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Female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7, 2017년, pp.425 - 434  

김경희 (청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S시 병원에 근무하는 기혼여성간호사 10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인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은 모두 높은 수준으로,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적대적 성차별의식보다 높았다. 직장-가정 갈등은 40세 미만, 자녀 1명, 근무경력이 5년 이상 10년 미만 일 때가 높았다. 이직의도는 40세 미만(t=3.66, p<.001), 자녀가 없는 경우(F=5.76, p=.004), 일반간호사와 책임간호사(F=5.86, p=.004)가 유의하게 높았다. 적대적 성차별의식은 가정-직장 방향 갈등과 지원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직의도는 직장-가정 방향 갈등과 가정-직장 방향 갈등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기혼여성간호사들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의 정도와 이직의도를 이해할 수 있으며, 직장-가정 양립을 위한 전략을 개발하기 위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usness,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married female hospital nurses. The participants included 101 married female nurses at hospitals in S city. Gender discrimination consc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00-400병상의 병원에서 근무하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 의도를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성차별의식은 모두 높은 수준이었으며, 온정적 성차별의식이 적대적 성차별의식보다 높았다.
  •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작정-가정 갈등과 지원, 이직의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기혼간호 사의 사직을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목적을 갖는다.
  • 다면성별의식검사는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30,31]을 바탕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에서 2007년 개발 하였다[9]. 이 도구는 양성평등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도구들이 다양한 형태의 성평등/성차별 의식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다.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에서 성차별주의는 적대적 성차별의식 (holistic sexism)과 온정적 성차별의식(benevolent sexism) 으로 구성된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설명한다.
  • 그러나 기혼여성간호사 본인 스스로의 성 평등의식과 관련되어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을 포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여성간호 사의 성차별의식, 직장-가정 갈등과 지원,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여 직장과 작정의 균형을 유지하며 이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장-가정 갈등의 발생은 어떤 일을 야기시키는가? 직장-가정 갈등이란 여성의 사회 진출의 증가로 발생 하는 맞벌이 가정의 증가 등과 같은 사회 구조적인 변화로 인하여 개인이 직장과 가정 내에서 수행해야하는 역할의 증가 및 변화로 야기될 수 있는 역할 갈등이다[16]. 직장-가정 갈등의 발생은 직장만족이나 이직의도와 같은 직장생활의 문제, 결혼만족과 같은 가정생활의 문제,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가져온다[17,18]. 직장-가정 지원은 직장-가정 갈등의 반대 되는 개념으로 하나의 역할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면, 또다른 역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16], 직장과 가정의 두 영역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를 통하여 좀 더긍정적인 결과와 만족감을 창출하여 직장인의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한다[19].
양가적 성차별 이론에 따른 성차별주의는 무엇인가? 양가적 성차별 이론에 따르면 성차별주의는 여성이 남성의 영역이나 권위를 침범하는 것에 대한 적대적 감정인 적대적 성차별의식과 여성을 애정과 보호의 대상으 로만 한정지어서 보는 온정적 성차별의식을 포함한다 [25]. 한국 사회에서의 성 차별 의식은 여성에 대한 노골적인 차별보다는 표면적으로는 우호적이지만 실질적으 로는 여성에 대하여 복합적이고 미묘한 차별적인 태도로 가지며, 직장생활을 하는 여성들에게도 가정에서는 전통 적인 성역할 수행을 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9].
다면성별의식검사가 개발된 이유는? 다면성별의식검사는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 [30,31]을 바탕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에서 2007년 개발 하였다[9]. 이 도구는 양성평등의식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된 검사도구들이 다양한 형태의 성평등/성차별 의식을 반영하기 어려운 문제를 극복하고자 개발되었다. 양가적 성차별주의 이론에서 성차별주의는 적대적 성차별의식 (holistic sexism)과 온정적 성차별의식(benevolent sexism) 으로 구성된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설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Statics Korea, "2015 Women's perspective in statistics" Retrived November 2, 2016, from http:// kosis.kr. 2016. 

  2. Hye Ryun Kang, and Suh Yeun Choi, Antecedentsand Outcomes of Work - Family Conflict ofMarried Working Wome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Women, Vol. 6, No. 1, pp. 23-42, 2001. 

  3. J. S. Yang, "The Analysis of Determinants Affecting Work-Family Balance and the Childbirth Decision of Working Wives",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Vol. 20, No. 4, pp. 613-630, 2015. http://dx.doi.org/10.13049/kfwa.2015.20.4.613 

  4. J. K. Kim, J. S. Yang,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Work-Family Balance: A Focus on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50, No. 4, pp. 251-280, 2012. 

  5. J. S. Lee, "Estimating Married Female Workers' Changes in Work Family Conflict: Tests of Effects of Conservation of Resources Factors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Research, Vol. 48, pp. 1-27, 2016. DOI: http://dx.doi.org/10.17997/SWRY.48.1.1 

  6. J. Y. Jang, H. S. Kim,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Job Attitud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nd Social Issues, Vol. 9, No. 1, pp. 23-42, 2003. 

  7. Y. M. Kim, Y. K. Ryu, "A Study on the Differences ill Determinants of Gender Role Attitudes among the Gender Regimes: A Comparison among Sweden, Germany and Korea", The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Vol. 25, No. 2, pp. 90-128, 2013. 

  8. J. S. Park, "Gauging Gender Equality in Terms of Household Labor Division and Gender-role Percept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 199, pp. 28-38, 2013. 

  9. S. S. An, Y. T. Baek, I. S. Kim, H. S. Kim, J. S. Kim,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Ambivalent Sexism Inventory",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7. 

