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견갑골 자세교정 테이핑이 유방암 절제술을 한 여성의 통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apular Posture Correction Taping in Painful with le Breast Cancer Women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3 no.1, 2017년, pp.31 - 41  

이민지 (대전대학교 둔산한방병원) ,  정민근 (대전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apular posture correction taping in painful shoulders with breast cancer women. Method: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total 35 breast cancer survivors.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women a breast cancer taping group (B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방암 절제술을 한 견관절부 통증 여성의 견갑골 자세 교정 테이핑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통증, 상지기능장애, 견관절 관절가동범위, 견갑골 위치, 근력, 삶의 수준에서 군과 측정시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유방암 절제술을 한 견관절부 통증 여성의 견갑골 자세 교정 테이핑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01). BT군과 BP군 간에 총점, 기능 및 증상 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 셋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상지의 기능장애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견관절부 근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삶의 질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넷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견관절부 근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삶의 질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첫째, 자세교정 테이핑을 한 군과 자세교정 교육 군 간에 중재 전·후에 견관절 가동범위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두 군간에 중재 전·후에 통증 수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상지의 기능장애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둘째, 두 군간에 중재 전·후에 통증 수준 차이가 있을 것이다. 셋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상지의 기능장애 수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넷째, 두 군 간에 중재 전·후에 견관절부 근력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최근에는 부분 절제술을 적용하면서 유방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게 하며, 수술 후 유방보존술을 시행하고 있다(유방암백서, 2016). 유방암 수술로 인하여 여성들은 삶의 질이 현저히 감소한다. 유방암 환자들은 여성으로서의 자존감이 약해지고 성정체성에 대한 박탈감을 느낀다.
  •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세교정 테이핑을 한 군과 자세교정 교육 군 간에 중재 전·후에 견관절 가동범위에 대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두 군간에 중재 전·후에 통증 수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방암 절제술을 한 환자들이 견관절 가동범위를 증진시키고 통증을 감소하기 위해 적용하고 있는 치료는 무엇인가? 상지의 모든 부분이 약회면서 일상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며 삶의 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Campbell 등, 2010; Karesen 등, 2009). 유방암 절제술을 한 환자들은 견관절 가동범위를 증진시키고 통증을 감소하기 위해서 근력운동, 유산소 운동, 림프 맛사지등 많은 치료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상지 기능 및 견관절의 가동범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근력강화 운동과 물리치료를 병행하고 있다(이재섭, 2009; Na 등, 1999).
한국 여성의 암 발생 률 순위는 어떻게 되는가? 3명 /10만명)보다는 높았다. 그 중에서 한국 여성의 암 발생 률의 1위는 갑상선암(69.8명/10만명), 2위는 유방암(47.7 명/10만명), 3위는 대장암(23.0명/10만명)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의 유방암은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방암 치료법으로는 무엇이 있나? 유방암 치료법은 다양하다. 유방암은 1차적으로 수술을 시행하고, 2차적으로 방사선치료, 표적치료, 내분비 치료, 항암화학치료 등을 적용한다. 유방암 수술은 전체 절제술과 부분 절제술 2가지 수술법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김미옥, 전창순, 조영자, 등. 유방암 수술 후 조기운동프로그램이 어깨관절기능, 통증, 림프부종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2005;44(2):65-78. 

  2. 김란영, 박효정. 방사선치료를 받는 유방암 환자의 피로, 수면장애, 삶의 질에 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2015;27(2):188-197. 

  3. 민신홍, 박선영, 김종임. 암 극복 베하스 운동 프로그램이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어깨관절기능, 스트레스, 신체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2011;(3):328-336. 

  4. 송현승. 견관절 가동술과 견갑골 복합운동이 유방암 환자의 신체기능과 심리사회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 유방암백서. 한국유방암학회. 2016. from; http://www.kbcs.or.kr/sub02/sub04.html 

  6. 윤영호. 삶의 질 평가의 이해와 활용. 2011. 서울. 군자출판사:3-4 

  7. 이병기, 이재섭, 김태수. 4 주간 복합 운동치료가 유방암 림프부종 중년여성의 통증, 견관절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의학회지. 2013;8(2):153-161. 

