단백질, 탄수화물, 채소 급원, 단일 혹은 다수가 1인분 용기에 담겨 제공되는 주요리 혹은 사전에 조합된 주요리라고 정의하고, 조리시간과 과정을 기준으로 Ready To Eat, Ready To Heat, Ready To end-Cook, Ready To Cook으로 분류하였다. 반면에 식품공전에 따른 HMR 상품은 소비자가 별도의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또는 단순 조리과정을 거쳐 섭취할 수 있도록 제조・가공・포장한 것으로 신선편의식품(RTP: Ready To Prepared & RTC: Ready To Cook), 즉석조리식품(RTH: Ready To Heat), 즉석섭취식품(RTE: Ready To Eat)으로 분류하고 있다(그림 1)(2).
'혼술혼밥'의 용어가 생기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이 말은 시대를 대변하는 많은 의미와 시사점을 함축하고 있다. 방송과 신문 등에서 많이 사용되면서 익숙해진 이 말은 1, 2인 가구의 증가뿐만 아니라 4인 이상의 가구에서도 가족 구성원들의 라이프 스타일이 서로 다르고 밖에서의 활동이 많아지면서 외식이 늘고 집에서 가족이 함께 식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져 혼자 식사하는 경우가 많아졌기 때문에 생겨난 용어이다. 이러한 트렌드로 식당에서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Costa AIA, Dekker M, Beumer RR, Rombouts FM, Jongen WMF. 2001. A consumer-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home meal replacements. Food Qual Prefer 12: 229-242. 

  2.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 식품공전. 

  3. 그린위즈. 2017. HMR 시장분석(미국). http://blog.naver.com/PostPrint.nhn?blogIdgrynwiz&logNo220916922368 (accessed Jan 2017). 

  4. 박성진, 최종우, 허성윤. 2015. 가정식 대체식품(HMR) 산업의 현황과 정책과제-가공식품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742. 

  5. 농식품부. 2017. 간편식 품목 3종(도시락, 레토르트, 신선편의식품) 보고서.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