  10. F. Eek, A. Axmon, "Gender inequality at home is associated with poorer health for women",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43, No. 2, pp. 176-182, 2015. DOI: 10.1177/1403494814562598 

  11. Hospital Nurses Association. Annual Report; hospital nurse allocation survey. Seoul, HNA, 2015. 

  12. Korea Health Industry Statistics Development Institute "The Research on the Rresent Nurses Activities" Retrived November 10, 2016, from http:// www. khidi.or.kr, 2016. 

  13. M. Y. Kim, "Nurses' Work-family Balance: The Gender Perspectiv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1, pp. 87-95, 2012. 

  14. Y. H. Kim, H. W. Kang, "A Study on Gender Equalitarianism of Kyounggi University Students", Citizen and Humanities, Vol. 16, pp. 127-164, 2009. 

  15. H. N. Kim, J. S. Kim, "Work-Family Compatibility Experience of Married Nurse: Focusing on the Expanding Stage of the Family Life Cycl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545-559, 2016. http:// dx.doi.org/10.5762/KAIS.2016.17.2.545 

  16. J. H. Greenhaus, G. N. Powell, "When work and family are allies: a theory of work-family enrichmen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 31, No. 1, pp. 72-92, 2006 

  17. M. Zhang, R. W. Griffeth, D. D. Fried, "Work-family conflict and individual consequences",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 7, No. 7, pp. 696-713, 2006 

  18. S. K. Kim, S. Y. Park, H. S. Rhee,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depression on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3, pp.267-275, 2017. http://dx.doi.org/10.14400/JDC.2017.15.3.267 

  19. H. J. Choi,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hotel frontline employees with testing gender difference",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Vol. 18, No. 5, pp. 203-219, 2009 

  20. H. J. Choi, "Moderating Effects of Work-family Conflict between Job . Organizational . Career Characteristic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1, No. 3, pp. 297-307, 2015. http:// dx.doi.org/10.11111/jkana.2015.21.3.297 

  21. Y. N. Kim, I. S. Jang,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Married Women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20, No. 5, pp. 525-534, 2014. http://dx.doi.org/10.11111/jkana.2014.20.5.525 

  22. B. J. Na, E. J. Kim, "A Study on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ion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2, No. 3, pp. 260-269, 2016.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60 

  23. B. J. Lee, T. S. Jeong, "An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on 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1, No. 8, pp.75-93, 2013. 

  24. H. J. Choi, "The Effe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n Empirical Study in the Hotel Industry", Ph.D. dissertation, Pai Chai University. 2009. 

  25. P. J. Glick, S.T. Fiske, "An Ambivalent Alliance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American Psychologist, Vol. 56, No. 2, pp. 108-118, 2001 

  26. J. Y. Kim,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Labor, Burnout, Social Support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 Practitioners in terms of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8, pp. 331-342, http://dx.doi.org/10.14400/ JDC.2016.14.8.331 

  27. H. I. Park, K. H. Lee, "The Effect of Social Intelligence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in Nurse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4, pp. 325-336, 2016. http://dx.doi.org/10.14400/JDC.2016.14.4.325 

  28. B. B. Mun, S. Y .Lee, J. O. Cheong, "Empirical Study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2, pp. 205-213, 2015. http://dx.doi.org/10.14400/JDC.2015.13.2.205 

  29. M. H. Nam, Y. C. Kw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tter Life Index, Nursing performance and Intents to Leave among Hospital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9, pp. 417-427, 2012. 

  30. P. Glick, S. Fiske, "The Ambivalent Sexism Inventory: Differentiating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0, No. 3, pp. 491-512, 1996. 

  31. P. Glick, S. Fiske, "An Ambivalent Alliance: Hostile and Benevolent Sexism as Complementary Justifications for Gender Inequality", American Psychologist, Vol. 56, No. 2, pp. 109-118, 2001. 

  32. R. G. Netemeyer, J. S. Boles, R. McMurria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 work conflict sca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1, No. 4, pp. 400-410, 1996. 

  33. J. G. Grzywacz, N. F. Marks, "Family, work, work-family spillover, and problem drinking during midlife", Journal of Marrage and Family, Vol. 62, No. 1, pp. 336-348, 2000. 

  34. M. H. Shim Y. M. Endo. "Stereotypes toward Gender Roles, Sexism and Attitudes toward Military Service among Korean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 18, No. 3, pp. 365-385, 2013. 

  35. Y. K. Nah, Y. J. Choi, "Gender Sensitivity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ife long Education, Vol. 17, No. 4, pp. 121-146, 2011. 

  36. M. J. Seong, "AStudy and Reviewof gender Inequality Index",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6, pp.43-49, 2016. http://dx.doi.org/10.14400/JDC.2016.14.6.43 

  37. Y. S. Choi, "Nursing professionalism,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Focused on 'I' 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5, pp. 2695-2702, 2014. http://dx.doi.org/10.5762/KAIS.2014.15.5.2695 

  38. M. Y. Kim, " Nurses' Work-family Boundary Management",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 19, No. 1, pp. 17-27, 2013. 

  39. J. H. Kim, K. Y. Lee, "A Typology of Dual-Income Family Work-Life by Time Allocation", Korean Family Resource Management Association, Vol. 19, No. 2, pp. 101-125, 2015. 

  40. M. J. Kim, J. W. Lee, J. S. Park, "Effects of Nurses' Practice Environment and Job Embeddedness on Turnover Intention in Medium-small sized Hospital",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1, pp. 222-230, 2017.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22 

  41. H. Y. Kim, M. S. Yim, "A Study of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State of Hospital Employees through Convergence Career Management System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119-129, 2015. 

  42. E. K. Lee, J. H. Park, "Converged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Occupational Stress in Worke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3, pp. 15-24,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