  8. 이재섭. 복합적 부종감소 물리치료와 고전적 부종감소 물리치료가 상지 림프부종 환자의 신체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정호중, 김기찬, 노경환, 등. 유방암 수술 후 림프부종의 위험인자. 대한재활의학학회지. 2002;26(4):475-479. 

  10. 하해정, 안소윤, 김좌준. 상지 굴곡근과 신전근 근력운동이 유방암으로 인한 림프부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4;23(4):1057-1066. 

  11. 황은경, 이명선. 항호르몬요법을 받는 유방암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대한간호학회지. 2014; 44(1):108-117. 

  12. Aaronson NK, Ahmedzai S, Bergman B, et al.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EORTC QLQ-C30: A quality-of-life instrument for use in international clinical trials in oncology. J Natl Cancer Inst 1993;85(5):365-376. 

  13. Borstad JD. Resting position variables at the shoulder: Evidence to support a posture-impairment association. Phys Ther. 2006;86(4):549-557. 

  14. Borstad JD, Szucs KA. Three-dimensional scapula kinematics and shoulder function examined before and after surgical treatment for breast cancer. Hum Mov Sci. 2012;31(2):408-418. 

  15. Campbell K, Courneya K, Dabbs K, et al. Exercise interventions for upper-limb dysfunction due to breast cancer treatment. Cochrane Library. 2010;19. 

  16. Campbell A, Mutrie N, White F, et al. A pilot study of a supervised group exercise program as a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women with breast cancer receiving adjuvant treatment. Eur J Oncol Nurs. 2005;9(1):56-63. 

  17. Eom AY. Effects of a Taichi program for early mastectomy patients. Korean J Women Health Nurs. 2007;13(1):43-50. 

  18. Fenter PC, Bellew JW, Pitts TA, et al. Reliability ofstabilized commercial dynamometers for measuring hip abduction strength: A pilot study. Br Sports Med. 2003;37(4):331-334. 

  19. Greig, AM, Bennell KL, Briggs AM, et al. Postural taping decreases thoracic kyphosis but does not influence trunk muscle electromyographic activity or balance in women with osteoporosis. Man Ther. 2008;13(3):249-257. 

  20. Karesen R, Risberg MA, Sagen A, et al. Changes in arm morbiditie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fter breast cancer surgery-a five year follow-up study, Acta Oncologica. 2009;48(8):1111-1118. 

  21. Kim, MS. The change of physical function in accordance with rehabilitation exercise frequency for the breast cancer survivors. The Korean J of Physical Education. 2010;49(4):315-23. 

  22. Kilbreath SL, Refshauge KM, Beith JM, et al. Upper limb progressive resistance training and stretching exercises following surgery for early breast cance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east Cancer Res Treat. 2012;133(2):667-676. 

  23. Kolden GG, Strauman TJ, Ward A, et al. A pilot study of group exercise training (GET) for women with primary breast cancer: Feasibility and health benefits. Psycho-Oncology. 2002;11(5):447-456. 

  24. Kyranou M, Paul SM, Dunn LB, et al. Differences in depression, anxiety, and quality of life between women with and without breast pain prior to breast cancer surgery. Eur J Oncol Nurs. 2013;17(2):190-195. 

  25. Laird BJ, Scott AC, Colvin LA, et al. Pain, depression, and fatigue as a symptom cluster in advanced cancer. J Pain Symptom Manage. 2011;42(1):1-11. 

  26. Lee MJ, Kim SY, Shim JK. comparison of shoulder range of motion, pain, function, scapular position between breast cancer surgery and shoulder surgery female patients. Phys Ther Korea. 2015;22(1):09-18. 

  27. Lin JJ, Yang J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houlder tightness measurement in patients with stiff shoulders. Man Ther. 2006;11(2):146-152. 

