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 강화 전략이 창의적 문제 해결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rategy of enhanced Metacognition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7, 2017년, pp.1 - 12  

송주연 (경기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박지은 (대구대학교 기초교육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메타인지 강화 수업 전략이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 메타인지 사고 활용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 자료를 참고로 하여 메타인지 활성화를 위한 자기-질문지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학생용 메타인지 강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지향 수업 전략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수업 전략을 9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창의적 문제 해결력 검사지, 영역 독립 메타인지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각 집단의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 집단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이 유의미하게 신장되었다(p<.05). 창의적 사고력의 하위 문항 중에서는 문제 인식, 가설 설정, 변인 통제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비판적 사고력의 하위 문항 중에서는 문제 인식, 가설 설정에 해당하는 문항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영역 독립 메타인지의 활용 능력에 있어서도 유의미한 신장을 보였다(p<.05). 메타인지 강화 전략은 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이었으며, 융합적사고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strategy using metacognition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enhancing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e. creative think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metacognitive skills.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를 정신적 활동으로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인지 활동을 계획, 점검 및 조절,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 활동을 계획, 모니터, 조절, 평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메타인지를 강화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그에 따라한 학기동안 시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를 강화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 모형을 개발한 후,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메타인지 강화 수업 전략에서는 메타 인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자기-질문지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메타인지를 정신적 활동으로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신의 인지 활동을 계획, 점검 및 조절, 평가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인지 활동을 계획, 모니터, 조절, 평가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메타인지를 강화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 전략을 개발하고 그에 따라한 학기동안 시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인지를 강화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무엇이 있는가? 첫째, 메타인지 강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을 통해 창의적 사고력이 향상되었는가?  둘째, 메타인지 강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을 통해 비판적 사고력이 향상되었는가? 셋째, 메타인지 강화 창의적 문제 해결력 수업을 통해 메타인지 사고 활용 능력이 향상되었는가?
메타인지적 지식은 무엇인가? 메타인지적 지식은 진술 가능한 정적인 지식이나 과제 수행 과정이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의 지식을 의미하며, 이것은 학습에서 메타인지 역할을 설명할 때 도움을 줄 수 있다[23,25]. 메타인지적 경험은 인지적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지적 또는 감정적 경험을 의미하며, 이것을 통해 설정한 목표에 도달했는지, 아직 미치지 못했는지 느낄 수 있고, 과제를 수행하는 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메타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메타인지에 대한 정의가 다양한 것처럼 학자들마다 메타인지를 분류하는 기준도 다양하게 제시한다. 메타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Flavell(1979)은 메타인지적 지식과 메타인지적 경험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23], Scheonfeld(1987)는 자신의 사고 과정에 대한 지식, 자기 조절 또는 자기 통제, 신념과 직관이라는 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24]. 또한, Brown(1987)은 메타인지를 두 개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였는데, 인지에 관한 지식과 인지에 관한 조절이다[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of Science. Seoul, Daehan Textbook Publishing", 2009. 

  2.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future of Korea with creative talent and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2011 Business Report", 2010. 

  3. Y. C. Kim, "Creative Problem Solving: A Coach Guide for Teaching of Creativity. Seoul, kyoyookkwahaksa", 2006. 

  4. S. G. Isaksen, D. J. Treffinger,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basic course. Buffalo, NY: Brearly Limited", 1985. 

  5. M. Csikszentmihalyi, J. W. Getzels, Creativity and problem finding in art. In T. E. Scott. The role of domain-specific knowledge in divergent thinking,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1988. 

  6. H. H. Kim, Y. H. Choi, "Effect of creativity instruction activities on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NFTM-TRIZ creativity education mode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277-286, 2015. 

  7. T. I. Lubart,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s.),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NY: Academic Press, 1994. 

  8. A. E. Woolfolk, "Educational psychology (7th ed.). MA: Allyn & Bacon", 1998. 

  9. J. P. Guilford,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Vol. 5, pp. 444-454, 1950. 

  10. J. Getzels, P. Jackson, "Creativity and intelligence. NY: Wiley", 1962. 

  11. K. K. Urban, "Recent trends in creativity: Research and theory Western Europe." European Journal of High Ability, Vol. 1, pp. 99-113, 1995. 

