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혁신체제에서의 산학 간 기술이전촉진체제 구축방안 연구 -충남지역을 사례로-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for Promoting the Academic-Industrial Knowledge Transfer System in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ase of 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7, 2017년, pp.599 - 610  

고경호 (단국대학교 환경자원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지역혁신체제론에 입각하여 지역대학이 창출하는 기술을 보다 활발하게 지역 내로 전파 확산시키기 위한 촉진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충남지역 내 대학 기술이전조직(Technology Licensing Office)들의 현황과 실태, 대학에서 창출된 기술이 현재 원활하게 이전되고 있는지, 산학 간 기술이전활동에서의 애로와 문제점은 무엇인지 등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한 기술이전촉진체제 구축방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TLO의 구조와 여건이 본연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매우 열악하다는 점, 기업 측이 대학 측에 요청해 이전된 기술건수가 극히 적다는 점, 현장과의 괴리로 인하여 상용화 기술 개발이 매우 미흡하다는 점, 대학 기술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는 점, 기술정보 탐색을 위한 접근성이 부재하다는 점, 기술수요 기업 탐색이 매우 어렵다는 점, 관련 네트워크와 플랫폼이 사실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등이 발견되었다. 특히 지자체와 산업경제계, 지원공공기관 등 지역혁신주체들도 기술이전 사업화 활성화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당위적 수준에서 인식하고 있을 뿐 이를 위한 지역 내 기술이전 확산 촉진체계 구축에 대한 관심과 의지는 매우 미약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적 단위에서의 산학 간 기술이전 촉진체제 구축 방안을 3단계에 걸쳐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역혁신능력이 중요해지는 지역화 시대를 맞아 이들 관련 혁신주체들이 지역혁신체제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지역적 단위에서의 기술이전 확산 촉진체제의 구축에 대한 정책적 관심과 의지를 제고한다면 지역의 경쟁력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at establishing a knowledge transfer system between academics and industries in the Chungnam Region. We analyze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 technology licensing offices of universities in the Chungnam Region through a prac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앞서 수행한 선행연구 검토와 함께 지역의 특성과 여건에 기반한 지역발전이라는 목표 속에서 지역 혁신체제의 중추적 매개기관, 즉 지식의 흐름을 촉진하는 네트워크의 매개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유럽 등 선진국에 구축된 지역개발기구(Regional Development Agency)를 주목해 고찰하였다.
  • 이 연구는 지역 소재 대학들이 창출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라는 성과물들이 어떻게 하면 보다 원활하게 지역 내에서 전파·확산·활용되어 지역발전에 기여하도록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체제론에 입각하여 지역대학이 창출하는 기술 등이 기업 등 지역에 원활하게 전파·확산·활용되어 지역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지역단위의 촉진 체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역혁신체제를 ‘지역단위에서 기술혁신 활동과 관련된 지역의 다양한 혁신주체들 간의 상호 협력적 관계 그리고 활동 체계’로 정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가혁신체제론이란? 이런 상황 속에서 각각의 지역들은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지역발전전략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는데, 그 전략 가운데 최근 가장 주목받는 것이 지역혁신과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대안적 발전전략으로 제시되고 있는 지역혁신체제론이다. 지역의 혁신능력 향상을 견인하는 이 체제의 구성요소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사회적 하부구조에 포함된 지역의 핵심 혁신주체중 하나인 지역대학이다.
산학연관 등 지역혁신주체들의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역할은 무엇인가? 지역단위 경쟁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혁신능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산학연관 등 지역혁신주체들의 역할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그 역할은 지역 핵심주체들이 상호작용과 협력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혁신을 창출하고 이를 전파·습득·활용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는 지역 내 각 주체들이 긴밀한 협력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하는 지역혁신체제를 구축해야하며, 이를 지역 내 제도와 문화로 뒷받침해야 한다.
기술과 혁신은 무엇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인가? 기술과 혁신이 지역발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라는 인식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혁신에 대한 이해는 신 슘페터주의자들 또는 진화론적 경제학자들, 제도주의 경제학자들에 의하여 주도되어 왔는데, 대표적인 이론으로 집적경제(agglomeration economics)이론, 내생적 발전이론, 상호작용적 혁신이론, 진화론적 경제학, 네트워크 이론, 거버넌스 이론 등이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ooke. P, M.G. Uranga, and G. Exebarria, "Regional system of Innovation: An Evolutionary Perspective",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30, no. 9, pp. 1563-1584, 1998. DOI: https://doi.org/10.1068/a301563 

  2. Keane. J, and Allison. J, "The interaction of the learning region and local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alysing the role of higher education", Regional studies, vol. 33, no. 9, pp. 896-902, 1999. DOI: https://doi.org/10.1080/00343409950075533 

  3. C. W. Lee, H. S. Kang, and K. Park, "An Exploratory Analysis on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 Korea". The Korea Association of Space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13, pp,46-93, 2000. 

  4. K. Park, J. D. Park, and Y. C. Kang, "Regional innovation capability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Korea Association of Space and Environment Research, vol. 13, pp. 12-45, 2000. 

  5. Freeman. C, Technogy policy and Economic performance: Lessons from Japan, Frances Pinter, 1987. 

  6. Y. W. Ku, S. B. Cho, and W. K. Min, "The Evolution of the Systems of Inovation Society: A Review of the Main Issues", Jounal of Korea Technology Society, vol. 15, no. 2, pp. 225-241, 2012. 

  7. Y. Y. Kim, M. S. Cha, and H. S. Kang, Regional Development Police, pp. 207-251, Hanulbooks, 2009. 

  8. Cooke, P.et al, "Regional innovation System: Institutional and Organizational Dimensions", Research Policy, vol. 26, no. 4-5, pp. 475-491, 1997. DOI: https://doi.org/10.1016/S0048-7333(97)00025-5 

  9. Y. J. An.,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of University and Regional Development: A case Stud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y of Korea, vol. 6, no. 1, pp. 171-191, 2003. 

  10. Y. J. An., "The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y and Industry: A Cas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focusing on the Technology Transfer",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y of Korea, vol. 18, no. 2, pp. 190-205, 2015. DOI: https://doi.org/10.23841/egsk.2015.18.2.190 

  11. G. J. Kwon, and M. J. Noh, "A Study on the Analysis of Small Business Technology Transfer Problems and the Suggestion of Technology Transfer Promotion Method In Daegu City",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 11, no. 1, pp. 656-682, 2007. 

  12. J. H. Lee, "A Study on plans to activate of technology transfer and commercialization in region innovation system", Master Thesis of Yonsei University, pp. 1-134, 2008. 

  13. C. W. Lee, J. H. Lee, and M. Y. Kim, "The Role of Regional development Agency in Building Regional Innovation System: The Case of the ERVET System in Emilia Romagna, Italy", Journal of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vol. 6, no. 1, pp. 1-20, 2003. 

  14. Bellini. N, and Pasquini. F, "The case of ERVET in Emilia-Romagna: towards a second-generation regional development agency," in halkier, H., danson, M. and Damborg, c.(eds.), Regional Development Agencies in Europe,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pp. 253-270,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