  28. Lim CH, Han JH. Effectiveness of upper extremity exercise and bandage on the edema and rom of patients with lymphedema. J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1):31-8. 

  29. MacDermid JC, Solomon P, Prkachin K. The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demonstrates factor, construct and longitudinal validity. BMC Musculoskelet Disord. 2006;7(1):12. 

  30. McClure PW, Michener LA, Sennett BJ, et al. Direct 3-dimensional measurement of scapular kinematics during dynamic movements in vivo. J Shoulder Elbow Surg. 2001;1(10):269-277. 

  31. Michels FA, Latorre Mdo R, Maciel Mdo S. Validity, reliabi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EORTC-C30 and EORTC-BR23,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specific for breast cancer. Rev Bras Epidemiol. 2013;16(2):352-363. 

  32. Michener LA, McClure PW, Karaduna AR. Anatomical and biomechanical mechanisms of subacromial impingement syndrome. Clin Biomech. 2003;1(18):369-379. 

  33. Montazeri A, Harrichi I, Vahdani M, et al. The EORTC Breast 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 QLQ-BR23): Translation and validation study the iranian version. Qual Life Res. 2000;9(2):177-184. 

  34.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7.02.13.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304000000 

  35. Na YM, Lee JS, Park JS, et al. Early rehabilitation program in postmastectomy patients: A prospective clinical trial. Yonsei Medical Journal. 1999;40(1):1-8. 

  36. Pakseresht S, Ingle GK, Garg S. Quality of lif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at the time of diagnosis in New Delhi. J of Cancer science & therapy. 2011;3:66-69. 

  37. Portela AL, Santaella CL, Gomez CC, et al. Feasibility of an exercise program for puerto rican women who are breast cancer survivors. Rehabil Oncol. 2008;26(2):20-31. 

  38. Teys P, Bisset L, Collins N, et al. One-week time course of the effects of Mulligan's Mobilistaion with Movement and taping in painful shoulders. Man Ther. 2013;18(5):372-377. 

  39. Rdhana LA, William T, Douglas Y,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weight training and lymphedema in breast cancer survivor. J Clin Oncol. 2006;21:463-466. 

  40. Roach KE, Budiman-Mak E, Songsiridej N, et al. Development of a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Arthritis Care Res. 1991;4(4):143-149. 

  41. Schmid-Buchi S, Halfens RJ, Dassen T, et al. A review of psychosocial needs of breast-cancer patients and their relatives. J of Clin Nurs. 2008;17(21):2895-2909. 

  42. Schmitz KH, Troxel AB, Cheville A, et al. Physical Activity and Lymphedema (the PAL trial): assessing the safety of progressive strength training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ntemp Clin Trials. 2009;30(3):233-245. 

  43. Selkowitz DM, Chaney C, Stuckey SJ, et al. The effects of scapular taping on the surface electromyographic signal amplitude of shoulder girdle muscles during upper extremity elevation in individuals with suspected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J of Orthop & Spor Phys Ther. 2007:37(11):694-702. 

  44. Seo HD, Lee KW, Jung KS,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houlder pain and disability index. J Spec Educ Rehabil Sci. 2012;51(2);319-336 

  45. Shaha M, Cox CL, Talman K, et al. Uncertainty in breast, prostate, and colorectal cancer: implications for supportive car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08;40(1):60-67. 

  46. Von Korff M, Deyo RA, Cherkin D, et al. Back pain in primary care. Outcomes at 1 year. Spine (Phila Pa 1976). 1993;18(7):855-862. 

  47. Yoo YS. Effects of aquatic exercise program on the shoulder joint function, physical symptom and quality of life in postmastectomy patients. J. Korea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999;13(2):101-114. 

  48. Yun YH, Park YS, Lee ES,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ORTC QLQ-C30. Qual Life Res. 2004;13(4):863-868. 

  49. Yun YH, Bae SH, Kang IO, et al. Cross-cultrural applic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EORTC) Breast-Cancer-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EORTC QLQ-BR23). 2001;12(6):441-4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