  12. J. W. Park, "A suggestion of cognitive model of scientific creativit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 24, No. 2, pp. 375-386, 2004. 

  13. R. H. Ennis, "A logical basis for measuring critical thinking skills." Educational Leadership, Vol. 43, No. 2, pp. 44-48, 1985. 

  14. S. M. Choi, "The analysi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and reflective problem-solving: Deweyan's approach." Philosophy of Education, Vol. 25, pp. 163-178, 2004. 

  15. S. H. Park,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community for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29-37, 2015. 

  16. N. S. Ha, S. Y. Pak, M. J. Lee, "A literature review (1996-2014) on critical thinking in korean nursing education for the era of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9, pp. 341-349, 2015. 

  17. M. A. Runco, Divergent thinking. In M. A. Runco & S. R. Pritzker (Eds.), Encyclopedia of creativity, San Diego, CA: Academic Press, 1999. 

  18. J. E. Jacobs, S. G. Paris, "Children's metacognition about reading: Issues in Definition, Measurement, and Instruc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22, pp. 255-278. 1987. 

  19. H. L. Swanson, "Influence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aptitude on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pp. 306-314, 1990. 

  20. B. J. Zimmerman,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An overview." Theory and Practice, Vol. 41, No. 2, pp. 64-72, 2002. 

  21. Y. E. Kim, H. J. Lee, "A study on undergraduate students' self-growth experiences in a counseling skills training cours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15-328, 2015. 

  22. H. L. Roh, M. N. Choi, "A study about the convergent effects of team interaction and team metacognition affecting a continuou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y of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69-78, 2016. 

  23. J. H. Flavell, "Metacognition and cognitive monitoring: A new area of cognitive-developmental inquiry." American Psychologist, Vol. 34, No. 10, pp. 906-911, 1979. 

  24. A. H. Scheonfeld, What's all the fuss about metacognition?.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7. 

  25. A. Brown, Metacognition, executive control, self-regulation, and mechanisms. In F. E. Weinert & R. H. Kluwe (Eds.), Metacognition,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87. 

  26. K. B. Ko, "The effects of cognitive monitoring learning strategy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metacognition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2005. 

  27. J. W. Park, "The role of metacognition in the changes of basic concepts about relativ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1992. 

  28. T. H. Noh, S. H. Jang, H. J. Lim, "The instructional influences of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ours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ol. 18, No. 2, pp. 172-182, 1998. 

  29. E. J. Lee, "A study of direct teaching strategy of inquiry skills applying meta-cognition."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30. S. J. Kang, E. J. Kim, H. J. Shin, "Convergence study about problem-based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roblem solving skills, academic self-efficacy, motivation towar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2, pp. 33-41, 2016. 

  31. H. S. Jeong, "The effects of metacognitive learning strategies on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03. 

  32. H. J. Lee, "The impact of the class meta-cognitive strategies applied science achievement and learning attitude." Master thesis,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013. 

  33. I. S. Park,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ience programs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applying meta-cognition."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10. 

  34. H. D. Song,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for enha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Vol. 15, No. 3, pp. 55-73, 2007. 

  35. M. Pressley, J. G. Borkowski, J. T. O′Sullivan, "Memory strategy instruction is made of this: Metamemory and durable strategy use." Educational Psychologist, Vol. 19, No. 2, pp. 94-107, 1984. 

  36. D. I. Bang, J. E. Park, J. Y. Song, S. H. Kang,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y for the enhancemen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through general chemistry laboratory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I)."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Vol. 55, No. 2, pp. 290-303, 2011. 

  37. A. E. Lawson,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worth Publishing Company", 1995. 

  38. S. H. Kang, "Assessment instruments and criteria of creative problem solving thinking skills in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010. 

  39. W. Hu, P. Adey, "A scientific creativity test for secondary school stud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ol. 24, No. 4, pp. 389-403, 2002. 

  40. R. A. Hargrove, J. L. Nietfeld, "The impact of metacognitive instruction on creative problem solving."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Vol. 83, No. 3, pp. 291-318, 2015. 

  41. R. Paul, L. Elder, "Critical thinking: Learn the tools the best thinkers use. Concise Ed, NJ: Pearson Prentice Hall", 2006. 

  42. S. H. Kang, "The relations of colleg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metacognition to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5, No. 3, pp. 1693-1708,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